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산업화 시대의 과학·기술과 헌법 : 제헌헌법 제5조의 '창의 존중'과 미래혁신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Post-industrial Society

  • 투고 : 2018.06.05
  • 심사 : 2018.08.30
  • 발행 : 2018.09.30

초록

대한민국은 '과학기술'을 경제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규정한 산업화 시대의 헌법을 바탕으로 포스트-산업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새 시대에 걸맞은 헌법 개정 있어서, 헌법에 고착된 '산업화 시대의 관성'을 밝히는 것이 우선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 기술 관련 헌법 조문을 비교법적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헌법에서 함의된 산업화 시대의 관성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헌법적 용어인 '과학기술'의 협착성(狹窄性)이다. 헌법에서 '과학은 기술에 종속되고, 기술은 과학에 한정' 되었다. 둘째, 과학기술의 경제발전 수단화이다. 셋째, 현행 헌법 제127조에 기재된 '혁신'이 '진흥 창달'의 개념으로 통념되는 것이다. 산업화 시대의 공업화의 기초로서 통념된 '과학'은 산업기술 획득의 수단에서 해방되어야 하고,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기술'은 다양성과 창의성을 통섭(通涉)해야 한다. 또한, 경제발전 이외의 과학 기술의 다양한 영향을 인정하는 헌법 규정이 필요하고, 이는 '과학 기술국가 원리'의 헌법적 선언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변화의 시대에 한국형 국가혁신체제를 헌법의 틀 안에서 재정립해야 한다.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체계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최고도로 발휘되어야 한다. 국가의 모든 영역에서 자유 평등과 함께 '창의'를 국가의 기본 성격으로 삼았던 제헌헌법 제5조의 규정을 전문 또는 총강에 부활시켜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한국형 국가혁신체제의 헌법적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

Korea has entered into a post-industrial era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industrial age, which defines 'science technology' as a means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new era,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ertia of the industrial age" adhered to the Constitution. To this end, I analyzed the Constitution concerning 'science-technology' with comparative legal study and diachronic approach. The "inertia of the industrialization age" implied by the Constitu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constri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nstitution, science is subordinate to technology, technology is limited to science. Second, it marks 'science and technology' as a means for economic development. Third, 'innovation' in Article 127 is still conceived as 'development or promotion'. The 'science' must be liberated from the means for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technology' must be convergent with diversity and creativity. In addition, a constitutional provision acknowledging various influenc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ther than economic development is required, which means constitutional decla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ate principle'. Finally, in the era of so-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Korean national innovation system(KNIS) should be re-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itution. In the post-industrial era, the pursu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should based on individual freedom and creativity to the best in all areas of science, technology,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renaissance of Article 5 of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s required for the KNIS, which had made 'Creativity' the basic character of the state along with 'Liberty and Equ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경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안) 공청회 개최 (2018.1.18.)", http://www.msip.go.kr/web/main/, (2018.7.17.).
  3. 과학기술처.교육부.통상산업부.건설교통부 (1997), 과학기술혁신 5개년 계획, 경기 : 과학기술처.
  4. 국립국어원 (201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2018.06.01.).
  5. 국회도서관 (2014), 세계의 헌법-35개국 헌법 전문-개정판, 서울 : 국회도서관.
  6. 김선화 (2018), "과학기술과 헌법상의 경제조항", 한국과학기술법학회. 헌법재판연구원 주최 학술대회-과학기술에 대한 헌법적 통제, 발표논문집, 31-42.
  7. 김연식 (2014), "헌법내의 과학기술의 지위와 국가의 역할에 대한 소고", 성신법학, 13: 79-98.
  8. 김일환 (2010가), 헌법주석서 IV(제2판),-법원 등에 관한 장, 경기 : 법제처, 559-586.
  9. 김일환 (2010나), "첨단과학기술사회에서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성균관법학, 22(2): 1-23.
  10. 김일환 (2018), "헌법 제127조의 개정필요성과 내용", 한국과학기술법학회.헌법재판연구원 주최 학술대회-과학기술에 대한 헌법적 통제, 발표논문집, 1-22.
  11. 김상윤 (2016),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 '소프트 파워'", POSRI 이슈리포트, 서울 :포스코경영연구원.
  12. 명재진 (2010), 헌법주석서 I (제2판)-"총강 및 기본권에 관한 장, 경기 : 법제처, 820-851.
  13. 박기주 (2017), "과학기술 헌법조항의 재검토 및 개정방향", 헌법재판연구, 3(1): 295-318.
  14. 박기주 (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과학기술헌법의 의미와 가치", 법제, 3월호:55-84.
  15. 박성호 (2010), "지적재산권에 관한 헌법 제22조 제2항의 의미와 내용", 法學論叢 24(1): 104.
  16. 유진오 (1959), 헌법해의, (제14판), 서울 : 일조각.
  17. 윤종민 (2006), "남북 과학기술 기본법제 비교", 기술혁신학회지, 9(3): 514-537.
  18. 이규홍.정필운 (2010), "헌법 제22조 제2항 관련 개헌론에 관한 소고", 法曹, 650(11): 58-127.
  19. 이병천 (2011), "대한민국 헌법의 경제이념과 제119조의 한 해석", 동향과 전망, 144-179.
  20. 이영록 (2006), 유진오, 헌법사상의 형성과 전개, 서울 : 한국학술정보(주).
  21. 전상근 (1982), 한국의 과학기술정책-한 정책입안자의 증언, 서울 : 정우사.
  22. 정준현.김민호 (2017),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法曹, 723(6): 106-145.
  23. 정필운 (2010), "헌법 제22조 제2항 연구", 법학연구, 20(1): 189-242.
  24. 최형섭 (1995), 불이 꺼지지 않는 연구소, 서울 : 조선일보사.
  25. 최형섭 (2000), 기술창출의 원천을 찾아서, 서울 : 매일경제신문사.
  26. 한수용 (2011), "헌법학" 서울 : 법문사.
  27. 클라우스 슈밥 (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서울 : 메가스터디.
  28. 하규만 (1999), "일본 과학기술의 현황과 그 형성원인",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45-160.
  29.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8), 국민헌법 참여광장, https://www.constitution.go.kr/, (2018.07.17.).
  30. 홍성욱 (1994),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 지식으로서의 기술과 실천으로서의 과학", 창작과비평, 22(4): 329-350.
  31. 홍성주.송위진 (2017),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서울 : 들녘.
  32. Wikipedia (2018), "헌법", https://ko.wikipedia.org/wiki/헌법, (2018.06.05.).
  33. Yeom, H. W. (2018), "Restructure science in South Korea", Nature, 558: 511-513. https://doi.org/10.1038/d41586-018-05508-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