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olution and Application of Universit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대학교육수요자만족도지수(UCSI) 개발 및 적용

  • 정복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이상철 (KC대학교 빅데이터경영학과) ;
  • 임광혁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0.15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Educationa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educational field but the existing customer satisfaction index mainly focused on partial area because measurements could not reflect the alteration of universit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new UCSI for univer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UCSI. This research uses the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UCSI is verified. Education condition, education course, university development and student support are clarified to be appropriate componen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This research develops UCSI and applies it in a university. University managers can be us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교육수요자만족도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생존과 연계되어 있는 부분이지만, 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수요자만족도 모델은 교육환경을 부분적으로 반영한 모델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에서 필요한 대학교육수요자만족도지수(UCSI)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발된 UCSI의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교육환경, 교육과정, 대학발전, 학생지원이라는 4대 요소와 18개 차원으로 구성된 UCSI를 개발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 교육수요자 만족도를 평가하고 IPA분석을 통해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406_f0001.png 이미지

Fig. 1. Research model of UCSI

CCTHCV_2018_v18n11_406_f0002.png 이미지

Fig. 2. The results of IPA

Table 1. Factors of Satisfa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CCTHCV_2018_v18n11_406_t0001.png 이미지

Table 2. The relation of UCSI with previous studies

CCTHCV_2018_v18n11_406_t0002.png 이미지

Table 3. Measurements of UCSI

CCTHCV_2018_v18n11_406_t0003.png 이미지

Table 4. Demographic statistics

CCTHCV_2018_v18n11_406_t0004.png 이미지

Table 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ducation course

CCTHCV_2018_v18n11_406_t0005.png 이미지

Table 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student support

CCTHCV_2018_v18n11_406_t0006.png 이미지

Table 7.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ducation condition

CCTHCV_2018_v18n11_406_t0007.png 이미지

Table 8.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university development

CCTHCV_2018_v18n11_406_t0008.png 이미지

Table 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universit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CCTHCV_2018_v18n11_406_t0009.png 이미지

Table 10. The results of education course dimension

CCTHCV_2018_v18n11_406_t0010.png 이미지

Table 11. The results of UCSI

CCTHCV_2018_v18n11_406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대학기본역량 진단 및 재정지원 사업개편 시안, 교육부, 2017, http://www.moe.go.kr.
  2.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 기본계획, 교육부, 2017, http://www.moe.go.kr.
  3. 박혜림,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만족도 조사 도구 개발,"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5권, 제6호, pp. 375-386, 2015.
  4. A.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93.
  5. B. D. Rube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995.
  6. 권대봉, 오영재, 박행모, 손순종, 송선희,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교육학연구, 제40권, 제3호, pp. 181-202, 2002.
  7. 강민채, "교육만족도를 통한 대학생들의 대학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 365-37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365
  8. 송홍준,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8호, pp. 556-567, 2016.
  9. 이경철,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대학이미지 및 긍정적 행동의지에 미치는 인과모형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4호, pp. 287-309, 2004.
  10. 이상준, 윤관호, 김성윤,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AP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 510-52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10
  11. 장영훈, 박성용, 김준석, "대학이미지 형성이 대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입학전 vs. 입학후," 상품학연구, 제33권, 제6호, pp. 1-9, 2015.
  12. 김준곤, 성한기, 이춘회, 박경자, "대학생활 만족의 구성요인과 예언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제4권, 제1호, pp. 154-167, 1991.
  13. 임규홍, 이종호, "대학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주대학교 대학생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경영교육, pp. 1-11, 2008.
  14. 김은주,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호, 제7권, pp. 209-231, 2014.
  15. 박제일, "대학만족도 검사의 개발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4호, pp. 843-855, 2016.
  16. 함은혜, 박상옥, 김은경, "대학교육만족도 영역별 점수의 의미와 활용 : Bifactor모형의 적용," 아시아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 713-738, 2017.
  17. 신소영,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pp. 107-132, 2013.
  18. 김경희,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 378-38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378
  19. 최덕철, 이경오,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제6권, pp. 339-366, 2000.
  20. 최규환, "관광분야 대학교육서비스 평가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학연구, 제32권, 제2호, pp. 13-37, 2008.
  21. 이영진, 대학서비스 만족도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학생과 외국학생의 비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2. 강만수, 박상규,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학생만족, 명성 및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3권, 제1호, pp. 153-174, 2011.
  23. 김미라, 황덕순, "국립대학교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만족의 척도개발-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16권, 제3호, pp. 25-43, 2005.
  24.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ey,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