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rengths Assessment Indicators for Daycare Centers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15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ssessment indicators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assessment indicators. Methods: A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ten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for expert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of the strengths of the day care center.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438 daycare center principals and teachers to test their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assessment indicators consisted of three areas, seven assessment criteria, 19 evaluation factors, 41 assessment items and a five-point rubric rating scale. As for the common strengths indicators, there were three assessment areas, five assessment criteria, 12 assessment elements and 22 assessment items. In regard to the selective strengths indicators, there were 3 assessment areas, 5 assessment criteria, 12 assessment elements and 16 assessment items. Conclusion/Implications: The efforts to confirm the strengths of daycare centers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e identity building of the daycare center itself and for its organizational member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Keywords

BOJGB2_2018_v14n6_14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절차

BOJGB2_2018_v14n6_14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의 변화과정

표 1. 전문가 참여자 일반적 배경

BOJGB2_2018_v14n6_143_t0001.png 이미지

표 2. 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BOJGB2_2018_v14n6_143_t0002.png 이미지

표 3. 델파이 조사 내용

BOJGB2_2018_v14n6_143_t0003.png 이미지

표 4. 본조사 설문지 구성

BOJGB2_2018_v14n6_143_t0004.png 이미지

표 5.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방향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05.png 이미지

표 6. 지표 구분의 적절성 평가 결과(3차 델파이 조사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06.png 이미지

표 7. 평가영역의 적절성 평가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07.png 이미지

표 8.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구성요인(평가준거)의 조작적 정의

BOJGB2_2018_v14n6_143_t0008.png 이미지

표 9. 평가준거의 적절성 평가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09.png 이미지

표 10. 평가요소의 적절성 평가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10.png 이미지

표 11. 평가문항의 적절성 평가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11.png 이미지

표 12. 공통강점지표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12.png 이미지

표 12. 계속

BOJGB2_2018_v14n6_143_t0013.png 이미지

표 13. 선택강점지표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BOJGB2_2018_v14n6_143_t0014.png 이미지

표 14. 어린이집 강점지표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BOJGB2_2018_v14n6_143_t0015.png 이미지

표 15.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최종안

BOJGB2_2018_v14n6_143_t0016.png 이미지

표 15. 계속

BOJGB2_2018_v14n6_143_t0017.png 이미지

표 15. 루브릭 평정 예시

BOJGB2_2018_v14n6_143_t0018.png 이미지

표 15. 계속

BOJGB2_2018_v14n6_143_t0019.png 이미지

표 10. 계속

BOJGB2_2018_v14n6_143_t0020.png 이미지

표 11. 계속

BOJGB2_2018_v14n6_143_t0021.png 이미지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제 3주기 유치원 평가 매뉴얼. 서울: 교육부.
  2. 김남희 (2010. 6). 유치원 교육과정, 아이와 교사를 힘들게 하는 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 논문, 부산.
  3.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민정 (2013).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수향, 최연희 (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6. 김향은 (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7. 김희정, 장경원 (2015). 강점탐구이론 기반 학교 변화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53(1), 137-165.
  8. 남궁은정, 장영철 (2014). 조직변화를 위한 대화의 특성에 대한 연구: 긍정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22(1), 35-63.
  9. 박상곤, 이태복 (2011). 긍정조직혁명. 경기도: 물푸레.
  10. 박선형 (2010). 교육행정학의 혼합방법연구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 교육행정학연구, 28(2), 27-54.
  11. 보건복지부 (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재)한국보육진흥원.
  12. 서 현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준비과정에 나타난 보육교사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29.
  13. 심미연 (2011. 1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그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14. 심미연 (2015). 생태유아교육기관 평가체제 모형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16. 유정은 (2014).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경화 (2014).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 41(2), 107-137.
  18. 이경화 (2018).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7(1), 49-73. doi:10.30761/ecoece.2018.17.1.49
  19. 이기숙, 강수경 (2012). 유아교육기관평가. 서울: 창지사.
  20. 이미정, 이진희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21. 이종근 (2012). 교사의 교육권,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학생의 학습권의 내용 및 상호관계. 법과인권교육연구, 5(3), 47-68.
  22. 이지영, 김명언 (2008). 조직에서의 긍정 심리학의 적용: 긍정조직학의 현주소와 지향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4), 677-703.
  23. 장영철, 남궁은정 (2013). 긍정 탐구를 통한 조직변화 / 혁신. 대한경영학회지, 26(10), 2627-2649.
  24. 전인수 (2011. 1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그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25. 정나영, 김수영 (2013).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3(3), 423-447.
  26. 정정희, 이효림 (2014). 유아교육기관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4(1), 251-273.
  27. 정찬우, 김언주, 민현숙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대전지역 9개 인증 보육시설(20이상). 아동교육, 17(1), 269-279.
  28. 조현옥, 최인화 (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2차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29. 최혜진 (2014). 강점활용을 통한 행복한 관계 만들기: 협동미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77-94.
  30. 하영례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준비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4), 25-47.
  31. 허우정 (2011).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지표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홍성희 (2017).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 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6(1), 103-131.
  33. 홍성희, 조은래 (2017).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687-705. doi:10.22251/jlcci.2017.17.11.687
  34. 홍성희, 황해익 (2015).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395-418.
  35. 황해익 (2010). 아동연구방법(개정판). 서울: 정민사.
  36. 황해익 (2015). 유아교육평가의 이해(개정판). 경기: 정민사.
  37.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
  38.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 (2008).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개정판 2판). 서울: 창지사.
  39. 황해익, 최혜진, 남미경, 정혜영 (2014).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부산.
  40. 황해익, 최혜진, 남미경, 정혜영 (2015). 관계지향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강점기반평가.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9-49.
  41. Cameron, K. S. (2003). Organizational Virtuousness and Performance.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 48-65).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42. Cameron, K. S. Dutton, J. E., & Quinn, R. E. (2003). Foundations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 3-13).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43. Clifton, D. O., & Nelson, P. (1995). Soar with your strengths. New York: Dell Publishing.
  44. Creswell, J. W. (2011). Research design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김영숙, 류성림, 박판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9년).
  45.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doi:10.1037//1082-989X.1.1.16
  46. Andrade, H. G.(1997).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47. Gorsuch, R. L. (1983).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8. Greene, J. C. (2011). Miwed Methods in Social Inquiry,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이진희, 이병호, 윤은주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7년).
  49.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0.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706. doi:10.1002/job.165
  51. Stake, R. E. (2000).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질적 사례 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95년).
  52. Wiggins, J. S. (1996).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Theoretical perspectives.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