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thers' Experiences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유아기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경험

  • 용세현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성희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04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eply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parents who took part in child-English Education through semantic analysis about 11 mothers' and their children's experiences in the individual 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The obtain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tarted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belief that English ability is an essential asse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ir experiences and the scheduled situation. Also they positively recognized the effect of English education when they could feel their children's learning improvements. Second,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their children's education stress and economic burden. Third, participants had personal, social level desires for their children's proper English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revealed the critical introspection about mothers' experiences and desires in child-English Education. And it alluded to necessity about continuous attention and debate in child-English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유아영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11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영어교육 경험과 인식을 심층 면담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 영어교육 과정에서 어머니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지 분석 해 봄으로써 유아영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모들의 상황을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글로벌 시대에 영어는 필수라는 신념, 본인의 경험, 예정된 개인적 상황 등에 의해 자녀의 유아영어교육을 선택하여 실행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때 영어교육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으며 이에 큰 의미부여를 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교육 과정에서 자녀의 공부 스트레스, 높은 비용 부담 등의 어려움과 문제점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기 자녀들의 발달에 적절한 영어교육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방향성과 방법론 제시에 관한 바람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실제적인 경험 및 바람에 관한 비판적 성찰 등을 드러냄으로써,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제한점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배경

CCTHCV_2018_v18n12_14_t0001.png 이미지

표 2. 자료 수집 방법 및 생성된 자료의 목록

CCTHCV_2018_v18n12_14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교육부, 출발선 평등을 실현하기위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교육부 보도자료, 2017.12.27.
  2.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 cleView&idxno=1108802
  3. http://www.hani.co.kr/arti/society_general/864393.html
  4. 손중선, 이병천, 김희규, "유치원 영어교육 현황 분석 :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Primary English Education, 제14권, 제2호, pp.185-204, 2008.
  5. 강승지, 이연선, "우리나라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2 호, pp.141-168, 2018.
  6. 이기숙, 손수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49-71, 2012.
  7. 목현정, 유아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관한 초등학부모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박신영, 울산 지역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학부모들의 인식 분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신진영, 조기 영어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 외국의 조기교육,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김은희, 취학 전 아동의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이정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 부모의 계층에 따른 교육열의 차이를 중심으로 -," 사고개발, 제11권, 제1호, pp.131-153, 2015.
  12. 이윤진, "유아기 영어교육실태 분석," 육아정책 포럼, 제25권, 제7호, pp.15-25, 2011.
  13. 윤세영,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4. 이윤진, 유아기 영어교육실태 분석, 육아정책포럼, 육아정책연구소, 제25호, pp.15-25, 2011.
  15. 이숙자, 가정에서 유아의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김경순,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김혜미,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영 어교육 방법," 영미어문학, 제126호, pp.171-193, 2017.
  18. 노승희,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유아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9. 박상욱, "유아대상 영어학원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학부모와 학원장 인식의 질적 연구-근거이론 중심으로," 미래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59-88, 2017.
  20. 전주아,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유아 영어교사의 인식 연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우남희, 서유헌, 강영은,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22. 이병민, 조기 영어교육, 거품 빼고 진실 캐기 굿 바이 영어 사교육, 서울 : 시사인북, 2014.
  23. 김용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태 연구 : 양산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오수아,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6.
  25. 황근희, 최나야,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 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1권, 제1호, pp.189-211, 2017.
  26. 이석금, 이진희,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현대문법연구, 제84권, pp.115-140, 2015.
  27. 마송희, "유아영어교육연구동향: 2006-2016년 국 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구문제연구, 제34권, 제4호, pp.125-149, 2016.
  28. I. Seidman,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6년 출판), 2009.
  29. 이용숙, 김영천,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1998.
  30. 황혜신, "조기영어교육이 유아의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지, 제13권, 제4호, pp.497-506, 2004.
  31. 심우진, 신동일, "영어교육 열풍에 관한 시사다 큐멘터리의 서사분석 :〈PD수첩〉'조기 영어교육 열풍, 신음하는 아이들' 방송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79-9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079
  32. J. P. Comer and N. M. Haynes, "Parent involvement in schools: An ecological approach,"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91, No.3, pp.271-277, 1991. https://doi.org/10.1086/461654
  33. 강시경, 원은석, "유아영어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구성과정 및 효과제시," 외국학연구, 제16권, pp.9-33, 2011.
  34. 김마리아, 영어학습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기대 와 유아 학습태도 및 흥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5. 이용석, 유아 사교육 참여 형태가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6.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 김영실, "한국 사립 유치 원 영어교육의 실태," 아동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99-313, 2001.
  37. 송미선, 박현주, 김정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0권, 제3호, pp.115-134, 2011.
  38. 김미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 원장,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9. 이영순, 만 3-5세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유아의 정의적 특성,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0. 곽혜린,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