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le Elderly's Sexual Life and It's Satisfaction in Daegu Area

남성노인 성생활 실태 및 만족도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5.28
  • Accepted : 2018.06.07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elderly's sexual life continuance and satisfaction in Daegu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2017 to July 31st in 2018 by face-to-face interviews. 259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29% of the respondents continued their sexual life and approximately 55% of them were satisfaction in their sexual life.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ge, having wife, and living with wife onl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male elderly's sexual continuance. Frequency of sexual intercourse, number of disease, and the experience of venereal diseas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s sexual life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성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성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에 걸쳐 직접면담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가운데 259개가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약 29%는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으며 성생활에 만족하는 응답자는 약 55%이었다. 연령, 배우자유무 그리고 가구형태 등의 변수들이 남성노인의 성생활지속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성관계횟수, 질병수, 그리고 성병경험여부 등의 변수들이 응답자들의 성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KOSIS, 2016.
  2. 리해근, 하규수,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80-29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80
  3. 오세근, "노인의 성적권리에 대한 복지 철학적 이해," 사회복지정책, 제5권, pp.81-92, 1997.
  4. S. J. Lee, Y. S. Lee, and Y. E. Kim, "The degree of elderly sexual desire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ex,"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10, No.1, pp.1-21, 2013.
  5. D. Ra and Y. Kim, "The impact of the elderly's sexual life and sexual attitude on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31, pp.185-204, 2011.
  6. 박형규,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성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수원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자치발전, 제71권, pp.83-101, 2001.
  7. 김윤정,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5호, pp.133-143, 2003.
  8. 신용선,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I. B. Addis, S. K. Eeden, and C. L. WasselFyr, "Sexual activity and function in meddleaged and older women," Obstet Gynecol, Vol.107, pp.755-764, 2006. https://doi.org/10.1097/01.AOG.0000202398.27428.e2
  10. 한국소비자원, 지방노인의 안전한 성생활 실태조사, 안전보고서, pp.1-84, 2012.
  11. 홍강의, "인간의 성 - 그 본질과 기능," 대한의사협회지, 제43권, 제2호, pp.103-106, 2000.
  12. 차화석,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생활 인식개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 권명숙,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4. F. D. Cox, Human itimacy: marriage, the family, and its mean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9.
  15. 김동일, "노인과 성," 가족과 문화, 제2권, pp.53-68, 1997.
  16. 이윤숙, "한국인의 노인에 대한 의식구조연구," 최신의학, 제25권, 제9호, pp.113-134, 1982.
  17. 오진주, "노인의 성 생활경험에 대한 서술적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36-251, 1999.
  18. 김주희, 이창은, "유배우자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85-195, 2000.
  19. S. T. Lindau, S. E. Philip, W. L. Laumann, A. O. Colm, and J. W. Linda, "A study of sexuality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57, pp.762-774, 2007(8). https://doi.org/10.1056/NEJMoa067423
  20. 이미경, 노인부부의 성생활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1. 황은희, 신수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생활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83-190,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2.183
  22. J. H. Kwon and Y. M. Le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x and sexual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8, No.2, pp.13-27, 2006.
  23. 김명숙, 고종욱, "노인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46-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24. 이장봉, 노인의 성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5. 김태현, 한혜선 역, 노년기의 부부관계, 서울대학출판사, 1996.
  26. 황희문,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산업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김지현, 노인의 성생활 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8. 김연, 유영주, "기혼남녀의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pp.1-18, 2002.
  29. J. D. Delamater and M. Sill, "Sexual desire in the later life," Journal of Sex Research, Vol.42, No.2, pp.138-149, 2005. https://doi.org/10.1080/00224490509552267
  30. 김한곤, 이희성, "한국노인의 성생활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인문연구, 제69권, pp.579-60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