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시설에 대한 CPTED 평가인증 기준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for Residential Housing's Crime Preven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 박현호 (용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김강일 (용인대학교 경찰보안정보학과) ;
  • 조준택 (서울지방경찰청)
  • 투고 : 2018.05.15
  • 심사 : 2018.05.31
  • 발행 : 2018.06.30

초록

경찰청이 발간하는 범죄통계에 따르면 주거시설은 노상에 이어 범죄발생이 두 번째로 많은 장소이다. 또한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적, 환경적 취약점으로 인해 생활의 기본요소이면서 동시에 안전함과 편안함이 핵심이어야 할 주거공간이 침입절도 등 범죄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거시설 중 상대적으로 취약한 원룸, 다세대, 연립,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하여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관점에서 안전을 평가하고 인증하는데 적합한 요소 및 항목을 추출하여 인증평가 지표와 점검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지표와 점검항목을 기반으로 서울 서초구, 경기 용인시, 충남 아산시에 소재한 원룸, 다세대, 연립, 도시형생활주택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를 반영한 체크리스트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체크리스트 최종안에 포함된 평가분야는 총 7개 분야 43개 항목이며, 다양한 가점항목을 추가하여 관리자가 취한 특별한 안전조치에 대하여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주거시설을 평가할 때 시설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인증평가의 기본원칙과 관련하여, 범죄예방을 위해 중요한 항목들의 배점은 높게 부여하였고, 정성평가를 통해 차등 배점을 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는 범죄예방전담경찰관(CPO)들이 관할지역 내 주거시설을 평가하고 범죄안전 수준이 높은 우수시설을 인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Police crime statistics report that residential housing such as apartment, low rise, detached houses is the second most vulnerable to crime, which is closely followed by the number of street crimes. Also residential houses are often exposed to quality-of-life crime, e.g burglary. It threatens the basic human rights of house residents in terms of safety and comfort within the urban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related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vulnerability of residential housing including studios, multi-family housing from the viewpoin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CPTED), extracted the elements and items suitable for the safety of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and check items to be the basis for the checklist are derived. Based on these evaluation indicators and inspection items, we conducted on-site surveys of residential facilities in three areas of Seoul, Yongin and Asan, and the final draft of the checklist was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There are 43 items on the 7 fields of evaluation in the final version of checklist, 11 items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20 items in the surveillance, 7 items in the access control, 1 item in the territoriality, 2 items in the activity support, and 2 items in the security and safety facilities. In addition, various points of interest were added to allow the administrator of the residential facility to earn points for special measures taken for safety. This checklis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uti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CPOs to check the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ir jurisdiction using checklists and to certify excellent facilities with high level of saf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소연 (2017).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을 위한 공간계획 연구- 평택시 서정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47, 117-128.
  2. 경찰청 (2017). 2016년 경찰범죄통계. 경찰청.
  3. 김용국, 조영진 (2017). 범죄로부터 안전한 다세대.다가구주택 계획기준 제안.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연구보고서.
  4. 김재민, 배경자, 남상오, 한진영 (2012). 여성이 안전한 공공원룸주택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5. 노지현, 박부미 (2017). CPTED 지표를 활용한 지역의 범죄 불안감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6(4), 91-104.
  6. 문상철 (2014). 국내 주택 방범인증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경찰청 원룸방범인증제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경돈, 박민정 (2010). 지방자치단체 담장 허물기 사업의 정책효과분석 -범죄예방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4(1), 203-223.
  8. 박현호 (2011). 주거시설 CPTED 가이드라인 국가표준 KS A 8801(안) 고찰. 산업경영논총, 18, 61-78.
  9. 박현호 (2017).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와 범죄과학. 서울: 박영사.
  10. 박현호, 조준택 (2014). 건축물 침입에 이용되는 침입수법 및 도구의 유형화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57-86.
  11. 박형민, 황지태, 황정인, 황의갑, 박경돈 (2009).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I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2. 양충훈, 최보연, 박남현, 김기수 (2016). 학교 주변 원룸건축의 범죄예방환경계획(CPTED) 구성요소별 사례분석-충북대학교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6(2), 1137-1142.
  13. 이경훈, 강석진 (2011). 공동주택 범죄예방 설계의 이론과 적용. 문운당.
  14. 이윤호 (2016). 현대사회와 범죄. 서울: 박영사.
  15. 이호상 (2013). 커뮤니티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방법론 연구 -서울시 범죄 예방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14, 425-437.
  16. 정윤혜, 이유미, 이윤재 (2016). 도시형생활주택의 범죄예방환경설계 측면에서 본 주거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악구 원룸형 주택 1인가구 5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6(6), 39-50.
  17. 정일훈, 양진석 (2010). 환경설계(CPTED)를 활용한 도시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4), 434-446.
  18. 조영진 (2015).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한 범죄위험평가 도입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9. 조영진, 김용국 (2016) 건축물 범죄안전 디자인 성능에 관한 연구 -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범죄 안전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 최우철, 나준엽 (2017). CPTED 평가지표를 반영한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범죄예방 디자인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47, 263-274.
  21. 통계청 (2016). 2015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통계청.
  22. Amemiya, M., & Hino, K. (2009). Guide for Surveys for safe neighborhoods from Crime. Building Research Institute.
  23. Cozens, P. M., Pascoe, T., & Hillier, D. (2004). Critically review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cured-by-design for residential new-build housing in Britain. Crime Prevention and Community Safety, 6(1), 13-29. https://doi.org/10.1057/palgrave.cpcs.8140176
  24. Fennelly, L. (2016). Effective physical security. Butterworth-Heinemann.
  25. Kitchen, T. (2005). New urbanism and CPTED in the British planning system: Some critical reflec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342-357.
  26. State of Western Australia (2006). Designing Out Crime Planning Guidelines.
  27. Tseloni, A., Thompson, R., Grove, L., Tilley, N., & Farrell, G. (2017). The effectiveness of burglary security devices. Security Journal, 30(2), 646-664. https://doi.org/10.1057/sj.20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