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절차
그림 2.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의 변화과정
표 1. 전문가 참여자 일반적 배경
표 2. 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표 3. 델파이 조사 내용
표 4. 본조사 설문지 구성
표 5.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방향 결과
표 6. 지표 구분의 적절성 평가 결과(3차 델파이 조사 결과)
표 7. 평가영역의 적절성 평가 결과
표 8.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구성요인(평가준거)의 조작적 정의
표 9. 평가준거의 적절성 평가 결과
표 10. 평가요소의 적절성 평가 결과
표 11. 평가문항의 적절성 평가 결과
표 12. 공통강점지표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표 12. 계속
표 13. 선택강점지표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표 14. 어린이집 강점지표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표 15.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최종안
표 15. 계속
표 15. 루브릭 평정 예시
표 15. 계속
표 10. 계속
표 11. 계속
References
- 교육부 (2015). 제 3주기 유치원 평가 매뉴얼. 서울: 교육부.
- 김남희 (2010. 6). 유치원 교육과정, 아이와 교사를 힘들게 하는 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 논문, 부산.
-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정 (2013).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수향, 최연희 (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 김향은 (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 김희정, 장경원 (2015). 강점탐구이론 기반 학교 변화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53(1), 137-165.
- 남궁은정, 장영철 (2014). 조직변화를 위한 대화의 특성에 대한 연구: 긍정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22(1), 35-63.
- 박상곤, 이태복 (2011). 긍정조직혁명. 경기도: 물푸레.
- 박선형 (2010). 교육행정학의 혼합방법연구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 교육행정학연구, 28(2), 27-54.
- 보건복지부 (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재)한국보육진흥원.
- 서 현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준비과정에 나타난 보육교사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29.
- 심미연 (2011. 1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그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 심미연 (2015). 생태유아교육기관 평가체제 모형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 유정은 (2014).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화 (2014).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 41(2), 107-137.
- 이경화 (2018).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7(1), 49-73. doi:10.30761/ecoece.2018.17.1.49
- 이기숙, 강수경 (2012). 유아교육기관평가. 서울: 창지사.
- 이미정, 이진희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 이종근 (2012). 교사의 교육권,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학생의 학습권의 내용 및 상호관계. 법과인권교육연구, 5(3), 47-68.
- 이지영, 김명언 (2008). 조직에서의 긍정 심리학의 적용: 긍정조직학의 현주소와 지향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4), 677-703.
- 장영철, 남궁은정 (2013). 긍정 탐구를 통한 조직변화 / 혁신. 대한경영학회지, 26(10), 2627-2649.
- 전인수 (2011. 1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그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 정나영, 김수영 (2013).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3(3), 423-447.
- 정정희, 이효림 (2014). 유아교육기관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4(1), 251-273.
- 정찬우, 김언주, 민현숙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대전지역 9개 인증 보육시설(20이상). 아동교육, 17(1), 269-279.
- 조현옥, 최인화 (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2차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 최혜진 (2014). 강점활용을 통한 행복한 관계 만들기: 협동미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77-94.
- 하영례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준비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4), 25-47.
- 허우정 (2011).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지표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성희 (2017).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 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6(1), 103-131.
- 홍성희, 조은래 (2017).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687-705. doi:10.22251/jlcci.2017.17.11.687
- 홍성희, 황해익 (2015).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395-418.
- 황해익 (2010). 아동연구방법(개정판). 서울: 정민사.
- 황해익 (2015). 유아교육평가의 이해(개정판). 경기: 정민사.
-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
-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 (2008).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개정판 2판). 서울: 창지사.
- 황해익, 최혜진, 남미경, 정혜영 (2014).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 황해익, 최혜진, 남미경, 정혜영 (2015). 관계지향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강점기반평가.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9-49.
- Cameron, K. S. (2003). Organizational Virtuousness and Performance.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 48-65).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 Cameron, K. S. Dutton, J. E., & Quinn, R. E. (2003). Foundations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 3-13).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 Clifton, D. O., & Nelson, P. (1995). Soar with your strengths. New York: Dell Publishing.
- Creswell, J. W. (2011). Research design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김영숙, 류성림, 박판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9년).
-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doi:10.1037//1082-989X.1.1.16
- Andrade, H. G.(1997).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 Gorsuch, R. L. (1983).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Greene, J. C. (2011). Miwed Methods in Social Inquiry,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이진희, 이병호, 윤은주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7년).
-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706. doi:10.1002/job.165
- Stake, R. E. (2000).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질적 사례 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95년).
- Wiggins, J. S. (1996).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Theoretical perspectives.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