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CUM Job Analysis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분석

  • Kim, Jong-Wook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Kim, Jins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8.01.29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ob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using DACUM metho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duties, task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entry level on each task. Finally,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s, the DACUM chart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was developed. The workshop for DACUM job analysis consisted of one DACUM facilitator who acquired Level-I license, eight members of DACUM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experience, one clerk and one practitioner for two da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s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s 'a person who career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guidance, NCS-based field practice, establishment of industry-academia-government relations, external business administratio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dministration, teaching subject class'. Second, the job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were total 7 duties and 80 tasks. Thir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are classified into high (A), normal (B), and low (C) according to degree. Finally, this study make out a DACUM chart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DACUM job analysis. And knowledge, skills, tools, and positive behaviors, future trends/concerns about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컴(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협력 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긴 후,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정하고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다. 데이컴 직무분석을 위한 워크숍은 Level-I 자격증을 소지한 데이컴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8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이틀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란 특성화고 산업수요 맞춤형고 등에서 취업진로지도, NCS 기반 현장실습운영, 산학관관계구축, 대외사업운영, 산학협력행정업무, 담당교과교수 등을 수행하는 보직교사로 정의하였다. 둘째,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의 임무(duties)와 80개의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7개 임무는 '취업 진로 지도', 'NCS 기반 현장 실습 운영', '산학관 관계 구축', '대외 사업 운영', '산학 협력 행정 업무', '담당 교과 교수활동', '자기계발'이다. 이들 임무 중 가장 많은 작업은 '담당 교과 교수활동'으로 17개의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직무분석 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도출하고, 작업자의 태도와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장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참여정부의 신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전략.
  2. 교육부(2015). NCS 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개편 및 적용 계획. 교육부.
  3. 교육부(2017). 직업계고 현장실습제도 개선방안 안내자료. 교육부.
  4. 교육부, 고용노동부(2015).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청년고용을 위해 함께 뛴다. 보도자료.
  5. 김동연 외(2013).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교원교육, 29(3), 237-254.
  6. 김선태 외(2010). 특성화고 산학협력교육을 활용한 기능인력 양성프로그램 운영방향 모색.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종욱, 김지원, 김진수(2016).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81-93.
  8. 김진옥, 김종욱, 김진수(2015). DACUM 기법에 의한 초등 로봇지도교사의 직무 분석. 실과교육연구, 21(4), 183-204.
  9. 김태훈 외(2015). 데이컴(DACUM)을 활용한 전기.전자.통신 교사의 직무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273-297.
  10. 김판욱(2005). 데이컴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11.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2016). 법률 제14078호, 일부개정 2016.3.22.
  12. 이무근(2004).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6).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68-87.
  14. 이창훈 외(2015).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15. 이창훈 외(2016). 데이컴법을 활용한 중등 화학공업(공학) 교사 직무 분석. 직업과 자격 연구, 5(2), 119-141
  16. 임창빈, 정철영(2009). 산학협력정책의 성과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4). pp. 241-275
  17. 장명희 외(2011). 특성화고 산학협력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산업체 가이드라인 개발 (수탁연구 2011-35).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18. 최동선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최수정 외(2013). 산업현장 일.학습 지원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McCormick, E. J. (1976). Job and task analysis,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21. Norton, R. E. (1997). DACUM Handbook,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22. Norton, R. E., McLennan, K. S (1997). DACUM: Bridging the gap between work and performa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and Dafasco Inc., ED418210.
  23. Norton, R. E., Moser, J (2008). DACUM handbook (3rd ed.).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Center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