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과 지능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Scientific Abilities and Intelligence

  • 김준희 (명지전문대학 부속 명지유치원)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8.10.30
  • 심사 : 2018.12.10
  • 발행 : 2018.12.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과 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의 지능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S시 S구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6세 유아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과 지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연령, 성별을 통제한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의 지능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학적 능력과 과학적 능력은 지능과 관련이 있으며, 수학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측정', '대수'에서 과학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예측하기'에서 지능과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수학적 능력과 과학적 능력의 지능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수학적 능력이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아교육 기관 및 가정에서 수학과 과학 활동을 고르게 제공하고,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 제공 시 과정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수학적 능력 및 과학적 능력과 지능 간의 관계를 찾고, 지능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 계획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scientific abilities on intelligence. Method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100 five or six-years-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of S district in S city. I conducted analysis of partial correlation after controlled young children's age and sex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scientific abilities and intelligence, also I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inspecting the relative effect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scientific abilities on intelligence. Results: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is relative with mathematical abilities and scientific abilities, this relation is higher in 'measurement' and 'algebra' factors of mathematical abilities and 'predicting' factor of scientific abilities. Mathematical abilities bigger impact to the rela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Conclusion/Implications: On this, it is necessary that evenly providing the math and science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home, and we have to consider the integrations of the process when provide the math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o use basic line data when people plan the integrated math-science activities and develop program associated those by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abilities, scientific abilities and intelligence and evaluating the relative effects on intelligen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1. 강상(201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 수학능력 관계에 있어 가정의 수학적 환경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2(2), 85-99.
  2. 강상, 김영실(2012). 유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2(3), 331-356.
  3. 곽수란, 이진순(2015).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 발달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3), 265-291.
  4.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서울:교육과학기술부.
  5. 김성미, 안진경(2008). 가정과 연계된 일상경험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21-833. https://doi.org/10.5934/KJHE.2008.17.5.821
  6. 김소연, 김수영(2012). 유아 수학능력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307-328.
  7. 김숙자(2001). 수,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173-203.
  8. 김순희(2015).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예람, 신동훈(2015). 과학적 사고전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관찰, 분류 능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교육, 26(2), 195-214.
  10. 김용숙, 함은숙, 서의정(2012). 수.과학의 과정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0), 4462-4470.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462
  11. 김정주(2013). 언어.수학 교육에 대한 어머니 인식과 유아의 언어.수학능력의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3(2), 47-65.
  12. 김희정, 김세루, 윤수인(2011).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65-187.
  13. 노은호(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과학교육의 운영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3), 67-83.
  14. 문수백(2014). 한국판 KABC-II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15. 성영화, 이은주, 나은숙(2010). 보육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 및 상업화된 프로그램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 한국보육학회지, 10(1), 73-89.
  16. 신수경, 박유영(2012).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 교육학논집, 16(5), 411-434.
  17. 안경숙(2005).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유아 수학.과학 통합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2, 99-133.
  18. 양승희, 조인숙(2001). 유아의 측정능력과 수학적 개념 및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03-122.
  19. 여유진(2008). 유아의 계획능력과 정보처리양식이 수학영역별 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오영희, 우수경, 양영자, 박윤자, 정미애(2009). 유아 주도적 과학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 교육학논집, 13(3), 291-311.
  21. 유승희, 김지현(2017).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 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49-63.
  22. 윤은경(2005). 수학과 과학의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경민(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3.
  24. 이경우, 홍혜경, 신은수, 진명희(1997). 유아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5. 이경화(2008). 유아 다중지능(MI) 향상을 위한 재능계발 프로그램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75-96.
  26. 이남희(2011). 숲 유치원에서의 수.과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해, 조성연(1987). 아동의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 및 성격특성간의 관계. 연세논총, 23(1), 333-350.
  28. 이희승(200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 물리 영역의 연계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장보경, 이연규(2009).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과 사회정서발달의 차이. Montessori 교육연구, 14(2), 61-77.
  30. 조홍자(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차미영, 손원경(2007). 유아의 수학능력과 K-ABC에 의한 인지처리과정 및 습득도와의 관계. 유아교육논총, 16(2), 115-128.
  32. 최해숙, 황순영(2010). ADHD 아동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약물치료를 받은 ADHD 아동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301-318.
  33. 최혜진, 이혜은(2005).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유아 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5(2), 27-46.
  34. 최혜진, 황해익(2003). 유아수학능력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273-296.
  35. 한석실, 배용옥(2004). 과학주제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4(2), 1-17.
  36. 홍혜경(200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서울: 양서원.
  37.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2006).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6(5), 377-400.
  38. Enemark, P., & Wise, L. L. (1981). Supplementary mathematics probe study. Final report. (Unpublished manuscript), Americ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 CA: Palo Alto.
  39. Flavell, J. H., Miller, P., H., & Miller, S. A. (1993). Cognitive development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0.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Inc.
  41. Hiebert, J. (1984). Why do some children have trouble learning measurement concepts? Arithmetic Teacher, 31(7), 19-24.
  42. Hodson, D.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256), 33-40.
  43. Kaufman, A. S., & Kaufman, N. L. (1983).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dminstration and scoring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44. Lind, K. (199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NY: Delmar.
  45. Martin, D. J. (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NY: Delmar.
  46.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of gifted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4), 325-344. https://doi.org/10.1006/ceps.1996.0025
  47. Piaget, J. (1964).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In R. E. Ripple & V. N. Rockcastle (Eds.), Piaget rediscovere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48. Wechsler, D. (1958). The measurement and appraisal of adult intelligence (4th ed). Baltimore, MD, US: Williams & Wilkins Co.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a Math-Science Integrating Woodwork Play Program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Scientific, and Creative Abilities vol.40, pp.6,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9.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