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표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결과
표 3. 자기분화, 양육스트레스, SNS 중독경향성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표 4.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표 5.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표 6.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References
- 고성혜 (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 권혜선, 김성철 (2015). 사생활 침해에 대한 불안감이 폐쇄형 SNS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밴드, 카카오그룹톡 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1), 5-49.
-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 김민경 (2013). 스마트폰 초등학생용 학습 어플리케이션 UI 사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doi:10.17315/kjhp.2015.20.3.006
- 김영은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윤화 (2018).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11, 1-7. http://m.kisdi.re.kr/mobile/repo/stat_view.m?key1=14357&selectPage=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 김진영, 박승민 (2012). 기독교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2), 115-140.
- 노미진, 장성희 (2016). SNS 이용동기와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5(4), 99-122. doi:10.29214/damis.2016.35.4.006
- 노애민 (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분화 및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혁준 (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1), 109-122.
- 민혜영, 박진재 (2005).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 영유아교육연구, 8, 79-95.
-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순아, 박근우 (2017). 가족의 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325-333. doi:10.5762/KAIS.2017.18.4.325
- 박영숙, 박연환, 김윤미 (2009). 3세 미만 유아를 둔 도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기능. 스트레스연구, 17(4), 349-357.
- 박정희, 장영애 (2003).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관련변인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31-44.
- 박찬옥, 조성희 (2011).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양육태도,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537-559.
-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27-34. https://doi.org/10.5934/KJHE.2008.17.1.027
-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doi:10.17315/kjhp.2013.18.1.014
- 송현종 (2013). 지적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엄지원 (2011). 한국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변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영아특성,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부부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은진, 박순아 (2016).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 및 대인관계능력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7(2), 159-184. doi:10.22143/HSS21.7.2.8
-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지영 (2016).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위아정 (2016). SNS 중독 및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의 위챗(Wechat)과 한국의 카카오톡(Kakaotalk)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희남,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9(3), 141-158. doi:10.21479/kaft.2011.19.3.141
-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doi:10.15703/kjc.12.2.201104.577
- 이다미, 최인호 (2018).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1(2), 57-70.
- 이승하, 배정호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수준과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감각추구와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37(1), 299-323. doi:10.18612/cnujes.2016.37.1.299
- 이신숙 (200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23-43.
- 이은영, 이영애 (201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배우자 양육지원의 조절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25-151. doi:10.17641/KAPT.21.1.7
- 이지민 (2013). 20-30대 기혼여성의 원가족분화경험, 부부의사소통 및 부부친밀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1(6), 23-38. https://doi.org/10.7466/JKHMA.2013.31.6.23
- 이지원 (2003).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207-216.
- 이지홍 (2015).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세진 (1994).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평가와 개발-일반인의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설문지(PWI) 개발. 연세사회학, 14, 71-114.
-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구철, 문종호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46-156. doi:10.5392/JKCA2015.15.09.146
- 정은혜 (2014). 호프만의 공감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법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혜정, 조은경(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1), 19-46. doi:10.21479/kaft.2007.15.1.19
-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형오 (2018). SNS 이용자의 가치체계의 특징이 SNS 이용동기, 사회적 자본, 이용행위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2), 351-362. doi:10.9728/dcs.2018.19.2.351
- 최연화 (2012). 대학생의 자아분화, 성인애착, 관계중독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3(2), 689-704. doi:10.15703/kjc.13.2.201204.689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5).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7132&parentSeq=17132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12).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9592&parentSeq=19592 에서 2018년 11월 8일 인출
- 한정아, 심홍섭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7-225. doi:10.18023/kjece.2013.33.3.009
- 홍구표, 전혜성 (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1), 34-67. doi.org/10.15709/hswr.2017.37.1.34
- 홍지영 (2017. 5. 23). '나 빼고 다 행복해 보여' SNS 우울증 심해지고있다...카페인우울증. 뉴스라이프.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07760&plink=ORI&cooper=NAVER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 홍희경, 한경석, 김종배(2016). 폐쇄형 SNS 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493-502. doi:10.14257/AJMAHS.2016.12.01
-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4(1), 2-90.
-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Norton.
- Kim, Y., Jeong, J. E., Cho, H., Jung, D. J., Kwak, M., Rho, M. J., et al. (2016). Personality factors predicting smartphone addiction predisposi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activation systems, impulsivity, and self-control. PLoS One, 11(8), e0159788. doi:10.1371/journal.pone.0159788
-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ress.
- Licht, C., & Chabot, D. (2006). The Chabot Emotional Differentiation Scale: A theoretically and psychometrically sound instrument for measuring Bowen's intrapsychic aspect of differentiatio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2), 167-180. doi:10.1111/j.1752-0606.2006.tb01598.x
- Pek, J., & Hoyle, R. H. (2016). On the (in)validity of tests of simple mediation: Threats and solution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0(3), 150-163. doi:10.1111/spc3.12237
-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2), 209-222. doi:10.1111/j.1752-0606.2003.tb01201.x
-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doi:10.1089/cpb.1998.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