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 Focusing on Using Youths for Drop in Center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일시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8.12.11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is study analysis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run away youths using drop in center. This result peer support had more influence on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than in supporting the working class and career maturity had a huge impact on all the low-variables of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Career maturity level for run away youths paly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just like general youths. On the base this study propose supporting system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worker empowerment, drop in center's role establish for independent living.

본 연구는 일시청소년쉼터 이용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 중 친구 지지가 실무자 지지보다 자립준비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진로태도성숙은 자립준비의 하위변인 모두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곧 가출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일반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가출청소년이 자립을 준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 자립준비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일시청소년쉼터 실무자의 역량강화, 자립지원을 위한 일시청소년쉼터 역할 정립에 대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Keywords

표 1. 사회적 지지 척도의 문항수 및 신뢰도

CCTHCV_2018_v18n12_197_t0001.png 이미지

표 2. 진로태도성숙 척도의 영역별 문항수 및 신뢰도

CCTHCV_2018_v18n12_197_t0002.png 이미지

표 3. 자립준비 척도의 영역별 문항수 및 신뢰도

CCTHCV_2018_v18n12_197_t0003.png 이미지

표 4. 가출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197_t0004.png 이미지

표 5.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 자립준비 하위영역별 상관관계 분석

CCTHCV_2018_v18n12_197_t0005.png 이미지

표 6.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 자립준비 평균 점수

CCTHCV_2018_v18n12_197_t0006.png 이미지

표 7. 사회적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8_v18n12_197_t0007.png 이미지

표 8. 진로태도성숙이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8_v18n12_197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지연, 정소연, 가출청소년 보호지원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2. 여성가족부, 2016 청소년 사업안내, 2016.
  3. 김은녕, 쉼터 퇴소청소년의 자립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 정진선, 가출청소년의 진로의사 결정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향초, 가출청소년의 이해와 개입방법, 나눔의 집, 2001.
  6. 여성가족부, 2018 청소년 사업안내, 2018.
  7. http://shelternet.or.kr,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행정시스템
  8. 성동제, 위기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과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 김현주, 우리나라 청소년쉼터 운영실태와 발전방향 연구, 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최은영, 유서구, "가출청소년의 희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1, pp.311-332, 2012.
  11. 변상해, 정의정, 오수생, 신종수, "미술 활동이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군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4, pp.217-227, 2009.
  12. 정경미, "시설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 및 자립준비도의 관계," 상담평가 연구, Vol.2, No.1, pp.33-50, 2009.
  13. 이상주, 전미숙, "가출청소년 문제현황과 대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4, pp.75-92, 2015.
  14. 조기곤,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A. Maluccio, R. Krieger, and B. A. Pine, Assessing skills for Interdependent living. In A. N. Maluio, R, Kreiger, and B. A. pine(eds), "Preparing adolescents for life after foster care," Washington DC:Child Welfare Legue of America, pp.77-89, 1990.
  16. 전미숙, 쉼터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적 요인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청소년과 보육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아동복지학, Vol.13, No.4, pp.90-124, 2001.
  18. 김정연, 하지선, 김인숙, "시설십대 청소년의 자립척도 개발,"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pp.23-53, 2011.
  19. 김보기,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0. 김남욱, 가출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최일심, 여자 가출 청소년의 자립 과정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2. 김봉환, 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3.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4. 김현중, 사회적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5.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6. 김나영, 배임호, "사회적 지지가 소년원 내 남자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pp.39-64, 2018.
  27. 김미연, 그룹홈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조순실, 그룹홈 퇴소 청소년의 자립을 향한 삶의 경험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9. 배주미, 김영화, 김범구, 정익중,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서비스에 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pp.69-96, 2011.
  30. 보건복지부, 위기청소년자립지원방안 연구, 2008.
  31. 이경상,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실태,"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pp.341-362, 2011.
  32. 조규필, "취약청소년 자립비요인 탐색 시사,"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pp.97-120, 2011.
  33. 김명성, 시설퇴소 청소년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4.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5. 오승환, "청소년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pp.301-324, 2010.
  36. 오수생, 변상해, "가출위기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변인연구," 벤처 창업연구, Vol.7, No.2, pp.195-205, 2012.
  37. 노혁, "빈곤계층 청소년의 자립능력개발을 위한 복지지원방향 - 생활자립지원시설 실태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11, No.1, pp.94-117, 2004.
  38. 최순종, "가출청소년쉼터의 새로운 유형화를 위한 방안 연구," 교정담론, Vol.10, No.2, pp.273-295, 2016.
  39. 정문진, 가출청소년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0. G. D. Zimer,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41. 김소임, 낮병원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2. 조규필,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