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vanced Estimation Model of Runway Visual Range using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모델의 고도화

  • Ku, SungKwan (Department of Aviation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Hanseo University) ;
  • Park, ChangHwan (Department of Aero Mechanical Engineering, Hanseo University) ;
  • Hong, SeokMin (Department of Unmanned Aircraft System, Hanseo University)
  • 구성관 (한서대학교 항공산업공학과) ;
  • 박창환 (한서대학교 항공기계학과) ;
  • 홍석민 (한서대학교 무인항공기학과)
  • Received : 2018.11.06
  • Accept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Runway visual range (RVR),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of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is affected by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etc.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RVR at the time of arrival in advance. This study estimated the RVR of the local airport after 1 hour by upgrading the RVR estimation model using the proposed deep learning network. To this end, the advancement of the estimation model was carried out by changing the time interval of the meteorological data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RVR) as input value and the linear conversion of the results.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past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and estimates the RVR after 1 hour and confirms its validity by comparing with measured RVR after 1 hour. The proposed estimation model could be used for the RVR after 1 hour as reference in small airports in regions which do not forecast the RVR.

항공기 이착륙 유무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활주로 가시거리는 기온, 습도 등과 같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비행장의 활주로 이용 시 도착시점에서의 활주로 가시거리를 예측하는 것은 항공기 이용의 효율성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활주로 가시거리를 예측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모델의 고도화를 통해 1시간 이후의 국지 비행장의 활주로 가시거리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예측 모델의 고도화는 입력 값으로 기상 정보(기온, 습도, 풍속, 활주로 가시거리)에 대한 시간 간격 변화와 예측 값의 선형변환을 통해 진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과거 기상 관측 값을 바탕으로 예측 모델의 학습을 생성해 1시간 이후의 활주로 가시거리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고, 1시간 이후의 측정된 활주로 가시거리와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했다. 제안된 예측 모델은 예보를 제공해주지 않는 지역의 소규모 비행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활주로 가시거리 생성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HHHHBI_2018_v22n6_49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심층신경망의 구조 Fig. 1. Deep learning network’s structure.

HHHHBI_2018_v22n6_49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태안비행장 Fig. 2. Taean airfield.

HHHHBI_2018_v22n6_49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개발 절차 Fig. 3. Development procedure of RVR by DNN.

HHHHBI_2018_v22n6_49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을 위한 심층신경망 구조 Fig. 4. DNN’s structure for RVR estimation.

HHHHBI_2018_v22n6_49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심층신경망 예측 모델에 사용되는 활주로 가시거리 2달 데이터 Fig. 5. RVR data of 2 months for DNN estimation model.

HHHHBI_2018_v22n6_491_f0006.png 이미지

그림 6. 5분 시간 간격의 기상 정보를 사용해 1시간 이후의 활주로 가시거리의 예측값(점선)과 측정값(실선)의 비교 Fig. 6. Comparison on RVR estimation value(Dotted) and measurement value(Solid) after 1 hour with 5 minute sampling time.

HHHHBI_2018_v22n6_491_f0007.png 이미지

그림 7. 5분 시간 간격의 기상 정보를 사용해 1시간 이후의 활주로 가시거리의 예측값과 실제 측정값의 1 대 1비교 Fig. 7. 1:1 Comparison on RVR estimation value and measurement value after 1 hour with 5 minute sampling time.

HHHHBI_2018_v22n6_491_f0008.png 이미지

그림 8. PCA를 활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측정값에 대한 예측 값의 1차식으로 표현 Fig. 8. 1st polynomial for estimation vlaue and measure value by PCA.

HHHHBI_2018_v22n6_491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식(4)에 의해 계선된 활주로 가시거리의 예측 값(점선)과 측정 값(실선) Fig. 9. RVR estimation value(Dotted) and measurement value(solid) by Eq (4).

HHHHBI_2018_v22n6_491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식(4)에 의해 새롭게 계산된 활주로 가시거리의 예측값과 실제 측정값의 1 대 1 비교 Fig. 10. 1:1 comparison on RVR estimation value(Dotted) and measurement value(solid) by Eq (4).

HHHHBI_2018_v22n6_491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예측 모델만을 이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값(점선)과 측정 값(실선) Fig. 11. RVR estimation value(Dotted) and measurement value(solid) by estimation DNN model.

HHHHBI_2018_v22n6_491_f0012.png 이미지

그림 12. 예측 모델만을 이용한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값 측정 값의 1대1 비교 Fig. 12. 1:1 comparison on RVR estimation value and measurement value by estimation DNN model.

HHHHBI_2018_v22n6_491_f0013.png 이미지

그림 13. 고도화 모델의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값(점선)과 측정 값(실선) Fig. 13. RVR estimation value(Dotted) and measurement value(solid) by advanced model.

HHHHBI_2018_v22n6_491_f0014.png 이미지

그림 14. 고도화 모델의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 값과 측정 값의 1대1 비교 Fig. 14. 1:1 comparison on RVR estimation value and measurement value by advanced model.

표 1. 태안비행장 기상장비 측정 항목 Table 1. Weather condition measuring equipment in Taean airfield.

HHHHBI_2018_v22n6_491_t0001.png 이미지

표 2. 1시간 이 후 활주로 가시거리 예측을 위한 입력 값의 시간 간격 변화 따른 예측 값의 Correlation, RMSE결과 Table 2. Correlation and RMSE according to variation on sampling time of input value for RVR estimation after 1hour.

HHHHBI_2018_v22n6_491_t0002.png 이미지

표 3. 고도화된 모델을 통한 예측 값과 측정 값의 Correlaiton, RMSE 결과 Table 3. Correlation and RMSE of Advanced Model.

HHHHBI_2018_v22n6_491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G. S. Ban, "Weather factor for aircraft operation safety," Civil Aviation Development, Vol. 28, pp. 225-257, Oct. 2002.
  2.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C00-45H, Aviation weather service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Sep. 2016.
  3. F. Rosenblatt, "The perceptron: A probabilistic model for information storage and organization in the brain," Psychological Review, Vol. 65, No. 6, pp. 386-408, 1958. https://doi.org/10.1037/h0042519
  4. P. J. Werbos, Beyond regression: new tools for prediction and analysis in the behavioral sciences, Doctoral Dissertation, Applied Mathematics, Harvard University, Boston, MA, 1974.
  5. G. E. Hinton, S. Osindero, and Y. W. The.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 Neural Computation, Vol. 18, No. 7, pp. 1527-1554, 2006. https://doi.org/10.1162/neco.2006.18.7.1527
  6. S. H. Choo, Y. H. Lee, K. D. Ahn, and K. Y. Chung, "Development of wind forecast model over Korean peninsula using harmony search algorithm," in Proceeding of the 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Daejeon: Korea Vol. 23. No. 1, 2013.
  7. S. J. Lee, and Y. C. Kim, "A numerical forecast and verification of the aircraft turbulence observed over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38, No. 5, pp. 493-507, Oct. 2002
  8. Y. C. Kim, and D. H. Kim, "An weather analysis for selection of the aircraft category F's alternative air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ol. 20, No. 4, pp. 70-75, Dec. 2012. https://doi.org/10.12985/ksaa.2012.20.4.070
  9. S.K. Ku and S.M. Hong, "Development for estimation model of runway visual range using deep neural network,"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ol. 21, No. 4, pp. 435-442, Oct,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