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objectification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성인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자기대상화 및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재희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서경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8.05.18
  • Accepted : 2018.07.04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m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among women. The study subjects were 286 women with a mean age of 23.78(SD=4.34)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objectificatio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Second, covert narcissism, self-objectificatio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lfie addiction proneness and they accounted 25.7% for variance of selfie addiction proneness. Especiall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ccounted for selfie addiction proneness the most. Third,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ed self-objectification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define the concept of selfie addiction proneness and understand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account for it.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성들의 내현적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 및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성인여성 286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3.78세(SD=4.34)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대상화, 자기제시동기는 각각 셀카 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대상화, 자기제시동기는 셀카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예언변인이었으며, 이 세 가지 변인들은 셀카 중독경향성의 변량을 25.7% 설명하였다. 특히 셀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명력은 자기제시동기가 가장 높았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자기대상화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제시동기 또한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부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는 셀카 중독경향성의 개념을 정의 내리고 이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심리적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정보문화실태조사 보고서, 2013.
  2. 김선미, 서경현,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3호, pp.587-603, 2015.
  3.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 Oxford Dictionaries, https://www.oxforddictionaries.com, 2013.
  5. 김은솔, 반영환, "셀프카메라에서의 제스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2호, pp.267-276, 2015.
  6. 안서연, 셀프카메라(Self-Camera) 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프로테우스 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윤슬기, 대학생의 자존감, 자기애 및 우울이 셀카집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 김종길, "아바타와 청소년의 사이버정체성발달.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85-215, 2004.
  9. 노기영, "개인 웹페이지 표현양식에 대한 자아의 식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2호, pp.279-309, 2002.
  10. http://www.ajunews.com/view/20160614151344538, 2016.6.14
  1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6.
  12.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390, 2016.8.30.
  13.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057, 2017.2.15.
  14. S. Singh and K. M. Tripathi, "Selfie: A New Obsession," Available from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920945, 2016.
  15. http://news.join.com/article/21240576, 2017.2.10.
  16.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10601033, 2015.7.11.
  17.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057, 2017.2.7.
  18.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805001400038/?did=1825m, 2017.8.5.
  19. A. Siibak, "Constructing the self through the photo selection-visual impression management on social networking websites," Cyberpsychol: J. Psychosoc. Res. Cyberspace, Vol.3, No.1, Available from http://www.cyberpsychology.eu/view.php?cisloclanku=2009061501>, 2009.
  20. P. Sorokowski, A. Sorokowska, A. Oleszkiewicz, T. Frackowiak, A. Huk, and K. Pisanski, "Selfie posting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narcissism among m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85, pp.123-127, 2015. https://doi.org/10.1016/j.paid.2015.05.004
  21. E. B. Weiser, " # Me: Narcissism and its facets as predictors of selfie-posting frequenc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86, pp.477-481, 2015. https://doi.org/10.1016/j.paid.2015.07.007
  22. M. Tiggemann and A. Slater, "Net Girls: The Internet, Facebook, and body image concern in adolescent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4, No.6, pp.630-633, 2013.
  23.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9-990, 2002.
  24. P. Rose,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3, pp.379-391,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162-3
  25. 박은화, 내현적 자기애 성향, SNS 사용,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27. 이계정,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형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1호, pp.55-69, 2007.
  28. 황상민, 한규석, 사이버 공간의 심리, 서울: 박영사, 1999.
  29. 장윤지,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어려움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0. D. J. Kuss and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8, No.9, pp.3528-3552, 2011.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31. J. Brailovskaia, and H. W. Bierhoff, "Cross-cultural narcissism on Facebook: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social interaction and the open and covert narcissism on a social networking site in Germany and Russi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5, pp.251-257, 2016. https://doi.org/10.1016/j.chb.2015.09.018
  32. 김은혜, 대상화요인이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3. 노은실, 청소년의 자기대상화와 자아존중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SNS이용행태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4. 김윤, 황선진, "사회문화적 압력과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 제58권, 제10호, pp.112-122, 2008.
