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Plan of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In the Public Sector

공공부문 성과연봉제의 발전방안 -T공단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14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In recent years, problems like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phasizes the outcome, deepening of stagnation of promotion, the advent of high wages and the open era, the shortage of talented human resources has occurred. Thus, public agencies have an effort to improve the traditional seniority supply wage system and have carried out introducing the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This study analyzed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 in addition to the investigation of the recognition of employees related to the outcome annual salary system of recent public agencies.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of public agencies was introduced in conjunction with the evaluation of the public agencies.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of this way were studied something that it have been properly secured, what is problems generated by the annual salary system fusing process and improvement about them. According to the study, It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problems like strong negative perceptions of overall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the sense of discomfort occurrence associ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outcome annual salary system, salary piling of objectivity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etc.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onverse of negative recognization, eliminate discomfort of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provide fair evaluation criteria of the outcome, and due to the implementation annual salary system, and clarification of sectoral performance concepts and criteria.

최근에는 성과를 중시하는 조직문화의 형성, 승진적체의 심화, 고임금 및 개방화시대의 도래, 청년실업급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들은 종래의 연공급 임금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따라 성과연봉제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관련 직원들의 인식조사와 더불어 성과연봉제의 문제점, 성과연봉제의 개선방안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는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평가와 연계되어 도입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도입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는 제대로 안착되고 있는가, 연봉제 안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개선점은 무엇인가 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과연봉제에 전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점, 성과연봉제 실시에 따른 위화감 발생, 능력평가에 대한 연봉산적의 객관성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성과연봉제의 부정적 인식전환, 성과연봉제 실시에 따른 위화감 해소,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준 마련, 분야별 성과개념 및 기준의 명확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S. Bowman, "The Success of Failure: The paradox of Performance Pay,"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30, No.1, pp.70-88, 2009. https://doi.org/10.1177/0734371X09351824
  2. J. L. Perry, T. A. Engbers, and S. Y. Jun, "Back to the Future? performance-Related Pay. Empirical Research. and the Perils of Persiste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9, No.1, pp.39-51, 2009.
  3. 강여진, 배귀희, "공기업 성과연봉제의 효율적인 제도설계와 운용을 위한 정책적 제언: 관련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Vol.21, No.2, pp.199-238, 2012.
  4. 문병효, "국립대학 성과연봉제도에 대한 법적 고찰," 강원법학, Vol.41, No.1, pp.419-466, 2014.
  5. 이승계, "성과주의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pp.187-208, 2013.
  6. 이태종, 김혜란, 박종관,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 지지의 결정요인,"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0, No.4, pp.251-279, 2016.
  7. 이석열, 변기용, 박창언, 이보경, 한신일, 김유덕, "국립대학 교원 성과급적 연봉제도입에 따른 교원업적평가의 쟁점과 시행방안 탐색," 교육정치학연구, Vol.19, No.1, pp.79-104, 2012.
  8. 장재윤, 심원술, "성과급제 도입 효과: 내적 동기이론과 공정성이론의 적용," 한국인사․조직학회발표논문집, pp.230-258, 2004.
  9. 김동배, 김기태, "한국의 성과주의 연봉제가 고령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Vol.5, No.3, pp.53-76, 2012.
  10. 양병무,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연봉제 도입 설계 및 분석사례: 한국․일본․미국계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경영자총협회, 1998.
  11. 조남신, "연봉제 운영상 구조적 특성과 공정성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pp.31-72, 2002.
  12. 송광선,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특성 및 이의 평가,"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2 pp.33-57, 1999.
  13. 한국조세연구원,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의 효과적인 도입, 2010.
  14. 신현호, "공기업의 성과중심 보수제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노동연구, Vol.19, pp.127-169, 2010.
  15. 이승계, "성과주의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pp.187-208, 2013.
  16. 이태종, 김혜란, 박종관,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 지지의 결정요인,"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0, No.4, pp.251-279, 2016.
  17. 이태종, 김혜란, 박종관,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 지지의 결정요인,"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0, No.4, pp.251-27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