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

  • 서용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 이지숙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학과) ;
  • 김현순 (단국대학교 교양대학 교양학부) ;
  • 임명호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심리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The subjects were 399 middle school students and 366 high school students in four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and small towns for one month from July 1, 2017.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see how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 esteem, and depression affect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s a result, first,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uitiv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adolescents. Second, self-esteem of adolesc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e results may help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be us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1일부터 한 달 간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소재하는 4개의 중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에서 중학생 399명, 고등학생 366명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유형은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부적 상관관계가, 우울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자아존중감, 우울과 진로의사 결정유형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173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CCTHCV_2018_v18n12_173_t0002.png 이미지

표 3.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

CCTHCV_2018_v18n12_173_t0003.png 이미지

표 4.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우울, 의사결정유형의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173_t0004.png 이미지

표 5. 의사결정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CTHCV_2018_v18n12_173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허정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504-51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504
  2. 정은선, 조한익,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1호, pp.209-227, 2009.
  3. 박영호, 유영애,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아개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제11권, 제2호, pp.341-373, 2001.
  4. 안광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유형과 진로의사결정유형과의 관계,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애숙,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김형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대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정성경, 남상인, "상담 일반: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 및 의사결정 유형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6권, 제4호, pp.1127-1135, 2005.
  8. 송소원,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따른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학생생활연구(학생지도연구), 제14권, pp.1-22, 2001.
  9. 최석강,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0. 염소림, 최유석,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55-26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
  11. 이현시, 이윤주,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이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6권, 제1호, pp.197-209, 2005.
  12. 신효식, 김근화,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의 의사 소통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47-58, 2004.
  13. 이희자, 김경원,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발달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제9권, 제3호, pp.283-295, 2000.
  14. 국길숙, 이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제23권, 제1호, pp.89-107, 2003.
  15. 박정희, 이은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1호, pp.103-123, 2008.
  16.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438
  17. 박진채, 홍경자, "가족의사소통, 합리적 진로의사 결정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제1권, 제1호, pp.37-52, 2004.
  18. 이현숙, 조한익,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목표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89-105, 2004.
  19. 허정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433-44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433
  20. 김종운, 최미숙,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연구지, 제30권, 제3호, pp.175-196, 2011.
  21. 김희수, 홍성훈, 윤은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2호, pp.37-65, 2005.
  22. 공윤정,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논의,"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27-43, 2014.
  23.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4. 이현주, "진로의사결정과 개인적 변인들의 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223-276, 1998.
  25. S. Jackson, J. Bijstra, L. Oostra, and H. Bosma, "Adolescents'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lative to specific asp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rs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olescence, Vol.21, No.3, pp.305-322, 1998. https://doi.org/10.1006/jado.1998.0155
  26. 김은주, 임지영, 최경원, "경인지역 보건소 방문 간호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24-33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324
  27. 장해순, 강태완,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3권, 제2호, pp.104-130, 2005.
  28. H. L. Barnes and D. H. Ols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Vol.56, No.2, pp.438-447, 1985. https://doi.org/10.2307/1129732
  29. V. A. Harren,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No.2, pp.119-133,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30. R. F. Baumeister, The self, In D. Gilbert, S. Fiske, & G. Lindzey (Eds.), Random House, 1998.
  31. P. A. Thoit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5, No.1, pp.53-79, 1995. https://doi.org/10.2307/2626957
  32. 여성가족부, 2014청소년종합실태조사보고서, 여성가족부, 2014.
  33. 김윤희,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34. M. Rosenberg,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easures package, Vol.61, No.52, 1965.
  35. 전병재, 자아존중감 도구측정, 연세논총, 1974.
  36.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No.3,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7.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5-76, 1992.
  38. 최인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611-62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