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구형수, 2016,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 권혁삼.김홍주.윤정중.박진경.김한섭.박현근, 2017, 빈집의 현황과 활용방안: 저층주거지 재생전략, 도시정보, 12, pp.4-18.
- 김경혜.한은진.손소영, 2018, 지리가중라소 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빈집 발생 영향요인 탐색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4(1), pp.54-68.
- 김지혜.박정일, 2018,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이 대구광역시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8 춘계산학학술대회 논문집 학부세션, pp.1-15.
- 김진하.남진, 2016, 도시쇠퇴지역의 빈집분포현황과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pp.105-12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 김현중.이종길.정일훈, 2016,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예측, 주거경관,14(3), pp.15-27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2017,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pp.118-135
- 노민지.유선종, 2016,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부동산연구, 26(2), pp.7-21.
- 동아일보. 2014.12.19. 대구 중구, 아파트 건설붐... '주거타운' 변신.http://news.donga.com/3/03/20141210/68451432/1
- 손은정.맹희영.이희연, 2015, 공폐가 밀집지역의 시 .공간 패턴과 근린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부동산분석,1(1), pp.71-90.
- 유재성.이다예, 2017, 빈집의 물리적 실태와 위해성 수준에 따른 빈집 유형 분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1-13.
- 이희연.이영성, 2017, 맞춤형 빈집 활용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29-43.
- 전영미.김세훈, 2016,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연구 : 인천 남구 숭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7(1), pp.83-100
- 통계청, 2016,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 전수부문: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
- 한국국토정보공사, 2016, 2016 국토에 날개를 달다, 전주: 한국국토정보공사.
- 한수경.이희연, 2016, 유휴.방치 부동산의 공간분포 및 특성 분석 : 익산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1), pp.1-16.
- 한수경.이희연, 2017, 맞춤형 빈집 활용을 위한 근린주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15-27.
- Cohen, J. R., 2001, Abandoned housing: Exploring lessons from Baltimore. Housing Policy Debate, 12(3), pp.415-448. https://doi.org/10.1080/10511482.2001.9521413
- Han, H. S., 2014, The impact of abandoned properties on nearby property values, Housing Policy Debate, 24(2), pp.311-334. https://doi.org/10.1080/10511482.2013.832350
- Immergluck, D., & Smith, G., 2006, The impact of single-family mortgage foreclosure on neighborhood crime, Housing Studies, 21(6), pp.851-866. https://doi.org/10.1080/02673030600917743
- Immergluck, D., 2015, Examining changes in long-term neighborhood housing vacancy during the 2011 to 2014 U.S. national recovery, Journal of Urban Affairs, 38(5), pp.607-622. https://doi.org/10.1111/juaf.12267
- Morckel, V. C., 2013, Empty neighborhoods: Using constructs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housing abandonment, Housing Policy Debate, 23, pp.469-496. https://doi.org/10.1080/10511482.2013.788051
- Morckel, V. C., 2014,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pplied Geography, 48, pp.8-16. https://doi.org/10.1016/j.apgeog.2014.01.001
- Nam, J., Han, J., & Lee, C., 2016, Factors contributing to residential vacancy and some approaches to management in Gyeonggi Province, Korea, Substantiality, 8(4),367.
- Schilling, J. M., 2002, The revitalization of vacant properties: Where broken windows meet smart growth. International City/County Management Association.
Cited by
- 다층모형을 활용한 인천광역시 원도심 빈집 발생의 영향요인 분석 vol.50, pp.2, 2020, https://doi.org/10.22640/lxsiri.2020.50.2.237
- 빈집 밀집 지역 특성 및 유형 분류에 관한 기초연구 - 경상남도 진주시를 중심으로 - vol.37, pp.3, 2018, https://doi.org/10.5659/jaik.2021.37.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