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stem Improvement for Application and Diffusion of Earthwork Surveying Automation Technology

토공측량 자동화 기술의 적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 이두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
  • 박재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8.05.25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gitalization of earthwork such as development of 3D terrain analysis platform using latest technologies includ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errestrial laser scanner to ultimately achieve earthwork autom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element technologies and to establish regulation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s. As a result of pilot project about the earthwork surveying automation technology,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such as terrain coordinates, soil, boring, and excavation volume is acquired smooth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related regulations and manuals in Japan and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regulation. We plan to study regulations from early to final construction stage, combine with the 'regulation for public surveying', and improve the regulations in detail.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레이저스캐너 등 최신의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지형 분석 플랫폼 개발 등 토공현장을 디지털화하여 궁극적으로 토공 자동화를 이루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국내 건설공사의 특성에 맞게 기술이 적용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화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의 무인항공기 및 레이저스캐너를 활용한 토공측량 자동화 기술은 시범사업을 통해 토공작업 계획, 현장관리 등의 기본 정보가 되는 지형의 좌표, 토질, 시추, 토공량, 성 절토 여부 등의 정보가 원활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하는 활용성 검토가 이루어졌다. 또한, 토공자동화에 대한 기술개발 및 활용에 있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일본에서의 토공자동화에 대한 기준, 매뉴얼 등 제도 개선 추진현황 및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벤치마킹하여 국내 관련 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향후 금번 제시한 "공공측량 작업규정" 개선을 포함하여 건설사업 초기단계부터 시공완료 단계까지 해당 기술 적용에 요구되어지는 관련 제도 내용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S. Singh, "State of the art in automation of earthmoving," Journal of Aerospace Engineering, Vol.10, No.4, pp.179-188, 1997. https://doi.org/10.1061/(ASCE)0893-1321(1997)10:4(179)
  2. AASHTO, "Quick Reference Guide for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Machine Guidance Systems," AASHTO Subcommittee of Construction, 2013.
  3. 國土交通省, "ICT(土工)の全面的な活用について," p.17, 2016.
  4. 김석, 박재우, "3차원 스캐너의 토공현장 적용을 위한 정밀도 및 생산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468-48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468
  5. 권순욱, 강성민, "UAV를 활용한 토공 현장용 Global Map Model 생성기술," 한국건설관리학회학회지, Vol.16, No.4, pp.12-17, 2015.
  6. Du-Heon Lee, Seok Kim, Jae-Woo Park, and Soonwook Kwon, "Generation of 3D Terrain Map Using Cell Deviation Algorithm for Earthwork," Procedia Engineering, Vol.196, pp.436-440, 2017. https://doi.org/10.1016/j.proeng.2017.07.221
  7. 國土交通省, "ICT活用工事の実施方針," 2016.
  8. 國土交通省, "UAVを用いた公共測量マニュアル(案)," 2016.
  9. 國土交通省, "UAVを用いた公共測量マニュアル(案)の概要," 2016.
  10. 國土交通省, "レーザースキャナーを用いた出来形管理要領(土工編)(案)," 2016.
  11. 國土交通省, "レーザースキャナーを用いた出来形管理の監督.検査要領(土工編)(案)," 2016.
  12.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공공측량 작업규정," 2018.
  13.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일반측량 작업규정," 2016.
  14. 김석, 박재우, 김경훈, "토공사 자동화를 위한 토공지형 디지털화 방안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20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