Comparison of Online Shopping Mall BEST 100 u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탐색적 자료 분석(EDA) 기법을 활용한 국내 11개 대표 온라인 쇼핑몰 BEST 100 비교

  • 강지천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 강주영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e-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18.08.09
  • Accepted : 2018.08.31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rst online shopping mall, BEST 100 is being provided as the core of all shopping mall websites. BEST 100 is greatly important because consumers can identify popular products at a glance. However, there are only studies using sales outcome indicators, and prior studies using BEST 100 are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11 online shopping malls and compared their main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exploratory data analysis technique (EDA) was used by crawling the BEST 100 components of each shopping mall website, such as product name, price, and free shipping check. As a result, the total average price of 11 shopping malls was 72,891.41 won. Sales texts were classified into 8 categories by text mining. The most common category was the fashion part,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setting of the category analyzed the marketing text, not the product attribut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online market flow and suggesting future directions by using EDA.

초기 온라인 쇼핑몰이 등장할 때부터 지금까지 BEST 100은 모든 쇼핑몰 웹사이트의 핵심 기능으로 제공되고 있다. BEST 100은 소비자들이 한눈에 인기 상품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쇼핑몰의 매출 등에 미치는 영향이 높지만 온라인 쇼핑 선행 연구에서 BEST 100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온라인 쇼핑몰 11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쇼핑몰별 판매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각 쇼핑몰 웹 사이트의 BEST 100의 구성요소인 판매문구, 가격, 무료배송의 유/무 확인을 크롤링 하여 탐색적 자료 분석 기법(EDA)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쇼핑몰 11곳의 종합 평균 가격은 72,891.41원으로 나타났으며 상품 가격이 저렴할수록 무료배송 비율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가격 이외에 판매문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8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였다. 가장 많은 카테고리는 fashion 부분이었으나 카테고리의 설정이 제품 속성이 아닌 마케팅 문구를 분석한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EDA를 활용하여 현 온라인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재, 김병국,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상품추천시스템", 지능정보연구, 제11권, 제1호, pp.191-20, 2005.
  2. 김경희, "온라인 쇼핑몰 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pp.48-58,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048
  3. 김도형, 강병호, 이승룡, "인기 검색어의 순위 변화 예측",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4권, 제8호, pp.782-790, 2017.
  4. 김소라,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의 정보성 과 소비자 오도가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5-29, 2008.
  5. 류권석, 김성수,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평점분포를 고려한 컨조인트 분석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6호, pp.43-71, 2016.
  6. 박경자, 장희영, 노희옥, "온라인 정보원천이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0권, 제1호, pp.21-40, 2011.
  7. 박민정,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정보구성요소 :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원 정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69-38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369
  8. 박화진, "국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색채분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 제39호, pp.71-85, 2014.
  9. 박희영, "우리나라 온라인 커머스 시장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9권, 제15호, pp.26-45, 2017.
  10. 손유석, 김창수, 안현숙, "국내 주요 소셜커머스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81-194, 2014. https://doi.org/10.14801/jkiit.2014.12.12.181
  11. 이영미, "'소확행(小確幸)'의 힘", 새가정, 제65권 pp.68-69, 2018.
  12. 이정, 이상설, "AHP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선택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6-23, 2005.
  13. 임지원, 장기원, 이라경, 박진용,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이 온라인 쇼핑몰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제4권, 제1호, pp.37-60, 2017.
  14. 장은영, "국내 인터넷 의류 쇼핑몰의 유형별 사이트 구성요소 비교분석", 복식, 제55권, 제6호, pp.76-92, 2005.
  15. 장평, 황종택, 문희철, "중국 3대 C2C 오픈마켓의 온라인 쇼핑성과에 관한 비교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4호, pp.383-404, 2014.
  16. 지혜경, "온라인 쇼핑몰 유형별 의류제품 충동구매에 미치는 가격, 제품, 판촉의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5권, 제4호, pp.543-553,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4.543
  17. 통계청, 온라인쇼핑몰 취급상품 범위별 거래액, 2017.
  18. 통계청, 전자상거래 사업체수, 2017.
  19. 통계청, 2017년 2월 온라인쇼핑 동향, 2017.
  20. 통계청, 주요유통업체매출동향조사 : 대형마트.백화점 매출 동향(품목별), 2017.
  21.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7.
  22. 한국온라인쇼핑협회, 2016 온라인쇼핑 시장에 대한 이해와 전망, 2017.
  23. 한상일, "온라인 쇼핑몰 인터페이스 구성 항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3집, pp.263-27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