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Understanding of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View of World Peace : Focused 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omen's, peace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본 3·1운동의 재인식: 3·1운동과 여성, 평화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2.15
  • Accepted : 2018.03.0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viewing the March 1st Movement, a national movement uprisen nationwi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from an angle of worldpeace. The March 1st Movement was held nationwide when our national sovereignty was lost, and it can be defined as a form of peace movement in view of world history. Particularly,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people's independence movement without distinction of class, region and sex. The direc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freedom impli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at time period needs to be interpreted newly in view of world peace. Firstly, the urgent task to complete during that period was to accomplish independence in view of the times and the national people, and it was a form of peace movement. Secondly,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changed into spontaneous participants or activists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reafter, continued a history of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Lastly,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widespread domestically and to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Russia, Europe and America, so that its spirit of freedom and peace appealed to the weak countries in Asia. Furthermore, it worked as a spiritual support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s mentioned above, the March 1st Movement needs to be newly understood in view of world peace, and, out of that movement,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deserves a highlight as a peace movement stream in the world history of women.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 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 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 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 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 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 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 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규. 2010. "동아시아의 전환기 경험과 새로운 세기의 시대정신." 한국학연구 32.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국가기록원. 2016. 여성독립운동자료집(3.1운동편). 국가기록원 자료집.
  3. 김삼웅. 2006. "유관순 열사와 서대문형무소." 3.1운동기 여성과 서대문형무소 학술심포지엄자료집, 2006/11/01.
  4. 김삼웅. 2018. "3.1혁명과 여성독립운동." 세계평화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3.1운동과 여성 대토론회 자료집. 2018/01/29 .
  5. 김 진. 2002. 3.1운동사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6. 김정아. 2015. "잊혀진 여성독립운동가의 현황과 발굴, 선양방안." 광복 분단 70주년 기념 대토론회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2015/2/25.
  7. 김진봉. 1995. "3.1운동과 민중." 3.1운동 50주년 기념 논문집. 서울: 동아일보사.
  8. 김호성. 1998. "3.1운동과 한국민족주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0. 서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9. 박성수. 1980. 독립운동사연구. 서울: 창작과 비평.
  10. 박용옥. 2001. 한국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서울: 지식산업사.
  11. 박이문. 2000. "역사서술과 사관의 문제." 한국사 시민강좌 27. 서울: 일조각.
  12. 박 환. 2005. 용인지역 3.1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2.
  13. 성 주. 2003. "수원지역 3.1운동과 천도교인의 역할." 수원지방 민족운동사의 역사상.
  14. 신용하. 1991.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한민족독립운동사 10.
  15. 신용하. 1993. "3.1운동 연구의 단계와 과제." 한민족독립운동사 12. 서울: 국사편찬원회.
  16. 심옥주. 2015. 한국여성독립운동과 국가보훈. 서울: 도서출판 정언.
  17. 심옥주. 2013. "한국여성독립운동가의 보훈예우현황에 관한 분석." 한국보훈논총제12권 1호. 서울: 한국보훈학회.
  18. 심옥주. 2015. "한국여성독립운동가의 지역활동 특성에 관한 고찰."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서울: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19. 安秉直. 1975. 3.1運動. 서울: 한국일보사,
  20. 와다 하루끼. 1990. "아시아해방사에 3.1독립운동." 기독교사상 34.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1. 尹炳奭. 1975. 3.1運動史. 서울: 正音社.
  22. 李炳憲. 1959. 3.1運動秘史. 時事 時報出版局,
  23. 이윤희. 1995. 한국민족주의와 여성운동. 서울: 신서원.
  24. 이현희. 2003. 한국근대여성개화사. 파주: 한국학술정보.
  25. 李炫熙. 1979. 3.1運動史論. 서울: 동방도서.
  26. 장석흥. 1999. "3.1운동과 국내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3집. 서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7. 전택부. 1978. "3.1운동의 정신과 그 배경." 기독교 사상 22.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8. 鄭光鉉. 1978. 三.一運動史: 判例를 통해서 본. 서울: 法文社.,
  29. 조지훈. 2010. 한국독립운동사. 서울: 나남.
  30. 차기벽. 1979. "식민지독립운동으로서의 3.1운동의 비교론적 고찰." 현상과인식 제3권 1호.
  31. 한규무. 2004. "기독교와 천도교의 3.1운동 협력에 대한 평가와 오늘의 의미." 기독교사상.
  32.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편. 1989. 3.1민족해방운동연구. 서울: 청년사.
  33. 황민호. 2006. "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의 전개와 조선총독부의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6. 서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Galtung, Johan, 1994. Human Right in Another Key, Cambridge Polity Press.
  35. Geoffrey Best, 1999. Peace Conferrences and the Century of Total War; The 1899 Hague Conferrence and What Came After, International Affairs(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44, Vol. 75, No. 3, J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