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2.12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esearch and application abou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A survey was conducted to 760 engineering major student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from 18 vocational high schools of 5 major metroplex. A questionnaire consists of measurement tool for emotional intelligence (40 questions) and one for school adjustment (20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an students with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y also has a higher standard in all sub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Second, it is foun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is 33.6%. It means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the higher the school adjustment, so it can be see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might be one alternative that increases school adjustment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emotional intelligence shows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to peer relationship in school adjustment sub factors. This is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have good peer relationship than students with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relatively. Also, it can be known that school adjustment is high because the better peer relationship is, the higher self-efficacy, class immersion, resilience and so on are.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 및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 정서지능 측정 도구(40문항)와 학교적응 측정 도구(20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8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7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33.6%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도 높은 것을 나타내므로, 정서지능이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지능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교우관계가 상대적으로 좋다고 볼 수 있으며,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회복탄력성 등이 높기 때문에 학교적응 또한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란(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2.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영린, 이기학(201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2(4), 125-143.
  4. 김종순(2012). 유아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읽어주기를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준(2007).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효정(2015). 정서지능 및 인성지능 향상을 위한 통합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원 박사학위논문.
  7. 문용린(1998). EQ 제대로 알고 있는가? 정서지능의 이해와 적용 / 정서지능 연구의 현재와 미래. 한국아동학회 추계 학술대회 기조강연 원고.
  8. 문용린, 곽윤정, 이강주(1998). 정서지능 연구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모노그래프.
  9. 문용린(1999). 인성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10. 문용린, 강민수, 최경아(2004). EQ 생활태도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3), 1-16.
  11. 문용린(2011). 문용린 교수의 정서지능 강의. 서울: 북스넛.
  12. 문은식(2002). 靑少年의 學校生活 適應行動에 관련되는 社會.心理的 變因들의 構造的 分析.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민병수(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영신, 김의철(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서울: 교육과학사.
  15. 서정희(2012).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주현, 유안진(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친구관계의 특성. 아동학회지, 22(4), 149-166.
  17. 성선진(201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교원(2014).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또래관계와 수업몰입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인선(2011). 청소년의 학교적응요인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희령(2014).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광희(2008). 대학생의 애착,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동미(2015).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연옥(2011). 청소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원이, 김동일(2009).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류 : Wee School, 공립위탁형 대안학교 및 일반학교 부적응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4), 89-118.
  25. 이은우(2005).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수경, 이형실(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3), 169-183.
  27. 임희수, 박성연(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1), 37-54.
  28. 정승헌, 김금미(2010). 정서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739-753.
  29. 정윤진(2003).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한상순(1996). 지각된 학급풍토와 학교생활 적응.학업 성취 학급 폭력.출석률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홍성훈, 김희수(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6(1), 33-53.
  32.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3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34. Perlini, A. H. , Halverson, T. R. (2006).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National Hockey League.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38(2), 109-119. https://doi.org/10.1037/cjbs2006001
  35.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36. Salovey, P. & Mayer, J. D.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and D. J. Slui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 Educat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3-34.
  37. Salovey, P., Woolery, A., & Mayer, J. D. (2001). Emotional intelligenc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 G. Fletcher & M. S. Clark (Eds.), The Blackwel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Interpersonal processes. Oxford, England: Blackwelll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