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 Current Status and Issues

환경분쟁조정제도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8.02.14
  • Accepted : 2018.02.27
  • Published : 2018.03.02

Abstract

Rapid industrial growth based on massive fossil fuel energy consumption has caused serious damages on natural environment and every aspects of human life. As demands for clean and pleasant living circumstance increases, conflicts and disputes arou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lso been widespread. Given the 'environmental rights' is a relatively new legal concept, however, resolving environmental disputes through the traditional legal principles and litigation procedures could be restrictive and, in some sense. inefficient as well as expensive. With efforts to develop new legal principles on environmental disputes,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to the traditional legal dispute procedures. The Korean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introduced as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has been well established for the past twenty-seven years, given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s of applications to the Commission over environmental disputes. However, as most cases are still small in money terms and mainly subject to adjudication,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 contribution of the Commission in the resolution of environmental disputes have in fact been limit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and roles of the Commission as the prior instrument of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in environmental disputes, several suggestions could b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mediation needs to be more activated than adjudication in order to meet the primary purpose of ADR that resolves environmental disputes according to free will of concerned parties. Second, the scope of mediation could be expanded to the areas including potential environmental damages. Thir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s at both central and local levels need to be evenly distributed. Fourth, the mechanism and procedures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should be standardized. Fifth,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could be elevated in rank by shifting its current affiliation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Six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of the Commission need to be reinforced. Seventh, the current situation that tends to give priority to litigation procedures when an environment dispute is simultaneously pending in litigation and mediation should be eased and properly adjusted. Eighth, the adoption of mandatory mediation in advance to litigation needs to be discussed. Ninth, the legal authority of the Commission's decisions should be further guaranteed. If above suggestions are thoroughly reviewed and properly adopted, the roles, authority and power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 would be increased in the era when environmental conflicts get widespread, requiring an effective alternativ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광운대학교

References

  1. 강정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로서의 환경분쟁조정과 환경소송", 환경법연구, 제30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 2008.
  2. 강정혜, "환경분쟁조정위원회의 구성 및 조정절차의 개선방안", 환경법연구, 제28권 1호, 한국환경법학회, 2006.
  3. 강정혜, "환경법원과 환경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전망", 환경법연구, 제35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 2013.
  4. 김기환․김재훈․김성훈, "EU 환경정책분야에서 개방형 조정방식(OMC)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5. 김상찬, "우리나라의 환경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제21권 제3호, 한국중재학회, 2011. 12.
  6. 김세규, "환경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환경법연구, 제24집 1호, 한국환경법학회, 2002.
  7. 문태훈,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선진화 방향", 환경분쟁과 조정, 제1호,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2013.
  8. 박정호․양성봉, "최근 5년간 주요 중앙환경분쟁조정 사건의 내용 분석",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5. No. 7.,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2016. 7.
  9. 박태현,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법적 과제", 환경법연구, 제30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 2008.
  10. 박효근, "대안적(代案的) 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환경분쟁조정제도에 대한 검토", 한양법학, 제26권 제1집, 한양법학회, 2015. 2.
  11. 배병호, "환경오염피해구제법 도입에 따른 배상책임성립과 배상범위에 대한 고찰", 환경법연구, 제38권 1호, 한국환경법학회, 2016.
  12. 사득환, "민선시대의 환경갈등과 정책조정",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97.
  13. 서원우․최송화, "환경분쟁조정제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법연구 제7권, 한국환경법학회, 1985.
  14. 설계경, "환경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제14집 제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3.
  15. 심준섭․문태훈․허만형, "환경갈등 ADR 역량 비교분석", 국가정책연구, 제27권 제2호,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3.
  16. 이경환, "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제도", 저스티스, 제25권 제2호, 한국법학원, 1992. 12.
  17. 이상돈, "우리나라 환경조정제도의 현황과 발전 방안", 환경리포트, 제15호, 1995. 9-10.
  18. 이은재, 자연환경자체의 피해에 대한 법적구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8. 8.
  19. 이현준, "환경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일고찰", 토지공법연구, 제30권,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3.
  20. 이희정, "환경분쟁의 발생배경, 유형 그리고 대책", 환경법연구 28권 1호, 한국환경법학회, 2006.
  21. 임동진, "분쟁조정기구의 분쟁조정 방법과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9집 1호, 한국행정학회, 2015. 3.
  22. 장 욱,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본 환경책임법제에 대한 소고", 환경법연구, 제35권 2호, 한국환경법학회, 2013.
  23. 전경운, "환경침해피해의 사법상 구제법리", 환경법연구, 제25권 제2호, 한국환경법학회, 2003.
  24. 전경운, "환경분쟁조정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환경법연구, 제26권 제3호, 한국환경법학회, 2004.
  25. 전영길, "환경분쟁조정제도의 현황과 앞으로의 개선과제", 인권과 정의, 219호, 대한변호사협회, 1994. 10.
  26. 조승국․김정인, "환경분쟁 조정제도의 경제적 효과 분석", 환경정책, 제23권 제1호, 한국환경정책학회, 2015. 3.
  27. 조홍식, "대안적 분쟁해결제도(ADR)의 경제학", 비교사법, 제13권 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6. 3.
  28. 조홍식, "환경분쟁조정의 법정책", 서울대학교 법학, 제52권 제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9.
  29. 최병록, "우리나라 환경분쟁조정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환경법연구, 제29권 2호, 한국환경법학회, 2007.
  30. 최우용, "일본 환경분쟁조정제도의 내용과 과제", 공법학연구, 제5권 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4.
  31. 최철호, "환경분쟁의 해결을 위한 조정제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25권 제1호,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1.
  32. 최철호, "일본의 공해분쟁처리제도", 공법학 연구, 제5권 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4.
  33. 최철호, "환경책임성 강화를 위한 환경분쟁조정제도의 법제개선 방안", 환경법연구, 제35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 2013.
  34. 하혜영, "대체적 분쟁해결방식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8. 6.
  35. 하혜영, "환경분쟁조정의 실효성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1호, 한국행정학회, 2011. 3.
  36. 하혜영, "환경분쟁에서 조정성립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3권 제4호, 한국행정학회, 2009. 12.
  37. 함태성, "환경책임법과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정합성확보를 위한 법적 고찰", 사법, 제26호, 사법발전재단, 2013.
  38. 홍준형,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실효성 및 실효성 제고방안에 대한 고찰", 환경법연구, 제28집 제1호, 한국환경법학회, 2006. 4.
  39. 홍준형 "환경갈등의 조정", 환경법연구, 제32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 2010.
  40.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 (상), 논형, 2005.
  4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분쟁조정 기능 강화 등 중장기 발전 방향 연구, 중앙환경분 쟁조정위원회, 2006. 11.
  42. 강만옥․민동기․임현정, 환경피해 보상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