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ifferences of the Effects of Firefighter's Traumatic Experiences on Their Burnout,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Relationships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이 직무소진과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대한 차이 비교 연구

  • 이서빈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8.03.02
  • Accepted : 2018.03.1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irefighter's traumatic experiences and to examin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how those factors contribute to firefighter's burnout,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erative for firefighters to have mindfulness, which brings mental and emotional healing, for their job-satisfaction.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refigh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wo weeks; from October 19thto November 3rd, 2017. Out of 180 questionnaires, 170were retrieved. Total number of 160 questionnaires are empirically examined this study, excluding10bad survey responses.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among traumatic experienced firefighters, and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from perceived intrusiveness, a sub factor to traumatic experiences. 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than that of female firefighters in perceived angle, evasion and intrusiveness. Secon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burnout,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Fe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in emotional exhaustion, impersonalization and in decrease in self-achievements. Thir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Keywords

References

  1. 신화영, 황순택, 신용태, "소방공무원의 외상성 사건 경험과 PTSD 증상의 관계 : D 유형 성격과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위기관리논집 , 제11권, 제6호, 2015, pp. 97-120.
  2. 이창원, "지방화시대 소방인력관리 개선방안 : 소방인력증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119 Magazine, 통권185호, 2005, pp. 104-112.
  3.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Provision for Safety Supervision o f the Fire Services Ac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4. 조선덕, 박재범,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상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3권, 제5호, 2013, pp. 219-224.
  5. 백미례,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9권, 제3호, pp. 59-65.
  6. 문태영, "소방공무원의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2013, pp. 3815-3823.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815
  7. 현성호, "위험유발 요인이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서울 및 경기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 김윤정,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외상후 스트레스,"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경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순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0. 용천중, "소방공무원의 직업병에 관한 연구 : 뇌심혈관계 질환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 이주희, "비 화재 밀폐 공간 구조 활동 시 소방공무원의 현황 파악 및 개선대책,"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2. 박은아, 김성혜, "대학생의 대인외상경험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학연구, 제6권, 제2호, 2017, pp. 133-155.
  13. Random House, "Random House Dictionary," 1995.
  14. A. Pines and E. Aronson, "Career Burnout : Causesand Cures," The Free Press, New York, 1988.
  15. 양춘희, 권용만, 신형재,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8권, 제4호, 2015, pp.129-151.
  16. 김성환, "근무형태별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번아웃 증후군)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4호, 2015.
  17. 오정학, 육풍림, "카지노종사원의 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의 관계-직무요구-자원(JDR) 모형과 안면환류가설(FFH)의 관점에서," 관광연구, 제26권, 제4호, 2017, pp.375-397.
  18. Sand, G. and A. D. Miyazaki,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alesperson Burnout and Burnout Components," Psychology & Marketing, 17(1), 2000, pp. 13-26.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200001)17:1<13::AID-MAR2>3.0.CO;2-S
  19. Schaufeli, W. B. and Bakker, A.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004, pp. 293-315. https://doi.org/10.1002/job.248
  20. Cherniss, C,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k: Praeger, 1980.
  21. 한국재난정보학회,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제10권, 제4호, 2014, pp.549-559.
  22. 정영심,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3. 전은영,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환자군의 MMPI-2 특성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Beck, A.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6.
  25. 배점모,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 비교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6. 김윤정, 배정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모형구축,"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2010, pp. 282-291.
  27. 이준영, 최종혁, 황현국, 서영은, "강원지역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불안의학회지, 제10권, 제2호, 2014, pp.151-156.
  28. 김성완, 이무석, "우울 기분과 의복행동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6호, 1999, pp.1245-1253.
  29. 박병준, "불안과 철학상담 - 불행을 넘어서는 '치유의 행복학'의 관점에서 -," 철학논집, 제46권, 2016, pp. 9-39.
  30. 이건, "수학불안 요인의 변화 추세와 수학 연상 단어의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1. 이옥주, "불안 및 동기에 따른 정보처리 학습기술의 피드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32. 최은희, "아동 학대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3. 전은희, "예술치료사의 대인관계 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 분석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4. 허송지, 김자영, 장희진, 고혜영, 박수이, "대인관계 발달 단계에 따른 온라인기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를 중심으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2012, pp. 75-89. https://doi.org/10.7583/JKGS.2012.12.2.075
  35. 정인아,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대인관계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36. 김명화, "자기침묵, 대인관계, 우울의 관계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7. Heider,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ew York: Harper& Row, 1964.
  38. Leary, T., "Internati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NewYork; The Ronald Press Company, 1957.
  39. 조은정, 이기학,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3), 2004, pp.583-595.
  40. 배은경, 김성완, 김정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관련 외상경험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45권, 제1호, 2017, pp. 63-89.
  41. 이정삼, "외근형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2. 김혜은, 박경, 박유미, "노인의 스트레스 사건, 정서경험, 우울의 관계," 심리치료: 다학체적 연구, 제12권, 제1호, 2012.
  43. 한인영, 구승신, "군 병사들의 입대 전 인터넷 중독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취약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2012, pp. 314-32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14
  44. 송은영, 하은혜,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8권, 제1호, 2008, pp. 41-56.
  45. 강민지, 김광웅,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불안 :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16권, 제1호, 2008, pp. 87-101.
  46. 고유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2016, pp. 105-138.
  47. 이현정, 장희순,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4권, 제1호, 2014, pp. 39-59.
  48. 배미향, 조영아,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제15권, 제5호, 2014, pp. 1849-1870.
  49. 한수경, 정남운,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人間理解, 제35권, 제1호, 2014, pp. 149-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