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 Kim, Jung Won (Dept. of Child Care &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
  • Jeon, Sun 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김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 전선옥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29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Many factors that may affect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een discovere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eaching aptitude in the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d self-esteem in relation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scale and teaching aptitude scale assessed the self-esteem and teaching aptitude of 34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city in Gangwon-do and N-city in Kyunggi-do, Korea.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dimensions of the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ing aptitude, indicating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er self-esteem were likely to have greater teaching aptitud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esteem in the areas of leadership and popularity, self-assertiveness, and social-rela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희, 장영숙(2010). 공립유치원 교사의 근무부담과 자아개념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1-20.
  2. 강종구(1986).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구광현, 김성숙(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4. 구은미(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국립국어원(2014).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에서 2018년 4월 1일 인출.
  6. 권연희(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4, 131-151.
  7.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8. 김경선(2016).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김계영(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미숙(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이후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은화(2004).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은(2010).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김진영(2013).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직인.적성과의 관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4. 김혜경(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김혜정, 김혜순(2015).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 민감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4(4), 748-760.
  16.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7. 노은호(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역량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3(3), 205-221.
  18. 박상돈(2010). 교인들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목회상담적 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9. 박성혜(2014). 유아교사의 적성과 행복감과의 상관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6), 27-52.
  20. 박성혜(2015).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2), 211-242.
  21. 박성혜, 박은주(2014).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165-190.
  22. 박은주(2016).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1), 163-182.
  23.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4. 박희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백영숙, 강병재(201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25-47.
  26. 변지혜(2013).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교직적성의 관계.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성원경, 김진영(2015).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4(5), 55-71.
  28. 송순옥, 김하종, 성연정(2015).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5(3), 89-107.
  29. 심익섭, 임권엽(2013).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3(4), 55-69.
  30. 오수진, 장영숙(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31. 이경미(2012).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 교수 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이선희, 이승연(2011). 만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63-189.
  33. 이영석, 이세나(2005). 보육교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 교사 개인적 변인과 상황 변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43-74.
  34. 이윤주(2016). 교사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이인원(2012).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4), 167-188.
  36. 이지영(2008).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7. 이지영(2012).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이지현(2013). 어린이집 교사의 가치관 및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9. 임명희, 박윤조, 김성현(2017).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45-161.
  40. 임연진(2012). 예비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및 교육신념 간의 관계 [초록]. 한국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27
  41. 전재선(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2. 정향미, 박인숙, 허혜경(2015).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 만족의 영향; 교수효능감의 조절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239-257.
  43.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지, 26(1), 359-373.
  44. 조운주(201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인성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육아지원연구, 9(6), 101-123.
  45. 조주연(2003). 교직적성.인성검사도구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46.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철, 최지은(2004). 초등 교직적성검사 모형개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3), 131-182.
  47.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철, 최지은(2007). 초등교적성검사(TAPST).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20(2), 161-182.
  48. 조혜진, 김수연(201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49. 최은정, 하지영, 서소정(2009).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30(2), 71-95.
  50. 한종화(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271-287.
  51. 한진원(2011).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2. 한희경, 성원경, 김진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3(5), 43-62.
  53.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54. Bedel, E. F. (2015). Exploring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4(1), 142-149.
  55. Bissessar, C. S. (2014).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collective self-esteem.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9), 35-52.
  56. Blaine, B., & Crocker, J. (1995). Religiousness, ra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ploring social psychological mediat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1031-1041.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10004
  57. Bowman, B. T. (1995). The professional developmental challenge: Supporting young children anf family. Young Children, 51(1), 30-34.
  58. Coggins, C., & McGovern, K. (2014). Five goals for teacher leadership. Phi Delta Kappan, 95(7), 15-21. https://doi.org/10.1177/003172171409500704
  59.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60. Garvis, S., Fluckiger, B., & Twigg, D. (2011). Exploring the beliefs of comm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tudents: Providing insight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1), 6.
  61. Grieve, A. M. (2010).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for excellence": Teachers' own perception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3), 265-277. https://doi.org/10.1080/02619768.2010.492854
  62. Gulacti, F. (2015). Investigation and procedure according to some variables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and Review, 10(10), 1369-1376. https://doi.org/10.5897/ERR2015.2159
  63. Halliwell, S. (1993).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D. Bridges & T. Kerry(Ed).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pp 67-78). London: Routledge.
  64. Kernis, M. H. (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1), 1-26.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401_01
  65. Kumar, S. S., & Mohana, D. (2014). An investigation into self-esteem and adjustment of B.E.D. teacher traine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al Research, 3(3), 28-32.
  66. Lai, E., & Cheung, D. (2015). Enacting teacher leadership: The role of teachers in bringing about change.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43(5), 673-692. https://doi.org/10.1177/1741143214535742
  67. Luthans, R., & Crocker, J. (1992).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n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302-318. https://doi.org/10.1177/0146167292183006
  68. Persinger, J. (2012). An alternative to self-esteem: Fostering self-compassion in youth. Communique, 40(5), 22-23.
  69. Rike, C. J., & Sharp L. K. (2008). Assessing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 A critical dimension of professional preparation. Childhood Education, 84(3), 150-153. https://doi.org/10.1080/00094056.2008.10522994
  70. Raths, J. (2001).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belief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3(1). http://ecrp.uiuc.edu/v3n1/raths.html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71. Rimm-Kaufman, S. E., & Sawyer, B. E. (2004). Primary-grad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ttitudes toward teacing, and discipline and teaching practice priorities in relation to the responsive classroom approach.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4(4), 321-341. https://doi.org/10.1086/499756
  72. Roseng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73. Smulyan, L. (2016). Symposium introduction: Stepping into their power-The development of a teacher leadership stance. Schools: Studies in Education, 13(1), 8-28. https://doi.org/10.1086/685800
  74. Shanmugam, P. N. L. (2016). A study on differential aptitude and teaching competency of student teachers in Kancheepuram district.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7(13), 87-88.
  75. Tunde, A. O., & Onabanjo, O. C. (2013).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eachers' proness to burnout sysdrome in Lagos Metropolis. America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1), 7-13.
  76. Wang, J., Zhang, D., & Jackson, L. A. (2013). Influence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a sample of Chinese teache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3(7), 1428-1435. https://doi.org/10.1111/jasp.12099
  77. Yavuzer, Y. (2015).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tendencies, self-esteem, and cognitive distortion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15(4), 879-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