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igner's Spatial Change and Relationality to Industrial Work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2000~2015 Year

부산광역시 외국인의 공간변화 그리고 산업종사자와 관계, 2000~2015년

  • Park, Kyutaeg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
  • Received : 2018.12.14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eigner's spatial change and relations to industrial workers in the sixteen distri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00 year to 2015 year. To achieve the goal, the data published in Pusan Statistical Yearbook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 spatial changes of foreigners as a whole during 2000~2015 year are different based on their nationality. Secondly, foreigner's spatial change based on nationality and gender is much complex. The meaning of foreigner's spatial change in each district tes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s is different according to a time scale. Thirdly, the relationality between foreigners as a whole and industrial workers in the sixteen districts is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gender. The study method can be utilized at other cities or regions, and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can be helpful to solve various problems due to increasing foreigners.

본 연구의 목적은 2000~2015년 동안 부산광역시 16개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공간변화 그리고 산업종사자와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적 추론적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2015년 동안 총외국인이 거주하는 공간변화는 국적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국적별 혹은 성별 외국인의 공간변화는 총외국인의 경우보다 복잡하다. 구별 외국인의 공간변화는 어떠한 기간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있거나 그렇지 않다. 셋째, 16개 구에 속한 외국인과 산업종사자 간의 관계는 국적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 방법은 다른 도시 혹은 지역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 결과의 축적은 한국 도시 혹은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공간변화 양상을 조망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영.류연택, 2012,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적 분포와 사회.경제적 특성 - 충청북도를 대상지역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676-694.
  2. 김현숙.백두주.김도경, 2012, "부산지역 외국 인력의 공간적 분리에 관한 연구 - 전문 인력과 비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13, pp.221-261.
  3. 강현주.서정렬, 2016, "부산시 외국인 거주자와 거주 실태 및 특성 분석," 부동산.도시연구 8(2), pp.39-64.
  4. 문소라.장영진, 2014, "에스닉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카니즘: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 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876-891.
  5. 부산(직할)시, 1967, 1977, 1981, 부산(직할)시통계연보.
  6. 부산광역시, 2001, 2006, 2011, 2016, 부산통계연보.
  7. 박명섭.박광태, 2002, 통계학개론, 서울: 홍문사.
  8. 박배균, 2010, "외국인 국내 적응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연구: 전문직 종사 외국인들을 대상 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1), pp.89-110.
  9. 박원석, 2015a, "미국 LA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7-44.
  10. 박원석, 2015b, "런던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67-491.
  11. 서의훈, 2013, SPSS 21을 이용한 통계분석, 파주시: 자유아카데미.
  12. 송지준, 2014,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시: 21세기사.
  13. 이용균, 2013, "이주자의 장소점유와 주변화 담론 연구 -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18-232.
  14. 임석회, 2009,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pp.364-387.
  15. 임현정, 2016, "외국인주민과 더불어 사는 부산 만들기," 부산여성가족브리프 29, pp.1-8.
  16. 조선총독부, 1915, 1920, 1930, 1935, 1940,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17. 정건섭.김성우, 2011, "저출산, 고령화, 다문화 사회를 대비한 부산광역시의 도시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 25(3), pp.77-95.
  18. 최병두, 2009, "한국 이주노동자의 일터와 일상생활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pp.319-343.
  19. 최은영.구동회, 2012, "부산의 인구 변동 요인과 인구 구조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6(3), pp.333-345.
  20. 통계청, 2018,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보도자료).
  21. Siegel, S. and Castellan, N. J. Jr., 1988, Nonparametric Statistics,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