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Preventing Climate Change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 및 문제해결 능력

  • 정현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
  • 성미영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8.01.08
  • Accepted : 2018.01.2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childre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gender and age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129 children aged 5 and 6 who are attended in day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We used 10 questions to measure climate change response knowledge modified environment conservation knowledge checklist and used five problem solving situations to measure climate change response problem solving ability modifie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it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6-year-old children's knowledge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ability to solve climate change problems was higher than that of 5-year-old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knowledge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ability to solve climate change. The higher the knowledge level of children's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higher their ability to solve climate change response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knowledge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howed that a more systematic curriculum for improving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preventing climate change needs to be provided to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 및 문제해결 능력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및 6세 유아 12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환경보존 지식 검사도구를 수정해 10문항을 사용하였고,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안전문제해결능력 검사 문항을 기후변화 대응능력과 관련된 내용으로 수정하여 5가지 문제해결 상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 6세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은 만 5세 유아에 비해 더 높았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기후변화 대응 문제해결 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간 관련성을 확인시켜주었으며, 기후변화 대응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유아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금호,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환경 보전 지식, 환경 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3권, 제2호, pp.143-160, 2009.
  2. 제주신보, "때 아닌 기상 악재... 농가 시름 쌓인다,"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76158, 2015.
  3. 최기영, 우수경, "유아의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아동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5-27, 1999.
  4. 유안진,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문음사, 1999.
  5. 곽은복,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환경교육의 전망," 아동교육, 제14권, 제1호, pp.83-96, 2005.
  6. 임재택, 김성옥,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제6권, pp.1-20, 2000.
  7. 정정희, "환경교육: 취학전 아동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고취와 책임감 있는 행동 개발을 위한 제언," 아동연구, 제8권, 제2호, pp.159-166, 1999.
  8. K. M. Kemple and C. A. Johnson, "From the inside out: Nurturing aesthetic response to nature in the primary grades," Childhood Education, Vol.78, No.4, pp.210-218, 2002. https://doi.org/10.1080/00094056.2002.10522183
  9. S. Russo, "Promoting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education depend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at view do you hold?,"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Vol.17, No.4, pp.34-36, 2001.
  10. R. Wilson, "Starting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s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Report No. EDO-SE-96-2) Columbus, OH: Eric Clearing house for science, math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2147), 1996.
  11. R. A. Wilson, S. J. Kilmmer, and V. Knauerhase, "Developing an environmental outdoor play space," Young Children, Vol.51, No.6, pp.56-61, 1996.
  12. 조형숙, 김설한,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2호, pp.419-445, 2011.
  13. J. Davis,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26, No.2, pp.117-122, 1998. https://doi.org/10.1023/A:1022911631454
  14. R. A. Wilson, (Ed.),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Washington, DC: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994.
  15. 환경처, 유치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교재개발 연구, 서울: 환경처, 1993.
  16. 김종수,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박성은, 자연체험활동을 통해 본 유아의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8. 이규진,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허윤정,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0. 김수경, 체험학습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생활습관형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 한태현, 유치원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보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2. 한태현, "유치원 환경교육프로그램이 환경보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연구, 제10권, 제2호, pp.49-60, 2001.
  23. 홍지명, 환경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존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4. R. Ballantyne, J. Fien, and J. Packer, "Program effectiveness in facilitating intergenerational influ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Lesson from the field,"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32, No.4, pp.8-15, 2001. https://doi.org/10.1080/00958960109598657
  25. S. Cohen and D. Horn-Wingerd,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cological awareness among preschool children," Environment and Behavior, Vol.25, No.1, pp.103-120, 1993. https://doi.org/10.1177/0013916593251005
  26. K. H. Sh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Korean kindergarten context," Docto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ctoria, Victoria, Canada, 2008.
  27. O. Apanomeritaki, "An action research in young children (3-5) with activities on solid waste management in Greece: An attempt for assessment," European Conference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is, France, 1995.
  28. S. Lavanchy, "Environmental education: How should we face i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Vol.25, No.1, pp.37-41, 1993. https://doi.org/10.1007/BF03174629
  29. J. Palmer, "Environmental thinking in the early years: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concepts related to waster manag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Vol.1, No.1, pp.35-45, 1995. https://doi.org/10.1080/1350462950010103
  30. 박희숙, "유아의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215-237, 2010.
  31. 유선희, 성은영, 김은심, "유치원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233-254, 2010.
  32. 권기남, 유안진,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이 환경오염에 대한 지식, 정서적 태도, 행동통제감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8호, pp.99-114, 2005.
  33. 교육부, 유치원 환경교육 자료 7; 환경․지구와 우주, 서울: 교육부, 1995.
  34. J. A. Palmer and J. Sugga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tant places and environmental issues: Report of a UK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ideas between the ages of 4 and 10 years,"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Vol.19, No.2, pp.205-237, 2004. https://doi.org/10.1080/02671520410001695434
  35. 김세영, 체험중심의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6. 권병성, 이면우, "기후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식수준," 에너지기후변화교육, 제1권, 제2호, pp.191-202, 2011.
  37. 길지현, 송신철,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 에너지기후변화교육, 제2권, 제2호, pp.125-132, 2012.
  38. D. F. Halpern, "A cognitive-process taxonomy for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i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3, No.4, pp.135-139, 2004.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4.00292.x
  39. 이인숙, 동화짓기 활동을 통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0. 곽은복, 유아안전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1. G. W. Evans, G. Brauchle, A. Haq, R. Stecker, K. Wong, and E. Shapiro,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39, No.5, pp.635-659, 2007. https://doi.org/10.1177/0013916506294252
  42. R. Hart and L. Chawla,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ncern for the environment," In N. Watts and J. Wohlwill (Eds.), Environmental psycholog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Society, Berlin, Federal Republic of Germany, 1981.
  43. 조규동, 김형범,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기후변화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113-12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113
  44. 강봉희, "환경교육을 받은 어린이를 통한 어른들의 소비행동과 역사회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4권, 제3호, pp.41-51, 2004.
  45. 윤은경, 이미나,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과학교육 내용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588-59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