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ddle-aged male consumers' outdoor sportswear purchase behavior of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중년남성의 쇼핑성향에 따른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구매행동

  • Received : 2017.12.06
  • Accepted : 2018.02.2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outdoor sports wear purchase behaviors among middle-aged male consumers based on outdoor sports wear shopping orientation. Data research was conducted on 300 internet users in their 40s and 50s located all parts of the country. The SPSS 24.0 softwar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ata analys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x^2-test$, t-test, ANOVA, and Duncan test as a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outdoor sports wear shopping orientation was identified with fivefactors : the tendencies of wanting to show off a brand name, conservative purchasing, economical purchasing setting a high value on a salesperson, and impulse purchasing. Secondly, the middle-aged 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 to three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a rational group, an indifferent shopping group, and pursuit brand shopping group. Thirdl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outdoor sports wear shopping orientation subdivision in all factors. Fourthly, in the ca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s regarding outdoor sportswe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subdivision in mass media/store source, personal source/ prior shopping experience. Fifthly, all types of st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hopping orientation subdivision except for large discount stores.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화, 황진숙. (2007). 성인 남녀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판매원서비스와 매장환경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4), 540-550.
  2. 권일권, 원도연. (2014). 중년여성들의 아웃도어스포츠웨어 소비행태 분석과 마케팅적 함의. 한국체육학회지, 53(2), 309-321.
  3. 김경은, 곽금주, 민하영, 최지영, 진숙영. (2011). 한국 직장 남성의 중년에 대한 인식. 인간발달연구, 418(3), 135-115.
  4. 김명희, 황춘섭. (2013). 기능성 화장품 쇼핑성향이 상표전환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지, 37(3), 334-347.
  5. 김보라. (2017. 11. 9). 세정그룸, '센터폴' 사업 철수... 계속되는 아웃도어 잔혹사. 브릿지경제. 자료검색 일 2018. 2. 1, 자료출처 http://www.viva100.com
  6. 김상미. (2014). 추구혜택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 규명을 위한 문헌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4), 472-482.
  8. 김여원, 최종명. (2009). 디지털세대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트렌드 수용도와 패션 정보원. 복식문화연구, 17(2), 238-254.
  9. 김주희, 박옥련, 이동철. (2005).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2), 533-548.
  10. 김지원, 오희선, 한지원. (2013).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아웃도어재킷 색채 선호도. 조형미디어학, 16(1), 81-88.
  11. 김지은, 김은경. (2017). 액티브 시니어 남성의 아웃도어 웨어 구매 및 착용 실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6), 736-748. https://doi.org/10.5805/SFTI.2017.19.6.736
  12. 문경은, 정명선. (2015). 남성의 쇼핑성향, 패션관여 및 인구통계적 특성이 아웃 도어 웨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3(2), 213-227.
  13. 문지현, 전은경, 유화숙. (2008). 기능성 소재 스포츠웨어 구입시의 정보이용행태. 한국의류학회지, 32(11), 1814-1824.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1.1814
  14. 박로명. (2017. 9. 4). 여행.레저.취미에 과감히 쓴다, '온라인 욜로 아재'늘었다. 헤럴드경제. 자료검색일 2018. 2. 1, 자료출처 http://news.heraldcorp.com
  15. 박은주, 강은미, 하명진. (2005). 쇼핑성향에 따른 인터넷 패션 쇼핑몰 환경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3(4), 564-575.
  16. 백경자, 황영미, 이정란. (2013). 30-50대 남녀의 아웃도어 웨어 착용실태 및 인식조사(제1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5), 787-796. https://doi.org/10.5805/SFTI.2013.15.5.787
  17. 삼성패션연구소. (2017. 7. 4). Active Senior베이비부머 전성시대.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7. 11. 1,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8. 성희원. (2012).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 구매행동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2), 315-329. https://doi.org/10.5934/KJHE.2012.21.2.315
  19. 손은영. (2008).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추구이미지 및 캐주얼의류 구매의사 결정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원미향, 박원주. (1994). 의복구매상황에 따른 점포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234-243.
  21. 위키백과. (2013. 10). 자료검색일 2017. 12. 1,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85%84
  22. 이아람. (2016. 9. 1.). 달라진 아웃도어...라이프스타일이 뜬다. 어패럴뉴스. 자료검색일 2017. 11. 1, 자료출처 http://www.appnews.co.kr/main/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62615
  23. 이연정, 박명자. (2013). 중년층 소비자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아웃도어웨어의 일상복으로의 활용성. 복식문화연구, 21(5), 765-779.
  24. 이영주, 이은옥. (2011).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구매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복식문화연구, 19(5), 1088-1101.
  25. 이은영. (2001). 패션마케팅. 서울: 교학사.
  26. 이정민, 박숙현, 이경림. (2017). 명품쇼핑성향과 구매행동이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5(1), 16-31.
  27. 이정숙, 김용숙. (2013). 남자 중학생들의 신발쇼핑성향에 따른 신발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21(5), 671-683.
  28. 이지나, 박옥련, 이동철. (2006). 등산복 구매행동의 특성 연구.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3), 1147-1159.
  29. 인구총조사. (2017. 8. 1). KOSIS국가통계포털. 자료검색일 2017. 11. 1, 자료출처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30. 장원용, 이광용, 원도연. (2015). 아웃도어 스포츠의류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시장 세분화 전략.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3), 117-130.
  31. 정성지. (2015). 중년여성소비자의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구매행동.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3), 99-113.
  32. 전민지, 오희선, 김지원. (2012).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 평가기준 및 구매 실태. 조형미디어학, 15(3), 201-208.
  33. 최태산, 박혜경. (2011). 중년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3), 931-944.
  34. 한기향, 원명심. (2004). 중년남성의 골프웨어 쇼핑성향과 판매원 서비스 중요도. 조형연구, 12, 1-32.
  35. 한희정. (2016).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웃도어 의류 구매상황, 복식문화연구지, 24(2), 218-232.
  36. 황진숙. (2007). 스포츠웨어 선택기준 집단의 추구혜택, 국내 및 해외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 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31(12), 1742-1753.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2.1742
  37. Eckman, M., Damhast, M. L., & Kadolph, S. J. (1990). To ward a Model of the Ino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r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38.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and life style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USA.
  39. Shim, S., &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58-64.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9

Cited by

  1. 패션제품 대여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과 의복 쇼핑성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vol.56, pp.6, 2018, https://doi.org/10.6115/fer.2018.040
  2. 신체적 자기개념이 스포츠웨어 의존성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vol.42, pp.6, 2018, https://doi.org/10.5850/jksct.2018.42.6.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