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mpathy Represented in Students' Group Journal of Integrated English Class Using Literature

문학을 활용한 통합영어수업의 학습자 그룹저널에 나타난 공감성 분석

  • 최민주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
  •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 Received : 2017.12.28
  • Accepted : 2018.01.31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mpathy represented in the learners' group journal of integrated English class using literature. 15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lass. In this study, integrated English class using literature was carried out by supplementing the point that amount of the English classes using literature had been focused on reading activities. In addition, not only communicative abilities but also learners' empathy to the main character in the literary was taught. In order to analyze the empathy expressed in learners' group journal, the integrated English class using literature was conducted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class was recorded by video. The empathy was based on the community competence mentio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learners were asked to write the group journa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earners showed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in the novel and learners' group journal showed that their empathy to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on the empathy represented in the learner group journal of the integrated English class using literature will be used in English class.

본 연구는 문학을 활용한 통합영어수업의 학습자 그룹저널에 나타난 공감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충북소재 K고등학교 2학년 1개의 반에 속한 15명의 고등학생(남학생 2명, 여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학을 활용한 영어 수업의 다수가 읽기지도에 치중한 점을 보완하여 통합영어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문학작품에서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 학습자가 직접 공감하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공감성을 분석하기 위해 2차시에 걸쳐 통합영어수업을 진행하고 진행된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공감성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한 공동체 역량에 근거하여 기준을 세웠으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주인공의 입장에서 그룹저널을 쓰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그룹저널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소설 속 시대 상황에 대한 이해를 보였다. 또한 현재 자신의 모습을 소설 속 주인공의 모습에 투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주인공의 입장에서 글을 썼지만 각 조마다 공감하는 부분이 상이했으며 작품 속 인물의 내면세계에 대해 공감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학을 활용한 통합영어수업의 학습자 그룹저널에 나타난 공감성에 대한 분석 자료는 차후 문학을 활용한 수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015.
  2. 김은주, "영어 교실에서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문학작품의 활용방안," 교과교육학연구, 제5권, 제1호, pp.107-121, 2001.
  3. Lazar,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 J. Collie and S. Slater,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A resource book ideas and activ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 박병주, "영문학 교육을 통한 영어능력 향상 방안 연구 - 정의적 요소 활용을 중심으로 -," 영어교과교육, 제9권, 제2호, pp.157-172, 2010.
  6. 이도수, "영어 문학자료를 중등학교 영어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영어 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연구, 제14권, pp.18-19, 1998.
  7. 한상택, "영어능력 개발을 위한 문학텍스트 활용 방안," 영어어문교육, 제7권, 제1호, pp.179-207, 2001.
  8. 나경희, "현대 문학작품 읽기를 활용한 EFL 학습자들의 영어독해력 향상방안 탐색," 언어학 연구, 제9권, pp.77-95, 2005.
  9. 박성수, "언(영)어 학습자 문학(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 독해지도 전략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145-162, 2006.
  10. 지주형, 이충현,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영미소설의 활용," 비교문화연구, 제10 권, 제2호, pp.149-186, 2006.
  11. 강문순, 박은진, "영미 단편소설을 활용한 고등학교 읽기지도 방안," 교육연구, 제20권, pp.31-55, 2012.
  12. 임병빈, 진구환, "문학작품을 활용한 영어쓰기 능력 향상 방안," 현대영미어문학, 제21권, 제3호, pp.227-252, 2003.
  13. S. N. Harper, "Strategies for teaching literature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 Modern Language Journal, Vol.72, pp.402-408, 1988. https://doi.org/10.1111/j.1540-4781.1988.tb04199.x
  14. J. L. Shrum and E. W. Glisan, Teacher's handbook: Contextualized language instruction, Heinle, 1994.
  15. 서민원, "윤치호 영어 일기와 영어 쓰기 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호, 제8권, pp.528-5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