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on Stress Coping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양신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 장성호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Received : 2018.08.02
  • Accepted : 2018.09.11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on stress coping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92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 more problem-focused coping,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and self-soothing coping in stressful conditions, but less emotion-oriented coping and avoidance-oriented coping.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behavioral flexibility in communication competence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oriented coping. Similarly, affiliation/support influences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interaction management influences self-soothing coping and avoidance-oriented coping. Second,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empathy are also foun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and self-soothing coping in stressful condition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role-taking in empathy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oblem-focused coping self-soothing coping. Similarly, emotion recognition influences avoidance-oriented coping, emotional resonance influences emotion-oriented coping, authenticity influences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가를 밝혀내는데 있다. 대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자기위로능력 대처를 많이 하는 반면 감정적 대처, 회피적 대처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행동적 융통성은 문제중심적 대처와 감정적 대처에, 협력/지지는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에, 상호작용관리는 자기위로능력 대처와 회피적 대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감능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자기위로능력 대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감능력 중 역할수용은 문제중심적 대처, 자기위로능력 대처에, 감정파악은 회피적 대처에, 감정공명은 감정적 대처에, 진정성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영주, 최은영, 송영아,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345-351, 2010.
  2. 손정남,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67-275, 2007.
  3. M. Zunhammer, H. Eberle, and P. Eichhammer, "Somatic symptoms evoked by exam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role of alexithymia, neuroticism, anxiety and depression," PLoS One. pp.8-12, 2013.
  4. C. D. Spielberger,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 D. Spielberger(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5.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 New York, NY, 1984.
  6. 장해순, "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1권, 제3호, pp.5-28, 2013.
  7. 이지영,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연구, 제18권, 제3호, pp.219-227, 2010.
  8. 신정원, 장효정, 현명호, "대학생의 성격강점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정서조절 양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23권, 제3호, pp.109-118, 2015. https://doi.org/10.17547/kjsr.2015.23.3.109
  9. M. L. Gross and L. K. Guerrero, "Managing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An application of the competence model to Rahim's organizational conflict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Vol.11, pp.200-226, 2000. https://doi.org/10.1108/eb022840
  10. 장해순,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3호, pp.113-151, 2003.
  11. 조인희, 박미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비교,"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7호, pp.397-404, 2017.
  12. 한주리, 남궁은정,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의사 소통의 양과 질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 아동학회지, 제29권, 제1호, pp.325-337, 2008.
  13. 구자경,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와 치료적 요인 지각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1호, pp.11-26, 2006.
  14. 김여흠, 이윤주,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417-1434, 2013.
  15. 조한익, 이미화,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39-158, 2010.
  16. 조효진, 손난희, "공감능력과 이타행동," 상담학연구, 제7권, 제1호, pp.1-9, 2006.
  17. 정혜선, 이기령,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9호, pp.6044-6052, 2015.
  18. B. H. Spitzberg and W. H.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Y: Springer-Verlag, 1989.
  19. J. M. Wiemann, "Explic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No.3, pp.195-213, 1977.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7.tb00518.x
  20. 신수정, 정면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인문사회21, 제7권, 제5호, pp.441-455, 2016.
  21. 염은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 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320-33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320
  22. 장해순, "가족 및 사회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20, 2010.
  23.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 in Psychology, Vol.10, pp.85-103, 1980.
  24. 김은주, 정은정, "대학생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도움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592-60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592
  25. M. H. Davis,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dison, WI: Brown & Benchmark, 1994.
  26. 김윤희, 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7. 이수원, 이혜경, "역할과 개인의 분리: 역할수용의 한 기제," 대학생활연구, 제9호, pp.81-109, 1991.
  28. N. D. Feshbach, "Empathy in childre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Counseling Psychologist, Vol.5, pp.25-30, 1975. https://doi.org/10.1177/001100007500500207
  29. 황혜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의료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1호, pp.1-10, 2017.
  30. 권정숙, 유재경, 조혜영,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인식이 창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0권, 제1호, pp.79-105, 2016.
  31. 김흥규, 한국인의 사회계층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32. 박순주, 배다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305-31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305
  33. 하영윤, 대학생의 자아강도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4. 최은덕,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5. N. S. Endler and D. A. Parker, "Multidimentional assessment of coping: A critical 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Vol.58, No.1, pp.844-854, 1990.
  36. 유춘화,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7. 김지성,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화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8. 안정진,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황불안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조한익,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초등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65-8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