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Type of Regeneration Project on Old Industrial Complex

  • 김주훈 (국토연구원, 인하대학교 도시계획학) ;
  • 변병설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 투고 : 2018.06.27
  • 발행 : 2018.06.30

초록

국토교통부는 재생사업선정을 통해 전국에, 착공 후 20년 경과된 산업단지 공모사업을 실시하여 1차 시범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2009년9월) 4개 지구, 2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4개 지구(2014년12월), 3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10개 지구(2016년4월), 4차 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5개 지구(2017년3월)를 선정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곳은 착공 후 20년이 경과된 산업단지 기준으로 23개 지구가 선정되었다. 하지만 재생사업지구의 지속적인 선정에도 불구하고 재생사업은 큰 성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재생사업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2015년 5월 개정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39조12.13에서 정한 활성화 구역 지정 특례제도를 도입하였다. 활성화 구역은 재생사업 추진을 활성화하고 가시화를 통한 재생사업 전파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지역 산업단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업추진을 해야 하므로 무리한 활성화 구역 설정은 재생사업의 지체와 많은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으므로 노후산업단지의 개별특성에 맞는 계획 수립 및 객관적 추진 방법에 대한 기준과 분류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2014년 기준으로 착공 후 20년 된 83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과 노후산업단지 DB를 구축 활용하여 재생사업 추진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83개 재생사업지구 사업추진단계에서의 개별산업단지의 사업추진 유형 등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노후산업단지 사업추진 단계에 있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With significant influences of old industrial complex in September 200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hose the 4 districts for the first pilot project. In December 2014, the second pilot project district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were 10 districts in April 2016 and 5 districts in April 2016 as the third pilot project and 5 districts in March 2017 as the fourth pilot project. In order to promote smooth business operation of the recycling business, we introduced the effective area designation and special system as stipulated in Article 39.12-13 of the Industrial Location and Development Act revised in May 2015. The effective area, It is a method that can promote propagation and diffusion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through visualization by making effective the promotion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nd by promoting the business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 region and industry group, The setting of the unreasonable effective area is based on the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the plan and the objective promo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industrial park because the delay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crease of many problems are presented Be sure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the old industrial complex database were constructed and utilized to classify the types of recycling pro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ged industrial complex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sis of 83 aged industrial complex sites and the rehabilit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Land, and the types of business promotion for aged industrial parks.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양미, 2002, "구로공단(서울디지털산업단지) 산업구조 재편에 관한 연구," 춘계정기학술대회 2002, pp.4-14.
  2. 국토연구원, 2013,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국토교통부.
  3. 국토연구원, 2014,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종합계획, 국토교통부.
  4. 국토연구원, 2015,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 전략계획 연구, 국토교통부.
  5. 안유정, 2015,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에 기초한 노후산업단지의 효율성 지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2), pp.219-242.
  6. 양대웅, 2011, "서울디지털 산업단지의 경영자와 종사자 의향 분석을 통한 재생 정책 연구," 부동산연구 21(3), pp.185-204.
  7. 유종훈, 2013, "DEA와 DEA-window 분석을 이용한 일반산업단지의 효율성 측정," 국토계획 48(3), pp.89-109.
  8. 유재윤, 2014, 도시재생에 대한 민간비즈니스 부문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과제.
  9. 이동기, 2008, "자료포락분석(DEA) 활용을 통한 지방정부의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2(1), pp.203-216.
  10. 이윤, 2011, "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한국의 주요 국가산업단지 운영 효율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5), pp.95-118.
  11. 이종호, 2012, "산업단지 조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570-584.
  12. 이철우, 2011, "대도시 도심 제조업 집적지의 형성과정과 존립기반: 대구시 수제화 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506-523.
  13. 이현주, 2015, 노후산업단지 재생활성화를 위한 LH의 역할 및 참여방안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14. 박광태, 1999 , EXCEL 활용 의사결정, 박영사.
  15. 박원석, 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381-388.
  16. 배세영, 2009, "우리나라 대학병원의 효율성과 생산성변화의 수렴성 분석," 서비스경영학회지 10(3), pp.53-95.
  17. 장철순.김주훈, 2017, "경쟁력 지표를 통한 노후산업단지 진단과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재생사업지구비 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45-258.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245
  18. 전경숙, 2014, "미국 텍사스주 러벅시의 도시 구조와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848-863.
  19. Alonso, W., 1964, Location and Land us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 Anne, T. and Rober, M., 2017, A new wave of urban competitiveness, brookings.
  21. Center for Economic Development, 2005, Curbing Industrial Decline or Thwarting Redevelopment? An Evaluation of Chicago's Clybourn Corridor, Goose Island, and Elston Corridor Planned manufacturing Districts, Milwaukee, WI: Th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22. Hobsons, B., 2008, Industrial Development Design Guidelines.
  23.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2001, Brownfields Redevelopment: A Guidebook for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2nd Edition. Washington D.C.: ICMA.
  24. Mallach, A., 2010, Facing the Urban Challenge: The Federal Government and America's Older Distressed Cities, Washington, DC: Metropolitan Policy Program at Brookings Institute.
  25. OECD, 2001, Encouraging Environmental Management in industry.
  26. Oehler, K., Stephen S. and Blair B., 2006, Mill Town, Factory Town, Cultural Economic Engine: North Adams in Context. North Adams, MA: Center for Creative Community Development.
  27. Th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Mayors, 2010, Brownfields Redevelopment: A Compendium of Best Practices, Volume 5, Washington, DC: United States Conference of Mayors.
  28. Th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Mayors, 2004, Brownfields Redevelopment: A Compendium of Case Studies, Volume 1, Washington, DC: United States Conference of Mayors.
  29. Oehler, K., Stephen S. and Blair B., 2006, Mill Town, Factory Town, Cultural Economic Engine: North Adams in Context. North Adams, MA: Center for Creative Community Development.
  30. Alker, S., Joy, V., Robert, P. and Nathan, S., 2000, "The Definition of Brownfield," Journal of Environmetal Planning Management 43(1), pp.49-69. https://doi.org/10.1080/09640560010766
  31. UNEP, 1997, Environmental management industrial estate.
  32. Urban Land Institute, 2001, Business Park and Industrial Development Handbook, Washington D.C.: Urban Lang Institute.
  33. 小池一成, 2004, 地域産業再生に關する基礎的硏究産業競爭力强化と社會關係性資本大學産業集積, 地域政策硏究 高崎経濟大學地域政策學會.
  34. 內閣官房 地域再生推進室, 2002, 地域再生のために一ロ一地域が主役一, 內閣府 地域再生事業推進室.
  35. 內閣官房地域活性化統合事務局, 2013, 構造改革特區制度とは.
  36. www.saitech-inc.com, User's Guide to DEA(Data Envelopment Analysis)-Solver-pro(professional Version 13.0)

피인용 문헌

  1.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동인 vol.21, pp.4, 2018,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