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cessories of minorities in Yunnan, China - focused on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nationality -

중국 윈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장신구 특성 - 바이족(白族), 좡족(壮族), 다이족(傣族), 장족(藏族), 하니족(哈尼族)을 중심으로 -

  • Xuanmeng, Zhao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Yoon, Jung-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Yo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7.08.22
  • Accepted : 2018.02.1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accessory of clothes of minority groups in Yunnan province to further the research about specific accessories' development in the future. Among the minorities in Yunnan, this study centralized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hats and belts among five minority groups such as the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as representatives to study in detail because these five ethnicities have a relatively long history and plentiful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aggeration means large gorgeous patterns that attract attention. Generally, there are many natur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these minority groups live such as gems, gold, silver shells and animals' horns, bone, teeth and the like. Headdress includes combs, loops, hairp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Second, nature is a very fundamental part that people rely on for existence and development. The production and living that people need in life all depend on nature. The design of accessories is made from animal forms and patterns of clothes are presented through embroidery and wax printing. Designers always tried to add natural elements to their works. Third, symbolism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the people's imagination, which related to actual materials, and the other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that provides better conditions to inspire people when they design. In China, most minority groups believe in Buddhism. The symbols in the clothing show their devout faith. Even the method of wear has many special implications like the use of accessories and length of clothing. The pattern of dragons and use of golden, red and other colors all have a proper symbolic significance in modern designs.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상. (1998).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서울: 융성출판사.
  2. 권태효. (2004). 중국 운남 소수 민족의 제의와 신화. 서울: 민속원.
  3. 김미선. (2014), 중국 운남성 홍하하나족 이족 자치주 이족 여성복식 연구: 원양현. 홍하현. 석병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영, 윤정아, 이연희 (2014). 현대 패션 액세서리에 나타난 키치(Kitsch) 특성. 복식, 64(6), 102-119. https://doi.org/10.7233/jksc.2014.64.6.102
  5. 김영옥, 황춘섭. (1999). 중국소수민족복식(1). 장안논총, 제2집.
  6. 김일정. (2002). 중국 소수민족쓰개의 유형분석. 충남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형주. (2003). 상징적 형상을 통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영, 조우현 (2005), 운남 지역 소수민족 치마의 조형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3), 167-180
  9. 단진. (2012). 묘족복식의 자수문양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루이. (2001). 중국 요족 복식 분석과 디자인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류정. (2005). 中国编织服饰全集(6). 텐진: 천진인민출판사.
  12. 리치수아이. (2014). 중국 장족 복식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선영. (2004). 중국 장족 복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춘순. (2002). 중국 소수민족쓰개의 유형분석: 지역.성별.상징성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춘순, 조우현. (2001). 中国 少数民族 服饰. 서울: 민속원.
  16. 白族刺绣围裙. Baidu. 자료검색일 2015. 12. 2,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B0%D7%D7%E5%B4%CC%D0%E5%CE%A7%C8%B9&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17. 白族刺绣鞋.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23,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B0%D7%D7%E5%B4%CC%D0%E5%D0%AC&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18. 서봉하. (2010).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2), 19-31.
  19. 서상민. (2001). 각국의 국내 민족정책: 중국의 소수민족 현황과 정책. 민족연구, 6, 137-148.
  20. 소황옥, 김양희. (2008). 중국소수민족과 복식. 서울: 경춘사.
  21. 양원. (1999). 中國民族服飾文化圖典. 北京 : 大衆文藝.
  22. 오탁. (2006). 중국 현대 복식에 나타난 소수민족 복식의 특징.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왕혜원. (2013). 중국 이족 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윈남성 위치. 자료검색일 2016. 1. 23, 자료출처 http://www.doopedia.co.kr
  25. 이금희, 윤지원, 한정아. (2007). 중국 묘족 (苗族) 복식을 특화시킨 현대적 패션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5(5), 902-915.
  26. 이기석. (2014). 중국 장족 복식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무기. (2014).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 디자인 개발: 직물 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嘉泉大學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무기. (2014).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직물 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嘉泉大學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쿤생, 주문림. (2002). 운남소수민족복식. 쿤명: 운남미술출판사.
  29. 장이. (2011). 중국 묘족 복식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전인영. (1994).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분석. 국제지역연구, 3(4), 73-98.
  31. 정복희. (1997).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형성요인과 조형.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0(1), 54-70.
  32. 정재남. (2007). 중국 소수민족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33. 壮族头饰.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1,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D7%B3%D7%E5%CD%B7%CA%CE&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34. 壮族女刺绣鞋.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13,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ipn=r&ct=201326592&cl=2&lm=-1&st=-1&fm=result&fr=&sf=1&fmq=1503118448177_R&pv=&ic=0&nc=1&z=&se=1&showtab=0&fb=0&width=&height=&face=0&istype=2&ie=utf-8&hs=2&word=%E5%A3%AE%E6%97%8F%E5%A5%B3%E5%88%BA%E7%BB%A3%E9%9E%8B
  35. 藏族靴子.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29,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B2%D8%D7%E5%D1%A5%D7%D3&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36. 藏族宗教服饰.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12,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ipn=r&ct=201326592&cl=2&lm=-1&st=-1&fm=result&fr=&sf=1&fmq=1503115780197_R&pv=&ic=0&nc=1&z=&se=1&showtab=0&fb=0&width=&height=&face=0&istype=2&ie=utf-8&hs=2&word=%E8%97%8F%E6%97%8F%E5%AE%97%E6%95%99%E6%9C%8D%E9%A5%B0)
  37. 哈尼族绑腿. Baidu. 자료검색일 2015. 11. 3, 자료출처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B9%FE%C4%E1%D7%E5%B0%F3%CD%C8&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38. 哈尼族头饰. Baidu. 자료검색일 2015. 12. 12, http://image.baidu.com/search/index?tn=baiduimage&ct=201326592&lm=-1&cl=2&ie=gbk&word=%B9%FE%C4%E1%D7%E5%CD%B7%CA%CE&fr=ala&ala=1&alatpl=adress&pos=0&hs=2&xthttps=000000

Cited by

  1. Cruising down millennials’ fashion runway: a cross-functional study beyond Pacific borders vol.22, pp.1, 2021, https://doi.org/10.1108/yc-05-2020-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