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on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YouTube Users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이강유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성동규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8.11.06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video services affect the 'flow' as positiv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89 people using YouTube,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teractivity, newness of recommendation service, diversity of content, and entertainingness of contents all affect the lower level of flow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 accuracy of the recommendation service did not affect the flow experience, but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Fi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flow has a direc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online video platform service and suggest the discussion points to be considered by the industry to satisfy users.

본 논문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영상 서비스의 인지된 특성이 이용자의 긍정적인 몰입 경험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를 위해 평소 유튜브를 이용하는 20-30대 응답자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해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튜브의 상호작용 특성과 추천 서비스의 새로움, 콘텐츠의 다양성, 콘텐츠의 오락성이 모두 개인의 몰입 경험 하위차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추천 서비스의 정확성은 개인의 몰입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만족 수준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몰입은 이용자의 만족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고, 유튜브의 특성과 만족을 일부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온라인 영상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용자의 만족을 위해 실무 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66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델

표 1. 초기 연구자들이 제시한 몰입 상태의 특징

CCTHCV_2018_v18n12_660_t0001.png 이미지

표 2. 측정척도의 신뢰도

CCTHCV_2018_v18n12_660_t0002.png 이미지

표 3.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8_v18n12_660_t0003.png 이미지

표 4. 몰입-즐거움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2_660_t0004.png 이미지

표 5. 몰입-시간왜곡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2_660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나스미디어, NPR 인터넷 이용자 조사 보고서, 나스미디어, 2018.
  2. 방송통신위원회, 2017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7.
  3. 강미선, "유튜브는 어떻게 '갓튜브'가 됐나," 신문과방송, 제570호, pp.6-10, 2018.
  4.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5. M.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Basic Books, 1997.
  6. 김양은, 박상호, "온라인게임이 게이머의 플로우 경험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179-208, 2007.
  7. 박신영,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용 동기와 이용 정도에 따른 플로우 경험," 방송통신연구, 제81호, pp.97-126, 2013.
  8. 박유진, 김재휘, "사이버 커뮤니티의 몰입과 정체성이 친커뮤니티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9호, pp.41-77, 2006.
  9. 전방지, "콘텐츠 창조와 플로우 : 동영상 UCC 이용 동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222-23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222
  10. 금준경, "국내 언론사의 유튜브 생존 전략," 신문과방송, 제570호, pp.11-15, 2018.
  11. 김예란, "'참여'의 디지털 문화산업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5호, pp.406-428, 2009.
  12. 반현, 정낙원, "동영상 UCC 한.미 이용자 특성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276-316, 2009.
  13. 이수영, 좌영녀, "능동적 수용자로서 UCC 생산자들의 미디어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5호, pp.234-260, 2011.
  14. 김은미, 권상희, "동영상 UCC의 선택과 의용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7권, 제2호, pp.5-43, 2011.
  15. 오대영, "수용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이용동기, 성격이 유튜브의 장르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22-162, 2017.
  16. 김설예, 유은, 정재민,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57-84, 2016.
  17. 안진, 최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pp.5-53, 2016.
  18. 유재흥, "개인방송 그 수익의 근원," 한국통신학회, 제33권, 제4호, pp.71-78, 2016.
  19. L. K. Trevino and J. Webster,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5, pp.539-573, 1992.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1
  20. D. L. Hoffman and T. 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3, pp.50-68, 1996. https://doi.org/10.2307/1251841
  21.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University of Pittsburgh at Bradford Published in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6.
  22. 박승민, 김창대,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 유형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999-1022, 2005.
  23. 예종석, 김동욱, "인터넷 이용충족, 플로우 및 개인적 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14권, 제2호, pp.45-83, 2003.
  24. 우형진,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 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4호, pp.101-140, 2007.
  25. 이상만, 이국용, "온라인 게임 이용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3호, pp.84-108, 2008.
  26. 이항, 김준환,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4호, pp165-185, 2010.
  27. 김성호, 서민교, "스마트폰 사용자의 플로우 선행변수, 플로우,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3권, 제4호, pp.305-324, 2013.
  28. 김린아, 한은경,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동기가 이용 만족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111호, pp.5-39, 2016.
  29. 반옥숙, 박주연,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59-95, 2016.
  30. C. Heeter, "Implications of new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conceptualizing communication," in J. L. Salvaggio and J. Bryant (eds), Media use in the information age: emerging patterns of adoption and consumer use, Lawrence Erlbaum, pp.217-235, 1989.
  31. J. Steue,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2, No.4, pp.73-93, 1992.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812.x
  32. 권상희,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차원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46-97, 2007.
  33. 송붕, 이종호, 정병무, "스마트폰 게임 특성이 몰입,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1호, pp.277-296, 2014.
  34. 최동성, 박성준, 김진우,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게임의 중요 요소에 대한 LISREL 모델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21, 2001.
  35. R. Zhou, S. Khemmarat, and L. Gao, "The impact of YouTube recommendation system on video views," Proc. of the 10th ACM SIGCOMM conference on Internet measurement, pp.404-410, 2010.
  36.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4041 3320275521, 2018.4.4.
  37. C. M. Finneran and P. Zhang, "A Person-Artefact-Task (PAT) Model of Flow Antecedents in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59, No.4, pp.475-496, 2003.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112-5
  38. 유로, 이종호, "모바일 메시저 앱의 이용 동기와 품질요인이 몰입과 사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3호, pp.255-276, 2014.
  39. 조철호, "웹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논문지, 제23권, 제3호, pp.1481-1500, 2013.
  40. Y. Jung, B. M. Perez, and S. P. Wiley, "Consumer adoption of mobile TV: Examining psychological flow and media cont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No.25, pp.123-129, 2009.
  41. 김유정, 심미선, "방송 프로그램 품질평가 방식에 대한 재고찰,"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5호, pp.81-116, 2016.
  42. 유홍식, 황성연, 주영호, 박종민, "경쟁적 방송환경에서 민영방송의 프로그램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60호, pp.243-262, 2005.
  43. 김동우, 이영주, "N스크린 서비스의 이용행태, 콘텐츠, 기능, 비용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749-757, 2013. https://doi.org/10.5909/JBE.2013.18.5.749
  44. 유지훈, 박주연,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102호, pp.46-79, 2018.
  45. 송진, 이영주, "웹 기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3권, 제2호, pp.43-85, 2016.
  46. 박주연, 박수철, "TV방송과 인터넷 개인방송의 보완과 대체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미디어, 제18권, 제1호, pp.136-157, 2017.
  47. 최재원, 이홍주,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사용자 평가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전자거래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85-103, 2012.
  48. 황하성, 박성복,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5호, pp.339-379, 2007.
  4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