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상, 권정심, 신지혜(2012).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 25-46.
- 강영심, 황순영, 오미옥(2008).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통합교육연구, 3(1), 45-62.
- 교육부(2013). 2013년 특수교육연차보고. 서울: 교육부.
- 권현미(2005). 유아통합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숙, 김미숙, 김성애, 김수진, 박숙영, 백유순, ... 허계형(2009).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 김성애(2012). 통합교육 실제에서의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Heider 의 귀인이 론 중심. 지적장애연구, 14(2), 157-175.
- 김성애(2014). 우리나라장애이해교육의 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14(2), 53-73.
- 김승현, 원종례, 안의정(2016).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개발. 특수교육, 15(1), 51-71.
-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김현숙(2006).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은호, 박인숙, 손상국(2003).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과 상호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1), 167-190.
- 박영옥, 장진희(2015).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4), 301-328.
- 서선희, 김진희(2003). 장애 이해 활동이 비장애 아동의 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7(2), 87-94.
- 서현아, 조윤경(2010). 100명 이상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장애아동 편의시설 실태 및 욕구조사 :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3), 1-26.
- 양승희, 유지연, 조현정(2014). 보육과정. 서울: 동문사.
- 원영미, 전지혜(2018).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1), 169-192.
- 원종례, 엄수정(2007).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7, 47-81.
- 원종례, 이명희, 박현옥(2014).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행 경험과 지원요구: 통합교육기관에 적합한 장애 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413-440.
- 이경은(2015).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 현황.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상애, 김성애(2005). 장애이해 교육활동을 통한일반유아 장애 인식 및 태도 변화. 유아특수교육연구, 4(2), 113-136
- 이소현(2005).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77-305.
- 이수정, 이소현(2011).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 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개별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6, 197-222.
-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2012).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교육 현황과 선진화 방안(육아정책연구소 정책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지선, 신은수, 김현진(2010).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태도, 변화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에 기초한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4), 223-254.
- 이혜영(2005).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명희, 양승희(2008).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2), 49-72.
- 조형숙, 이효정(2009). 장애이해교육의 구성과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3(3), 359-377.
- 최병민(2005). 초등학교 도덕과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장애 이해교육 내용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하수진, 이순자(2013).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3, 75-112.
- Avramidis, E., and B. Norwich. (2002).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tegration/inclus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17(2), 129-47. https://doi.org/10.1080/08856250210129056
- Baglieri, S. (2008). 'I connected': Reflection and biography in teacher learning toward incl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2(5-6), 585-604. https://doi.org/10.1080/13603110802377631
- DeVore, S., & Russell, K.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cilitating inclusive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 189-198 https://doi.org/10.1007/s10643-006-0145-4
- Feuser, G. (1982). Integration= die gemeinsame Tatigkeit (Spielen/Lernen/Arbeit) am gemeinsamen Gegenstand/Produkt in Kooperation von behinderten und nichtbehinderten Menschen. Behindertenpadagogik, 2(82), 86-105.
- Glesne, C. (2017). 질적연구자 되기. 안혜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Graham, L. J. (2008). From ABCs to ADHD: The role of schooling in the construction of behaviour disorder and production of disorderly o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2(1), 7--33. https://doi.org/10.1080/13603110701683311
- Jordan, A., Lindsay, L., & Stanovich, P. J. (1997). Classroom teachers' instructi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are exceptional, at risk, and typically achiev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8(2), 82-93. https://doi.org/10.1177/074193259701800202
- Jordan, A., Schwartz, E., & McGhie-Richmond, D. (2009). Preparing teachers for inclusive classroom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4), 535-542. https://doi.org/10.1016/j.tate.2009.02.010
- Lieber, J., Beckman, P. J., Hanson, M. J., Janko, S., Marquart, J., Horn, E., & Odom, S. (1997). The impact of changing roles on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s in inclusive programs for young childre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67-.8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6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 McCabe, H. (2003). The beginnings of inclus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search Practices in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8(1), 16-22. https://doi.org/10.2511/rpsd.28.1.16
- Miles, M. B., & Huberman, A. M. (1984). Drawing valid meaning from qualitative data: Toward a shared craft. Educational Researcher, 13(5), 20-30. https://doi.org/10.3102/0013189X013005020
- Simpson, C. G., McBride, R., Spencer, V. G., Lodermilk, J., & Lynch, S. (2009). Assistive technology: Supporting learners in inclusive classrooms. Kappa Delta Pi Record, 45(4), 172-175. https://doi.org/10.1080/00228958.2009.10516540
- Tavares, W. (2011). An evaluation of the Kids are Kid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Increasing social inclusion among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social work in disability & rehabilitation, 10(1), 25-35. https://doi.org/10.1080/1536710X.2011.546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