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atisfaction Evaluation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rou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기법을 활용한 전원마을 사업 만족도 평가 분석

  • 최효승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 안형순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4.02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to encourage residents in urban areas to move to rural areas, an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hose rural areas. Current policies for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ere analyz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Residents in rural villages participated in a 12-question survey that asked their priorities prior to moving to the area, and factors contributing to resident satisfac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to present potential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As a result,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s' had the highest priority and satisfaction, whereas 'lack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accessibility' and 'road conditions and parking facilities' had high priorities but low satisfaction levels. Thus, it is important to take nature and environment, as well as accessibility into consideration when moving to rural villages. Although this research was based on residents' bias, and the sample area was limited, these conclusions still offer important policy agreement provide of future rural villages location selection and establishment of land use planning.

본 연구는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을 유도하고 농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전원마을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원마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12개 항목을 통해 이주 전 중요하게 생각한 것과 이주 후 만족하고 있는 것을 조사하고 'IPA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을 통해 향후 전원마을 조성사업의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주 전 중요도와 이주 후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자연환경 및 경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이주 전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이주 후 만족도가 낮은 항목은 '대중교통 및 자가용 접근성'과 '도로 및 주자시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전원마을 입지를 결정할 때 자연환경 및 경관과 함께 접근성 측면까지 고려하여 입지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거주자의 인식에 기반하였다는 것과 설문조사 지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전원마을 입지선정 및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축산식품부, 2016년 귀농.귀촌인 통계발표, 2017.
  2. 박현철, 전원마을 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최혁재, 김창현, 김승종, 김재호, 농어촌지역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농어촌뉴타운사업 발전방안, 국토연구원, 2010.
  4. 김병윤, 전원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백영주, 전원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조사 및 분석: 백화마을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전연희, 이주 전후 거주요구를 비교한 소규모 단지형 전원주택 계획 연구: 진주 삼봉마을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 오병태, 농촌마을조성사업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 최윤종, 전원마을조성사업의 현황과 개발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 정일중, 전라남도 전원주택 조성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2307/1250495
  11. 임성근, 소순창, 이창섭, "IPA분석을 활용한 정 부 3.0 서비스 정부에 대한 공급자와 수요자간 인식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제55 권, 제2호, pp.137-167, 2017.
  12. M. Jon Hawes and C. P. Rao, "Using Importance-Perfpomance Analysis to Develop Health Care Marketing Strategies," J. of Health Care Marketing, Vol.5, No.4, pp.19-25,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