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knowledgment of High School Students' Oral Hygiene Products, Practice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Survey

고등학생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 실천 및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 조사

  • 오나래 (영남외국어대학교 치위생과) ;
  • 서수연 (영남외국어대학교 치위생과) ;
  •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7.11.09
  • Accepted : 2017.12.1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ractice status and perceived oral health awareness of oral hygiene product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utiliz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use the correct oral hygien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elf -filling questionnaire survey of 260 high school students in K area were as follows. (P <0.05),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p <0.05). his implies the need for educa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for proper practice in using oral hygiene products. The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was the highest in 1/3, but in practice, the total use was highest.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can affect not only the oral health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e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medical institutions due to their studies, the way to acquire oral health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he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구강위생용품의 인지, 실천실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올바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K지역 고등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위생용품을 인지할수록 구강위생용품의 실천도(p<0.05)가 높은 결과를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인식(p<0.05)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올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구강위생용품의 교육의 필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의 올바른 세치제 사용양 인지에서 모1/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지만, 실천도에서는 모3/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다.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에만 국한 되지 않고 실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업으로 인해 의료기관에 접근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구강보건교육의 습득경로 대중매체의 경로로 더 보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 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은주, "국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77-194, 2003.
  2. I. D. M. Macgregor and A. J. Rugg-Gunn, "Survey o f tooth brushing duration in 85 uninstructed English school children," Comm Dent Oral Epidemiol, Vol.7, No.5, pp.297-298, 197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79.tb01235.x
  3. P. R. Warren, H. Landmann, and B. V. Chater, "Electric toothbrush use. Attitudes and experience among dental practitioners in Germany," American Journal of Dentistry, Vol.11, No.Spec, pp.S3-6, 1998.
  4. 이영혜, "서울특별시 가정구강보건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제24권, 제3호, pp.239-257, 2000.
  5. 손기찬, 김공현, 김진범, "부산광역시 12세아동의 영구치우식증실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75-188, 1996.
  6. 김종배, 임상예방치과학, 고문사, 2000.
  7. 김수경,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제2권, 제2호, pp.95-103, 2002.
  8. 유수민, 안금선, "고교생들의 구강보건의식 행태에 관한 연구 : 경기 이천시 소재 고교,"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3권, 제1호, pp.23-31, 2003.
  9. 장경애, 성미경, 강현경, 최정옥, 김윤신, "일부 치과병원 흡연환자의 구강위생용품 이용도," 제18권, 제1호, pp.7-12, 2008.
  10. 복혜정, 안분숙, 이희성, "한국성인의 건강행위와 구강건강행위가 치주조직병자율(CPI)에 미치는 영향," 제7권, 제2호, pp.93-100,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093
  11. 박현민, "한국노인의 구강건강행위 및 상태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175-185,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175
  12. E. J. Lee and M. O. Le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D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Adult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s," J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0, No.4, pp.241-250, 2010.
  13. 소미현, 김선숙, 신승배, "일부지역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학회, 제10권, 제6호, pp.1107-1119, 2010.
  14. S. H. Kim, J. B. Park, C. W. Lee, K. T. Koo, T.I. Kim, Y. J. Seol, Y. M. Lee, Y. Ku, C. P. Chung, and I. C. Rhyu, "The Clinical Effects of a Hydr oxyapatite Containing Toothpaste for Dentine Hypersensitivity," J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Vol.39, No.1, pp.87-92, 2009. https://doi.org/10.5051/jkape.2009.39.1.87
  15. J. H. Ahn, J. H. Kim, J. H. Jang, Y. J. Oh, and Y. D. Park, "Tooth Whitening Effect of Toothpaste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4, No.1, pp101-108,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1.101
  16. 이경희, 정은서, "구강위생용품 관련 교육이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2호, pp245-256,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45
  17. 김선주, "전라북도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실태," 제9권, 제4호, pp.387-39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