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for Typicality of the Leading Brand by Evaluation of Brand Personality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한 선도브랜드의 전형성 분석 연구

  • 박범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 Received : 2018.01.24
  • Accepted : 2018.02.01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icality of the leading brand in a specific product category through comparison of personality evaluation. Measuring scales for brand personality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product category's personality which consumers expected generally. By pre-test, an instant coffee category was selected for product category. In the instant coffee category, three brands-'kanu', 'looka', and 'supremo'-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ding brand, kanu had the typicality for the instant coffee category. Kanu had the same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which were sincerity, competence, success, and sophistication, as the instant coffee product category had. Comparatively, looka had just three personalities -competence, sincerity, and sophistication-which were similar to personalities in the product category. And, supremo had only two personalities-sophistication and competence-which were similar to personalities in the instant coffee category.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품군 내 선도 브랜드가 가지는 전형성을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인스턴트 원두커피가 분석 대상 제품군으로 선정되었고, 일반 매장 판매 브랜드인 '카누', '루카', '수프리모' 세 개의 브랜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선도 브랜드인 카누가 해당 제품군을 대표하는 브랜드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누의 경우, 진실, 능력, 성공, 세련 등 제품군이 보유하는 4가지 개성 차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었다. 루카의 경우, 능력, 진실, 세련 등 세 가지 개성차원이 공통적인 것으로, 수프리모의 경우는 세련과 능력 두 개의 개성차원만이 공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개성차원을 구성하는 구성개념에 있어서도 카누의 경우가 다른 경쟁 브랜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통성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브랜드 개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의 전형성 평가에 대한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D. A. Aaker, "Should You Take Your Brand to Where the Action is?," Harvard Business Review, Sept/Oct, pp.135-143, 1997.
  2. T. R. Graeff, "Using Promotional Messages to Manage the Effects of Brand and Self-image on Brand Evaluation," J. of Consumer Marketing, Vol.13, No.3, pp.4-18, 1996. https://doi.org/10.1108/07363769610118921
  3. 박성연, 이유경, "브랜드 개성과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소비자 만족,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7권, 제1호, pp.7-24, 2006.
  4. I. W. Barsalou, "Ideals, Central Tendency and Frequency of Instantiation as Determinants of Graded Structure," J.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11, October, pp.629-654, 1985. https://doi.org/10.1037/0278-7393.11.1-4.629
  5.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전략적 브랜드 관리: 이론과 응용, 학현사, 2008.
  6. 심현숙,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개성 및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제23권, 제1호, pp.191-224, 2016.
  7. 박범순, "광고 표현에 따른 브랜드 개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55-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055
  8. 최창원, "브랜드 개성 원형모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1권, 제5호, pp.115-146, 2010.
  9. J.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 of Marketing Research, Vol.34, August, pp.347-356, 1997. https://doi.org/10.2307/3151897
  10. 박범순, "광고가 표현하는 브랜드 개성과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 연구: 제품유 형별 최초 시장 진입 브랜드의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1호, pp.155-183, 2010.
  11. 김유경,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품특성과 소비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49권, pp.29-53, 2000.
  12. 양윤, 조은하, "한국형 브랜드 성격 척도 개발과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제3권, 제2호, pp.25-53, 2002.
  13. 최원주, "제품 유형에 따른 브랜드 개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3권, 제1호, pp.183-213, 2002.
  14. 하주용, 한영주, "SNS 브랜드개성, 자아동일시, 브랜드감정이 SNS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389-40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389
  15. G. S. Carpenter and K. Nakamoto, "Consumer Preference Formation and Pioneering Advantage," J. of Marketing Research, Vol.26, August, pp.285-298, 1989. https://doi.org/10.2307/3172901
  16. 윤경구, "디자인 중심의 비핵심적 속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브랜드 전형성, 속성의 정렬가능성, 소비자 미 추구성향의 상호작용," 광고연구, 제98호, 가을, pp.5-42, 2013
  17. 임병훈, 안광호, 주영욱, "브랜드선택에 있어 브랜드 퍼스낼리티와 제품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18권, 제4호, pp.1-21, 2003.
  1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22/0200000000AKR20161122162600030.HTML
  19. 김신엽, 권승경,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이 브랜드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박카스 나를 아끼자 광고캠페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548-558, 2017.
  20. 김지영, 강효순, "텔레비전 광고의 요소와 브랜드선호도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5-19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