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and the Role of Local Group in Biratori-cho, Hokkaido, Japan

일본 홋카이도 비라토리정의 신규취농 지원정책과 마을조직의 역할

  • Received : 2018.11.15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pres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in South Korea has been threatened due to aging as well as de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apanese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and the role of local group in new farmers' successful settlement in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The case study area is Biratori-cho, Hokkaido, Japan.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systemic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of Biratori-cho, which provides with two years' training program, mentoring, rental housing and financial aid. Secondly, we focused on the birth and the supporting role of local group, which is called 'Neo-frontier'. Lastly,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of new farmers and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of 11 new farmers' household. As conclusions, we emphasized the value of quality-based support scheme of local government, unlike the quantity-based policy focused on the number of in-migrants. Also, we discussed the meaning of social network in new farmers' successful settlement in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Keywords

NCJDBX_2018_v25n4_21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비라토리정의 위치 및 주요 지구

NCJDBX_2018_v25n4_21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후레나이 네오프론티어의 설립

NCJDBX_2018_v25n4_21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신규취농자 취농과정에서의 네오프론티어의 역할

<표 1> 비라토리정의 신규취농자 추이

NCJDBX_2018_v25n4_211_t0001.png 이미지

<표 2> 후레나이 신규취농자의 취농 동기

NCJDBX_2018_v25n4_211_t0002.png 이미지

<표 3> 후레나이 신규취농자의 농업경영 개요

NCJDBX_2018_v25n4_211_t0003.png 이미지

<표 4> 후레나이 신규취농자의 지역과의 관계

NCJDBX_2018_v25n4_211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정섭. (2009).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6(3), 533-556.
  2. 김정섭. (2016). 귀농.귀촌 정책의 목표와 방향. 귀농.귀촌 정책 및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향-귀농.귀촌 정책 연구 포럼 1차 토론회 자료집 (pp. 5-20).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정섭, & 이정해. (2017).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51, 1-20.
  4.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5. 김종인, & 김정섭.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6. 김철규, 이해진, 김기홍, & 박민수. (2011).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방안 연구. 서울: 사단법인 한국사회학회.
  7. 마상진, & 정기환. (2008).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윤지, 최용욱, & 남기천. (2015).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1차년도(2014).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마상진. (2016). 귀농.귀촌, 무엇을 어려워하는가?. 농업전망 2016 (pp. 247-271).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마상진. (2018). 귀농.귀촌 동기의 유형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 53-72.
  11. 삼선복지재단. (2015). 농촌으로 이주하는 청년층의 현실과 과제. 서울: 삼선복지재단.
  12. 유정규. (1998). 귀농의 현황과 정책과제. 도시와 빈곤, 34, 23-41.
  13. 윤순덕, 최정신, 마상진, & 남기천. (2017). 귀농.귀촌패널로 본 역귀농.귀촌실태. 농촌사회, 27(1), 59-93.
  14. 윤준상, 김소윤, & 김성록. (2015). 농촌지역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4(2), 319-327.
  15. 이민수, & 박덕병. (2012).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9(4), 1137-1170.
  16. 채상헌. (2013). 귀농정착 현황 및 귀농정착 성공요인 분석: 귀농귀촌교육수료생 대상 영농정착실태조사 사례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 43-60). 서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17. 허장, & 정기환. (2003). 농촌마을의 발전과 새로운 리더십. 농촌사회, 13(1), 51-83.
  18. 홍사흠. (2017). 일본 홋카이도의 신규 취농정책: 구리야마와 비라토리 사례. 국토: Planning and Policy, 430, 79-85.
  19. 홍성효, 송정기, & 김종수. (2012).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 진안군의 사례. 농촌사회, 22(2), 49-82.
  20. 秋津元輝. (1998a). 農業生活とネットワーク: つきあいの視点から. 東京: 御茶の水書房.
  21. 秋津元輝. (1998b). 新規参入者が農業.農村を変える. Aff, 29(5), 18-21.
  22. 荒木和秋. (2002). 酪農におけるリース農場活用による新規参入者受入.定着システムの確立研究. 平成 11年-平成13年度科学研究費補助金 (基盤研究(C)(1)) 研究成果報告書. 東京: 日本学術振興会.
  23. ふれないネオフロンティア. (2012). ふれない就農者受入協議会ネオフロンティア活動報告資料. 平取: ふれないネオフロンティア.
  24. 飯塚里恵子. (2009). 有機農業新規参入女性の参入経緯と生活観: 埼玉県小川町を主な事例として. 農村生活研究, 52(2), 12-21.
  25. 三須田善暢. (2005). 新規参入者の土地確保過程と村落: 山形県飽海郡遊佐町藤井での事例. 村落社会研究, 11(2), 30-42.
  26. 小田切徳美. (2014). 農山村は消滅しない. 東京: 岩波新書.
  27. 島義史. (2014). 新規農業参入者の経営確立と支援方策: 施設野菜作を中心として. 東京: 農林統計協会.
  28. 内山智裕. (1998). 農外からの新規参入の展開と就農形態. 日本農業経済学会論文集 (pp. 270-272). 東京: 日本農業経済学会.
  29. 梅本雅. (2000). 担い手の育成.確保に向けた支援対策の現状と課題. 月刊JA, 46(12), 30-34.
  30. Anna, C., & Giovanna, S. (2008). The generational turnover in agriculture: The ageing dynamics and the EU support policies to young farmers. Paper presented at the 109th EAAE Seminar(pp. 375-390), Viterbo, Italy.
  31. European Union. (2015). Young farmers and the CAP. Belgium: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32. Faith, E. O., Ikegami, K., & Tsuruta, T. (2017). Factors of urban-rural migrat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 of I-turn migrants in rural Japan. Journal of Asian Rural Studies, 1(1), 70-80.
  33. Gilbert, W. G., & Sue, E. J. (2010). Success in farm start-up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Agriculture, Food Systems, and Community Development, 1(1), 31-48.
  34. Ma, S. J., An, S., & Park, D. S. (2018). Urban-rural migration and migrants' successful settlement in Korea. Development and Society, 47(2), 285-312.
  35. Pratiwi, A., & Suzuki, A. (2017). Effects of farmers's social networks on knowledge acquistion: lessons from agricultural training in rural Indonesia. Journal of Economic Structures, 6(8), 1-23. https://doi.org/10.1186/s40008-017-0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