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Ecosystem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Reciprocity, Regard and Public Policy

  • 이홍택 (충남연구원 사회적경제연구팀)
  • 투고 : 2018.09.17
  • 발행 : 2018.09.30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이하 '지역생태계')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형성하는 데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의 원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역생태계는 특정 지역에서 기업의 재화와 서비스의 기획 생산 유통 판매의 과정과 연계된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그 기업의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확산할 수 있는 주체들이 연결되어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역생태계는 거래 관계와 사회적 관계로 이루어진 '지역네트워크', '중간조직' 및 '공공의 역할'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하며, 지역별로 달리 나타나는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의 특성은 다양한 형태의 지역생태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역생태계 개념 틀을 토대로 협동조합 고랑이랑의 사례를 심층 분석한 결과 지역생태계의 특성이 배려를 중심으로 호혜와 공공정책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sustainable regional ecosystem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hereafter 'regional ecosystem'), and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reciprocity, regard and public policy, which have a fundamental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uch regional ecosystem. The regional ecosystem is an interactive system of the stakeholders who are related to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distributing and selling goods and services, and the agents who maintain and spread their social value orientation. This system operates through the interaction of 'local network (business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intermediary organization' and 'public role.'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n the regional ecosystem, the result of the in-depth analysis on the case of Gorang-erang Coop shows the interaction of reciprocity and public policy with respect to regard within the context of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al eco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강예원, 2013, "사회적 기업 생태계 접근을 통한 연구경향 분석," 사회적 기업연구 6(2), pp.93-139.
  2. 구양미, 2016, "사회적경제와 지리학적 사고," 김의영 등, 사회적 경제의 혼종성과 다양성, 서울:푸른길, pp. 233-251.
  3. 김왕배, 2011, "호혜경제의 탐색과 전망," 사회와 이론 19, pp.177-213.
  4. 김정원, 2014, "사회적 경제와 호혜," 지역사회연구 22(2), pp.285-308.
  5. 나주몽.김희송.홍성흡.조수미.이상호.변장섭.김창범.이찬영.김일태.이우형, 2016, 사회적 경제와 지역혁신, 전남대학교출판부.
  6. 라준영, 2014, "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정책 혁신: 진화론적 관점," 한국협동조합연구 32(3), pp.27-57.
  7. 신광하, 2016, 사회적 기업정신의 전략운영요소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이재혁, 2011, "선물의 hau: 증답경제의 정치경제학과 관계자본," 한국사회학 45(1), pp.37-72.
  9. 이홍택, 2018, "사회적 경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제지리적 결정 요인: 충청남도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1), pp.34-52. https://doi.org/10.23841/egsk.2018.21.1.34
  10. 이홍택.정성훈,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 발전 - 서울특벽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708-720.
  11. 장영란, 2012, 사회적 기업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장원봉, 2009, "사회적 기업의 제도적 동형화 위험과 대안 전략," 시민과 세계 15, pp.150-164.
  13. 주성재.노경란, 2018,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73-191. https://doi.org/10.23841/egsk.2018.21.1.173
  14. 최인철, 2016, "인간의 이타성과 사회적 경제," 김의영 등, 사회적 경제의 혼종성과 다양성, 서울: 푸른길, pp.163-192.
  15. 최조순, 2012,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기업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16. Amin, A., Cameron, A. and Hudson, R., 2002, Placing the Social Economy, London: Routledge.
  17. CASE(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Scoial Entrepreneurship), 2008, Developing the field of Social Entrepreneurship, Duke University.
  18. DiMaggio, P. J. and Powell, W. W., 2000,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 17, pp.143-166.
  19. Eikenberry, A. M. and Kluver, J. D., 2004, "the Marketization of the Nonprofit Sector: Civil Society at Risk?,"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4(2), pp.132-140. https://doi.org/10.1111/j.1540-6210.2004.00355.x
  20. Evans, M. and Lawson, C., 2000, "The Contribu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Social Economy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EU Research o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port of workpackage, p.151.
  21. Evans, M. and Syrett, S., 2007, "Generating Social Capital? The Social Economy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4(1), pp.55-74. https://doi.org/10.1177/0969776407072664
  22.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23. Golob, U., Podnar, K. and Lah, M., 2009, "Social ec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alternatives to global anarchy of neoliberalism?,"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36(5), pp.626-640. https://doi.org/10.1108/03068290910954068
  24. Jung, D. I., 2014. "Bringing entrepreneurship into the context of community development,"Korean Regional Sociology 15(3), pp.5-32.
  25. Kasmir, S., 1996, The Myth of Mondrag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6. Kwon, S. W., Helflin. C. and Ruef, M., 2013,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ship,"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8(6), pp.980-1008. https://doi.org/10.1177/0003122413506440
  27. Lee, I. K. and Hwang, J. H., 2013,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1), pp.137-161.
  28. Lee, R., 2000, "Shelter form th storm? Geographies of regard in the world of horticultural consumption and production," Geoforum 31, pp.137-157. https://doi.org/10.1016/S0016-7185(99)00036-6
  29. Massey, D, 1991, "The Political Place of Locality Stud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23(2), pp.267-281. https://doi.org/10.1068/a230267
  30. Mazzei, M., 2016, "Understanding Difference: The Importance of Place in the Shaping of Local Social Economies," Voluntas 28, pp.2763-2784.
  31. Miller, T. L., Grimes, M. G., McMullen, J. S. and Vogus, T. J., 2012, "Venturing for others with heart and head: How compassion encourages social entrepreneurship,"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7, pp.616-640. https://doi.org/10.5465/amr.2010.0456
  32. Moshe, S. and Miri, L., 2006,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41, pp.6-20. https://doi.org/10.1016/j.jwb.2005.09.004
  33. Offer, A., 1997, "Between the Gift and the Market: The Economy of Regard," Economic History Review 50(3), pp.450-476. https://doi.org/10.1111/1468-0289.00064
  34. Pretty, J. and Ward, H., 2001, "Social Capital and the Environment," World Development 29(2), pp.209-394. https://doi.org/10.1016/S0305-750X(00)00098-X
  35. Shanmugalingam, C., Graham, J., Tucker, S. and Mulgan, G., 2011, Growing Social Ventures, The Young Foundation.
  36. Wheeler, D., McKague, K. and Thomson, J., 2003, "Sustainable Livelihoods and the Private Sector: How Development Agencies Can Strengthen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s," Final Report, School of Business, York University.

피인용 문헌

  1. 사회적 농업의 사회적 경제 특성에 관한 연구 - 사회혁신 가능성의 탐색 vol.25, pp.4, 2019, https://doi.org/10.7851/ksrp.2019.25.4.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