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lexible Work Scheme for Job-Family Connection on Job Satisfaction

일·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6.25
  • Accepted : 2018.07.11
  • Published : 2018.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flexible working system for work - family connection on job satisfaction. A total of 7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exible work system for work and home affairs ha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flexible work system, work satisfaction, work status, flexible work system, organizational satisfact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showed a low correlation of .313, p <.01. Seco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flexible work system for work and home affai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mployees and average years of service.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ervice was below 5 years. No child (38.4%), 1 person (15.1%), 2 children (11% ). & Lt; / RTI & g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lexible work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 and the famil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lexible work system by increasing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the job satisfaction by activating the flexible work system.

본 연구는 일 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73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 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 상관관계는 근무만족도와 유연근무제현황, 근무만족도와 근무현황, 유연근무제현황과 조직만족도, 근무현황과 조직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무만족도와 조직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01 유의수준의 .313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일 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근로자의 자녀명수와 평균근속년수 간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근속년수 5년 이하는 자녀없음(38.4%), 1명(15.1%), 2명(11%) 자녀없음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평균근속년수 21년 이상은 자녀2명(9.6%)에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 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연근무제 활성화로 유연근무제 정착 및 직무만족도를 높여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수연.김효선(2017), "인지된 유연근무제 활성화가 조직성과와 일가족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사 관리학회, pp.18.
  2. 양동훈. (2017), "가족친화제도와 조직성과의 관계: 1 인당 매출액과 자발적 이직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5, pp.81-107.
  3. 권오숙(2017), "지방공무원 유연근무제 활성화 방안 연구: 시간선택제 전환 공무원제도 중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이상천(2014), "유연근무제(Flexible Work)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관한 연구-K공기업의 유연 근무 활용사례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진종순․ 장은영(2015), "유연근무제와 직무만족: 시차츨퇴근제와 스마트워크제를 중심으로", 정부학 연구, 21권 2호, pp.235-263.
  6. 곽노학, 김문준(2016),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환경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1권 1 호, pp.19-25. https://doi.org/10.21186/IPR.2016.1.1.019
  7.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 갈등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권3호, pp.27-52.
  8. 권오숙(2017), "지방공무원 유연근무제 활성화 방안 연구: 시간선택제 전환 공무원제도 중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주(2016),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고효정(2017), "유연근무제(Flexible Work Program) 도입이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조직지원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네이버, https://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