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ie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채민경 (이화아동발달연구소) ;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은혜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최유진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8.04.25
  • Accepted : 2018.11.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fferentiation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to social medi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hundred and eight mothers with children aged 36 months or younger.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arenting str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econd, both the total scores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distres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However, the mothers' daily stres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ways of intervening in mothers'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by reducing their parenting stress, particularly for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Keywords

표 1.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BOJGB2_2018_v14n6_187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결과

BOJGB2_2018_v14n6_187_t0002.png 이미지

표 3. 자기분화, 양육스트레스, SNS 중독경향성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BOJGB2_2018_v14n6_187_t0003.png 이미지

표 4.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187_t0004.png 이미지

표 5.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187_t0005.png 이미지

표 6.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187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고성혜 (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2.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3. 권혜선, 김성철 (2015). 사생활 침해에 대한 불안감이 폐쇄형 SNS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밴드, 카카오그룹톡 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1), 5-49.
  4.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5. 김민경 (2013). 스마트폰 초등학생용 학습 어플리케이션 UI 사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doi:10.17315/kjhp.2015.20.3.006
  7. 김영은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화 (2018).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11, 1-7. http://m.kisdi.re.kr/mobile/repo/stat_view.m?key1=14357&selectPage=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9. 김진영, 박승민 (2012). 기독교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2), 115-140.
  10. 노미진, 장성희 (2016). SNS 이용동기와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5(4), 99-122. doi:10.29214/damis.2016.35.4.006
  11. 노애민 (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분화 및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혁준 (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1), 109-122.
  13. 민혜영, 박진재 (2005).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 영유아교육연구, 8, 79-95.
  14.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순아, 박근우 (2017). 가족의 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325-333. doi:10.5762/KAIS.2017.18.4.325
  16. 박영숙, 박연환, 김윤미 (2009). 3세 미만 유아를 둔 도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기능. 스트레스연구, 17(4), 349-357.
  17. 박정희, 장영애 (2003).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관련변인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31-44.
  18. 박찬옥, 조성희 (2011).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양육태도,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537-559.
  19.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27-34. https://doi.org/10.5934/KJHE.2008.17.1.027
  20.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doi:10.17315/kjhp.2013.18.1.014
  21. 송현종 (2013). 지적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엄지원 (2011). 한국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변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영아특성,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부부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오은진, 박순아 (2016).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 및 대인관계능력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7(2), 159-184. doi:10.22143/HSS21.7.2.8
  24.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오지영 (2016).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위아정 (2016). SNS 중독 및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의 위챗(Wechat)과 한국의 카카오톡(Kakaotalk)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희남,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9(3), 141-158. doi:10.21479/kaft.2011.19.3.141
  28.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doi:10.15703/kjc.12.2.201104.577
  29. 이다미, 최인호 (2018).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1(2), 57-70.
  30. 이승하, 배정호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수준과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감각추구와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37(1), 299-323. doi:10.18612/cnujes.2016.37.1.299
  31. 이신숙 (200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23-43.
  32. 이은영, 이영애 (201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배우자 양육지원의 조절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25-151. doi:10.17641/KAPT.21.1.7
  33. 이지민 (2013). 20-30대 기혼여성의 원가족분화경험,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친밀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1(6), 23-38. https://doi.org/10.7466/JKHMA.2013.31.6.23
  34. 이지원 (2003).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207-216.
  35. 이지홍 (2015).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세진 (1994).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평가와 개발-일반인의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설문지(PWI) 개발. 연세사회학, 14, 71-114.
  37.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정구철, 문종호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46-156. doi:10.5392/JKCA2015.15.09.146
  39. 정은혜 (2014). 호프만의 공감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법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정혜정, 조은경(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1), 19-46. doi:10.21479/kaft.2007.15.1.19
  41.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조형오 (2018). SNS 이용자의 가치체계의 특징이 SNS 이용동기, 사회적 자본, 이용행위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2), 351-362. doi:10.9728/dcs.2018.19.2.351
  43. 최연화 (2012). 대학생의 자아분화, 성인애착, 관계중독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3(2), 689-704. doi:10.15703/kjc.13.2.201204.689
  44.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4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5).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7132&parentSeq=17132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4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12).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9592&parentSeq=19592 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47. 한정아, 심홍섭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48.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7-225. doi:10.18023/kjece.2013.33.3.009
  49. 홍구표, 전혜성 (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1), 34-67. doi.org/10.15709/hswr.2017.37.1.34
  50. 홍지영 (2017. 5. 23). '나 빼고 다 행복해 보여' SNS 우울증 심해지고있다...카페인우울증. 뉴스라이프.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07760&plink=ORI&cooper=NAVER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51. 홍희경, 한경석, 김종배(2016). 폐쇄형 SNS 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493-502. doi:10.14257/AJMAHS.2016.12.01
  5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5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4.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4(1), 2-90.
  55.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Norton.
  56. Kim, Y., Jeong, J. E., Cho, H., Jung, D. J., Kwak, M., Rho, M. J., et al. (2016). Personality factors predicting smartphone addiction predisposi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activation systems, impulsivity, and self-control. PLoS One, 11(8), e0159788. doi:10.1371/journal.pone.0159788
  57.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8.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ress.
  59. Licht, C., & Chabot, D. (2006). The Chabot Emotional Differentiation Scale: A theoretically and psychometrically sound instrument for measuring Bowen's intrapsychic aspect of differentiatio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2), 167-180. doi:10.1111/j.1752-0606.2006.tb01598.x
  60. Pek, J., & Hoyle, R. H. (2016). On the (in)validity of tests of simple mediation: Threats and solution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0(3), 150-163. doi:10.1111/spc3.12237
  61.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2), 209-222. doi:10.1111/j.1752-0606.2003.tb01201.x
  62.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63.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doi:10.1089/cpb.1998.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