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Level of Perceived Stress by Gender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정도 관련 요인

  • 김경범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주현 (중앙치매센터) ;
  • 이예진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의료경영연구소)
  • Received : 2017.11.06
  • Accepted : 2018.02.06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affecting factors of perceived stress level. The present study analyzed 2011 data of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nd a total of 229,226 participants was include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f perceived stres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affecting factors of perceived stress by education level, number of family members, household income, and self-care. This suggests that gender differences may exists between perceived stress leve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 cause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stress perce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 2011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29,2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인지 정도 관련요인이 학력 수준, 가구원 수, 연간 가구 총 소득, 자기관리에서 남성과 여성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성별 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15, 통계개발원, 2015.
  2. 송선미, "스트레스 관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함의," 국민건강증진포럼, 제4권, pp.4-17, 2017.
  3. 신도철, 황산돈, 최창현, "우리나라의 종합국력과 경제력: G20 국가와의 비교," 제도와 경제, 제10권 제2호, pp.5-41, 2016.
  4. M. Durand, The OECD Better Life Initiative: How's Life? and the Measurement of Well Being, OECD, 2015.
  5. 정해식, 김성아,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제1권, 제227호, pp.75-88, 2015.
  6. 통계청, 2013 사망원인통계, 통계개발원, 2014.
  7. http://www.oecd.org/health/health-data.htm
  8. 박금자, 이지현, 김미옥, 방부경, 윤수정, 최은주, "중년여성의 지각된 생활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 2호, pp.354-362, 2002.
  9.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10. 이예종, 최금주, "연령대별 성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5기(2010)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 호, pp.321-327, 2012.
  11. L. M. Verbrugge and D. L. Wingard, "Sex differentials in health and mortality," Women and Health, Vol.12, No.12, pp.103-146, 1987. https://doi.org/10.1300/J013v12n02_07
  12. E. R. Maunz and N. F. Woods, "Self-care practices among young adult women : Influence of symptoms, employment, and sex-role orientatio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Vol.9, No.1, pp.29-41, 1988. https://doi.org/10.1080/07399338809510815
  13. 전진아, "한국 성인의 성별 정신건강 수준 차이: 우울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1권, 제210호, pp.17-26, 2014.
  14. E. E. Maccoby and C. N. Jacklin,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15. 보건복지부, 2014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2014.
  16. S. Y. Chao, H. Y. Liu, C. Y. Wu, S. F. Jin, T. L. Chu, T. S. Huang, and M. J. Clark, "The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on,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14, No.1, pp.36-45, 2006. https://doi.org/10.1097/01.JNR.0000387560.03823.c7
  17. 여정희, "중년여성의 폐경관리와 결혼만족도,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2호, pp.261-269, 2004.
  18. 권기덕, 윤창영, "직장 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17, 2002.
  19. 강승걸, 윤호경, 함병주, 최윤경, 김승현, 조숙행, 서광윤, 김린, "대학생에서 스트레스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수면.정신생리, 제9권, 제1호, pp.48-55, 2002.
  20. 차보경, "성인 남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99-409, 2016.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4.399
  21. 오지현, 이명선,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 논문집, 제9권, 제2호, pp.102-110, 2012.
  22. 강은정, 신호성, 박혜자, 조민우, 김나연, "EQ-5D 를 이용한 건강수준의 가치 평가,"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2권, 제2호, pp.19-43, 2006.
  23. 이명신, "가정-직장 양립 스트레스원에 대한 여성근로자 지원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pp.201-230, 2001.
  24. 이미숙, "사회적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정신 건강," 한국사회학, 제37권, 제3호, pp.25-56, 2003.
  25. 하은희, 하미나, 우종민, 조정진, 김형수, 박정선,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1호, pp.25-37, 2005.
  26. 통계청,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4.
  27. 통계청,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5.
  28. 서병숙, 김수현,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55-67, 2000.
  29. N. D. Glenn, "The Contribution of Marriage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7, pp.594-600, 1975. https://doi.org/10.2307/350523
  30. 조윤주, 한준아, 김지현,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 이 부부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3호, pp.33-60, 2012.
  31. 김유나, 박애리, "맞벌이 가구와 남성홀벌이 가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부부관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1-76, 2016.
  32. J. Bernard, "Stress and the Family," Journal of Home Economics, Vol.68, No.5, pp.6-10, 1976.
  33. J. W. Noh, K. B. Kim, J. Hong, and Y. D. Kwon,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tress by gender: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LoS ONE, Vol.12, No.9, e0184235, 201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84235
  34. E. Diener and R. Biswas-Diener,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7, No.2, pp.119-169, 2002. https://doi.org/10.1023/A:1014411319119
  35. M. R. Hagerty, "Social comparisons of income in one's community: evidence from national surveys of income and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No.4, pp.764-771,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8.4.764
  36. R. Hill, "Happiness in Canada since world war II,"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65, No.1, pp.109-123, 2004. https://doi.org/10.1023/A:1025596332111
  37. 이윤학, 하철규, 김진웅, 서동필, 김범준, 2016년 대한민국 직장인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2016.
  38. L. H. Clarke, M. Griffin, and PACC Research Team, "Failing bodies: Body image and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later lif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8, No.8, pp.1084-1095, 2008. https://doi.org/10.1177/1049732308320113
  39. 전영선, 안홍석, "여대생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제1권, 제2호, pp.13-26, 2006.
  40. M. C. Paquette and K. Raine, "Sociocultural context of women's body imag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9, No.5, pp.1047-1058, 2004.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3.12.016
  41.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77-484, 2004.
  42. P. K. Hilleras, A. F. Jorm, A. Herlitz, and B. Winblad,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among the Very Old: A Survey on a Sample Age 90 Years or Older," Research on Aging, Vol.20, No.5, pp.593-610, 1998. https://doi.org/10.1177/0164027598205003
  43. T. Akerstedt, G. Kecklund, and M. Gillberg, "Sleep and sleepiness in relation to stress and displaced work hours," Physiology & Behavior, Vol.92, No.1, pp.250-255, 2007. https://doi.org/10.1016/j.physbeh.2007.05.044
  44. 장인순, "철강회사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건강관련 행위, A형 성격과의 관련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53-164, 2009.
  45. P. A .Holkup, "Evidence-based protocol: elderly suicide-secondary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29, No.6, pp.6-9, 2003. https://doi.org/10.3928/0098-9134-20030601-05
  46. J. Desrosiers, L. Noreau, A. Rochette, G. Bravo, and C. Boutin, "Predictors of handicap situations following post-stroke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24, No.15, pp.774-785, 2002. https://doi.org/10.1080/09638280210125814
  47. 김지현,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문제해결력과 역기능적 태도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