  35. 손은정,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3호, pp.735-750, 2007.
  36. B. L. Fredrickson and T. A. Roberts,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1, No.2, pp.173-206, 1997.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8.x
  37. C. A. McConnell,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0.
  38. 김남재, "자기제시 동기와 대인 간 평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3권, 제3호, pp.677-695, 2004.
  39. 강진화, 자기제시동기 및 자기제시기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0. 구세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6.
  41. R. F. Baumeister and M. R. Leary,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17, No.3, pp.497-529, 1995. https://doi.org/10.1037/0033-2909.117.3.497
  42. M. R. Leary and R. M. Kowalski, The self-presentation model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p.94-112, New York: Guilford Press, 1995.
  43. S. Akhtar and J. A. Thomson,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9, No.1, pp.12-20, 1982. https://doi.org/10.1176/ajp.139.1.12
  44. N. M. Mckinley and J. S. Hyde,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0, No.2, pp.181-215, 1998.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6.tb00467.x
  45.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 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6권, 제2호, pp.329-349, 2007.
  46. 김남재, 대인불안에 대한 자기제시 동기와 자기제시 기대간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4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권준수 외 공역, 서울: 학지사, 2015.
  48. M. Griffiths,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Vol.10, No.4, pp.191-197, 2005. https://doi.org/10.1080/14659890500114359
  49.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2호, pp.425-443, 2014.
  50. 조성현, 서경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5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2. 이은지, 이정아, 성용준, "자기애와 자기홍보행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426-426, 2015.
  53. 신상기, "욕망의 시각화, 셀프카메라(셀카)의 나르시시즘,"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533-541, 2014.
  54. R. M. Amurao and E. Castronuevo, "Selfie Behavior and Narcissism among selected Females," THE BEDAN JOURNAL OF PSYCHOLOGY, Vol.1, pp.24-33, 2016.
  55. 안서연, 김정현, "셀프카메라(Self-Camera) 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3권, 제2호, pp.87-123, 2016.
  56. J. Fox and M. C. Rooney, "The Dark Triad and trait self-objectification as predictors of men's use and self-presentation behaviors on social networking si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76, pp.161-16, 2015. https://doi.org/10.1016/j.paid.2014.12.017
  57. 김동섭, 셀피의 SNS 노출과 패션 제품 노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8. A. S. Dobson and J. Ringrose, "Sext education: pedagogies of sex, gender and shame in the school yards of Tagged and Exposed," Sex Education, Vol.16, No.1, pp.8-21, 2016. https://doi.org/10.1080/14681811.2015.1050486
  59. 김연주, "나 이렇게 살아요." 자아 표현 및 전시도구로서의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0. A. Eftekhar, C. Fullwood, and N. Morris, "Capturing personality from Facebook photos and photo-related activities: How much exposure do you need?,"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7, pp.162-170, 2014. https://doi.org/10.1016/j.chb.2014.04.048
  61. J. W. Kim and T. M. Chock, "Personality traits 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predicting selfie posting behaviors on social networking sit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4, No.5, pp.560-571, 2017. https://doi.org/10.1016/j.tele.2016.11.006
  62. B. Van Der Heide, J. D. D'Angelo, and E. M. Schumaker, "The effects of verbal versus photographic self‐present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in Facebook,"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2, No.1, pp.98-116, 2012.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1.01617.x
  63. 엄하정, 장진규, 김민지, 김태동, 김현영, 김진우,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대감이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371-377, 2014.
  64. J. R. Dominick, "Who do you think you are? personal home paged and self-presentation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6, No.4, pp.646-658, 1999. https://doi.org/10.1177/107769909907600403
  65. H. J. Schau and M. C. Gilly, "We are what we post? Self-presentation in personal web spa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0, No.3, pp.385-404, 2003. https://doi.org/10.1086/378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