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blem-posing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문제제기 활동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2.15
  • Accepted : 2018.01.1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from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and to conduct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eachers'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re combin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all the students and individual students in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blem-posing class improv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meaningful experience in the learning activity itself, thus improving students' self-confidence, interest, value, and desire to learn. Second,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should be emphasized, and systematic evalu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enior in mathematics.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d disseminate them in detail on the national-level to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of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actively implement the problem-pos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lesson and help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and teachers need to measure and manag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all students on a regular basis.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로부터의 문제제기'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교사차원에서의 평가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질적 접근을 결합한 3단계로 연구대상 전체학생 및 개별학생의 정의적 성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학습활동 자체에서의 유의미한 경험으로 이어지면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을 향상시켰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수학부터 고등학교 3학년 수학까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은 중시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평가 관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수학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와 방법을 국가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는 교실수업에서 문제제기 교수 학습을 적극적으로 실행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도와야 하며, 정기적으로 모든 학생의 정의적 성취를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 통권 290호, 2017.
  2. 이상원,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수학교육>, 제44권, 제3호, pp.361-374, 2005.
  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Reston, VA: Author, 1980.
  4. P. Lockhart, 수포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박용현 역, 서울: 철수와 영희, 2017.
  5.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015.
  6. 교육부, 대전광역시교육청,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중학교 수학, 2016.
  7. 김준겸, 임문규,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5권, 제1호, pp.77-98, 2001.
  8. 최윤석, 배종수, "초등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8권, 제1호, pp.23-43, 2004.
  9. 송민정, 박종서,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1-18, 2005.
  10. 윤미란, 박종서,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통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수학 학습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01-124, 2008.
  11. 김경옥, 류성림,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제11권, 제5호, pp.665-683, 2009.
  12. 정성건, 박만구,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 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315-335, 2010.
  13. 배준환, 박만구,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311-331, 2016.
  14. E. A. Silver, Thinking about problem solving: Toward an understanding of metacognitive aspect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aper prepared for the conference on thinking, University of South Suva, Fiji, 1982.
  15. S. Brown and M. Walter, 문제 제기의 기술, 조정수, 김진환 공역, 서울: 경문사, 2012.
  16. J. Kilpatrick,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s come from?,"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Hillsdale, NJ: Erlbaum, pp.123-147, 1987.
  17. N. Nodding, "Small groups as setting for research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 A. Silver(Ed.), Teaching and learning problem solving: Multiple research perspectives, Hillsdale, NJ: Erlbaum, pp.123-138, 1985.
  18. E. A. Silver, "On mathematics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Vol.14, No.1, pp.19-28, 1994.
  19. G. Polya,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2015.
  20. 정동권, 김수미, 김지원, 수학문제해결 지도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0.
  21. P. Eggen and D. Kauchak,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 eight edition, London: Pearson Education, Inc, 2010.
  22. 박인용, 이광상, 임해미, 서민희, 김부미, 전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규준 및 지표 산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14, 2016.
  23. 남진영,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59-178, 2015.
  24. 교육부, 2016년 교육부 업무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2016.1.25.
  25. 이광상, 임해미, 박인용, 서민희, 김부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문항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KICE 이슈페이퍼 ORM 2016-26-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