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and Factors of Suicide Rate by Region in Korea

한국의 지역별 자살률 변화와 요인 분석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경미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3.27
  • Accepted : 2018.04.30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regional policy for reducing suicide rate by confirming the change of local suicide rate for 10 years from 2005 to 2015 and the effect of change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city, county, and province suicide rate in 10 years showed that the suicide rate decreased in order of military district, city area, and district. Second, in the case of economic factors, local suicide rate decreased as the local tax burden per capita increased, and as the financial self - reliance increased. Third, in the case of the social integration factors, the local suicide rate decreased as the ratio of the basic livelihood recipient decreased. In addition, local suicide rate decreased as the number of elderly leisure welfare facilities increased. Fourth, in the case of the social demolition factor, the region where the divorce rate is increased, the depression experience rate is increased, and the region where the rate of one person is increasing, the local suicide rat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local suicide rate can be reduced through efforts to improve the economic capacity of the whole region, social integration and reduction of the social disintegration phenomenon in the region.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지역 자살률의 변화와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환경요인의 변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자살률 감소를 위한 지역차원의 정책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년간 시 군 구 자살률 변화를 확인한 결과 군 지역, 시 지역, 구 지역의 순서로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요인의 경우 1인당 지방세금 부담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재정자립도가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였다. 셋째, 사회통합요인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자비율이 감소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여가복지시설수가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감소하였다. 넷째, 사회해체요인의 경우 조이혼율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우울감 경험률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는 지역일수록 지역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전체의 경제능력 향상과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 지역 내 사회해체현상의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지역 자살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181-205, 2004.
  2.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제33권, 제2호, pp.195-224, 2010.
  3. E. Durkheim, Le Suicide, Etude de Sociologie, Alcan, Paris, 1987.
  4. 박윤진, 자살 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간 사회경제 보건 관련 요인 분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 주유형, 노인자살의 시.공간적 확산과 지역 환경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 유영직, 시.군 지역의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 김기원, 전국 광역시도별 노인자살 차이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중심으로:1995-2005," 한국인구학회지, 제31권, 제2호, pp.21-44, 2008.
  9. 허지정, 최막중,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21권, 제4호, pp.47-60, 2013.
  10. D. S. Hamermesh and N. M. Soss, "An economic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Policical Ecomomy, Vol.82, No.1, pp.83-98, 1974.
  11. 김민영,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2. 박일주, 지방자치단체 정책이 지역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김민영, 정광호, 금현섭, "경제위기와 자살률 간탐색 연구: 15개시도성별 연령별 자살률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3-302, 2011.
  14. 신동준, "살인과 자살의 문화적 사회구조적 원인," 한국 사회학, 제38권, 제4호, pp.33-71, 2004.
  15. V. Lorant, A. E. Kunst, M. Huisman, G. Costa, and J. Mackenbac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uicide: a European comparative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7, No.1, pp.49-54, 2005. https://doi.org/10.1192/bjp.187.1.49
  16. J. Sareen, T. O. Afifi, K. A. McMillan, and G. J. Asmundson,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mental disorders: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8, No.4, pp.419-427, 2011. https://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11.15
  17. D. J. Taylor, K. L. Lichstein, H. H. Durrence, B. W. Reidel, and A. J. Bush, "Epidemiology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SLEEP, Vol.28, No.11, pp.1457-1464, 2005. https://doi.org/10.1093/sleep/28.11.1457
  18. 우혜경, 조영태,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한국노년학, 제33권, 제2호, pp.97-418, 2013.
  19. J. Hintikka, O. Kontula, P. Saarinen, A. Tanskanen, K. Koskela, and H. Viinamaki, "Debt and suicidal behaviour in the Finnish general popula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98, No.6, pp.493-496, 1998. https://doi.org/10.1111/j.1600-0447.1998.tb10125.x
  20. P. S. Yip, K. C. Yang, B. Y. Ip, Y. W. Law, and R. Watson, "Financial Debt and Suicide in Hong Kong SAR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7, No.12, pp.2788-2799, 2007.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7.00281.x
  21. S. Weyerer and A. Wiedenmann, "Economic factors and the rates of suicide in Germany between 1881 and 1989," Psychological Reports, Vol.76, No.3, pp.1331-1341, 1995. https://doi.org/10.2466/pr0.1995.76.3c.1331
  22. 윤우석, "사회적 통합과 자살률의 관계검증: 시군 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0권, 제4호, pp.144-174, 2011.
  23. 김형수, 김신향,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15-224, 2014.
  24. 윤우석,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율성과 범죄피해의 관계검증," 형사정책연구, pp.319-354, 2012.
  25. 허경미, 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2015.
  26. I. H. Burnley, "Socioeconomic and spati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and means of committing suicide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1985-91,"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1, No.5, pp.687-698,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4)00378-7
  27.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