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of R&D Tax Credit for SMEs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
  • 조호수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
  • 백철우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8.03.10
  • Accepted : 2018.05.03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D tax credit for SMEs. We survey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firm's financial statements and R&D tax credit during 2014-2016, and implemented fixed effect model, random effect model and panel negative binomi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R&D tax credit is 5.3 times larger in terms of R&D expenditure and 4.3 times bigger in terms of number of researchers than that of R&D subsidy. In addition, the effect of tax credit on non-metropolitan area companies is higher than that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s three ways to improve the R&D tax incentive system for SMEs; To convert unused R&D tax credit of the start-ups to tax points, to exempt the minimum tax rate on R&D expenditure in equipment, and to unify the operation of various R&D tax credit institu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기업별 조세감면액 자료에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과 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 그리고 패널 음이항모형(Panel Negative Binomia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는 경우 R&D 조세감면이 R&D 직접지원에 비해 R&D 투자 제고효과는 5.3배, 연구원 수 증가효과는 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조세감면의 효과가 직접 지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위해 창업 중소기업의 미사용 R&D 세액공제액의 세금 포인트 전환, 중소기업의 R&D설비투자 비용에 대한 최저한세 적용 배제, R&D 세액공제 제도의 통합 운영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획재정부 (각연도), 조세지출예산서, 세종 : 기획재정부.
  2. 김상헌.손원익 (2006), "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지원의 효과 : 기업별 세액공제 자료를 바탕으로", 공공경제, 11(2): 101-122.
  3. 김학수 (2007),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 분석", 서울 : 한국경제연구원.
  4. 노민선 (2017), "중소기업 R&D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서울 : 중소기업연구원.
  5. 노민선.박수진.송창현 (2017), "개방형 혁신 촉진을 위한 R&D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2(4).
  6. 노민선 외 (2017) 중소기업 R&D 조세지원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대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7. 손원익 (2002),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조세지원의 실효성 분석", 서울 : 한국조세연구원.
  8. 송종국.김혁준 (2009), "R&D투자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17(1): 1-48.
  9. 신태영 (2004), "기업 혁신능력 확충을 위한 정부 연구개발투자 전략 : 정부의 R&D투자가 민간의 R&D투자에 미치는 영향",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원종학.김진수 (2006), "연구개발투자 조세지원제도의 효과분석 : 기업별 자료를 사용한 분석", 산업경제연구, 19(4): 1653-1679.
  11. 중소기업중앙회 (2017), "2018 경기전망 및 경제환경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 중소기업중앙회
  12. 최대승 (2013), "R&D 조세지원제도 효과분석을 통한 일몰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3. 최대승 (2015), "기업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실증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5), "산업계 R&D 조세감면 지원정책에 대한 실태조사", 서울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5.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6), "2017년 산업계 연구개발 전망조사 보도자료", (2016.12.14.).
  16.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7), "기업 85.7% "R&D조세지원 축소되면 연구원 신규채용 축소", (2017.7.12.).
  17. Baghana, R. and Mohnen, P. (2009),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s in Small and Large Enterprises in Quebec", Small Business Economics, 33(1): 91-107. https://doi.org/10.1007/s11187-009-9180-z
  18. Bloom, N., Griffith, R. and Van Reenen, J. (2002), "Do R&D Tax Credits Work? Evidence from a Panel of Countries 1979-1997",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5(1): 1-31. https://doi.org/10.1016/S0047-2727(01)00086-X
  19. Cameron, A. C. and Trivedi, P. K. (1986), "Econometric Models Based on Count data. Comparisons and Applications of Some Estimators and Tests",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1(1): 29-53. https://doi.org/10.1002/jae.3950010104
  20. Cameron, A. C. and Trivedi, P. K. (2005). Microeconometric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5-743.
  21. Gardner, W., Mulvey, E. P. and Shaw, E. C. (1995), "Regression Analyses of Counts and Rates: Poisson, Overdispersed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18(3): 392. https://doi.org/10.1037/0033-2909.118.3.392
  22. Hall, B. H. (1993), "R&D Tax Policy During the Eighties: Success or Failure?", Tax Policy and the Economy, 7: 1-36. https://doi.org/10.1086/tpe.7.20060628
  23. Hausman, J. A. and Taylor, W. E. (1981), "Panel Data and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s",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1377-1398.
  24. Kasahara, H., Shimotsu, K. and Suzuki, M. (2014), "Does an R&D Tax Credit Affect R&D Expenditure? The Japanese R&D Tax Credit Reform in 2003", CESifo Working Paper No. 4451.
  25. Koga, T. (2003), "Firm Size and R&D Tax Incentives", Technovation, 23(7): 643-648. https://doi.org/10.1016/S0166-4972(02)00010-X
  26. Lokshin, B. and Mohnen, P. (2012), "How Effective are Level-Based R&D Tax Credits? Evidence from the Netherlands", Applied Economics, 44(12): 1527-1538. https://doi.org/10.1080/00036846.2010.543083
  27. OECD (2013),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