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R과 Q 방법론의 비교[28]
표 2. Q-sample로 선정된 진술문
표 3. 유형별 P 표본의 구성 및 인자가중치
표 4. Q-sort 분포 모양
표 5. 각 유형별 아이겐 값과 변량
표 6. 각 유형별 긍정적/부정적 동의를 보인 진술문
References
- 김진영,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이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 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32, pp. 113-146, 2006.
- 박정의, 김진국, "언론인의 여성 정치인에 대한 인식연구 : 인천, 경기 지역 언론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 18, No. 3, pp. 35-54, 2010.
- 설진아, 김활빈, "대중매체의 후보이미지 형성 및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52, No. 2, pp. 328-352, 2008.
- 김재범, 최믿음,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과 유권자의 투표 행위," 광고연구, Vol. 98, No. 98, pp. 154-183, 2013.
- 이준웅, "후보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 15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 43, No. 2, pp. 243-284, 1999.
- 김혜성, "박원순 서울시장의 이미지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평화연구, Vol. 20, No. 1, pp. 105-138, 2012.
- 민영, "뉴스미디어, 캠페인 미디어, 그리고 정치 대화가 후보자 이미지와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44, No. 4, pp. 108-143, 2008.
- 이강형, "대통령 후보의 텔레비전 토론이 후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 보토론회 패널 조사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48, No. 2, pp. 346-473, 2004.
- 최용주, "정치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정치스캔들과 미디어," 언론과학연구, Vol. 1, No. 3, pp. 205-237, 2001.
- 노동렬, "신문의 선거보도 행태와 사진이미지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2, No. 8, pp. 157-16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157
- 설진아, 김활빈, "대중매체의 후보이미지 형성 및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52, No. 2, pp. 328-352, 2008.
- T. J. Johnson, A. M. Braima, and J. Sothirajah, “Doing the traditional media sidestep : Compraring the effects of the Internet and other nontraditional media with traditional media in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76, No. 1, pp. 99-123, 1999. https://doi.org/10.1177/107769909907600108
- S. S. Sundar, S. Kalyanaraman, and J. Brown, “Explicating web site interactivity : Impression formation effect in political campaign sites,” Communication Research, Vol. 30, No. 1, pp. 30-59, 2003. https://doi.org/10.1177/0093650202239025
- A. H. Miller, M. P. Wattenberg, and O. Malanchuk, “Schematic assessment of political candidat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0, No. 2, pp. 521-540, 1986. https://doi.org/10.2307/1958272
- D. J. Boorstin, The Image, New York : Athbaum, 1961.
- K. Boulding, The Image, Ann Arbor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6.
- W. Lippmann, Public Opinion, New York : Macmillan. McCroskey, J. C., 1961.
- T. E. Patterson, Out of Order, New York : Knopt, 1993.
- M. P. Wattenberg, The Rise of Candidatecentered Politic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 D. Nimmo and R. Savage, Candidates and their Image :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 Santa Monica, CA : Goddyear, 1976.
- 김현주, "대통령 후보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보, Vol. 12, pp. 45-74, 1997.
- G. N. Garramone, “Issue versus image orientation and effects of political advertising,” Communication Research, Vol. 10, No. 1, pp. 59-76, 1983.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1003
- J. C. McCroskey, P. R. Hamilton, and A. N. Weiner, "The effect of interaction behavior on source credibility, homophily,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 No. 1,pp. 42-52, 1974.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4.tb00252.x
- L. Shyles, “The relationships of images, issues and p resen ta t iona l me thods in te levised spot adv e r t is em en ts for 1980’ s American Presidential Primaries,” Journal of Broadcasting, Vol. 28, No. 4, pp. 405-421, 1984. https://doi.org/10.1080/08838158409386550
- 이준웅, "텔레비전 토론의 정치적 영향력 :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Vol. 12, pp. 253-297, 1999.
- D. K. Davis, “Issue information and connotation in candidate imagery : Evidence from a laboratory experiment,”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2, No. 4, pp. 461-479, 1981. https://doi.org/10.1177/019251218100200406
- H. K. Kim, "Q Methodology and Creation of Advertising Message," Operant Subjectivity, Vol. 20, pp. 28-29, 1997.
- 김흥규, Q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김홍규,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 연구, Vol. 1, pp. 15-23, 1999.
-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주관성 연구, Vol. 25, pp. 21-34, 2012.
- 전미영, 김명희, 조정민, "노화에 대한 주관성 연구 : 코오리엔테이션의 시각," 주관성연구, Vol. 14, pp. 129-145, 2007.
- 양창훈, 이제영,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3, No. 1, pp. 115-1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15
- 안이수,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8, No. 1, pp. 527-53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527
-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 The Free Press, 1966.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1231719221#csidx10ea61028062055a613afe2f894cac3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2132210015&code=910100#csidx0c589ce51cd9129af1620641a07cca4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41602.html#csidxbb2c69f96313d41a390e708899d34dc
- T. M. Harrison, D. Timothy, S. W. Husson, and B. J. Fehr, “Images Versus Issues in the 1984 Presidential Election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8, No. 2, pp. 209-227, 1991.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1.tb00544.x
- P. S. Tuckle and F.Tejara, “Changing Patterns in American Voting Behavior, 1914-1980,”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47, No. 2, pp. 230-246, 1983. https://doi.org/10.1086/268782
- M. Pfau, T. Diedrich, K. M. Larson, and K. M. Van Winkle, “Relational and competence perceptions of presidential candidates during primary election campaig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7, No. 3, pp. 275-292, 1993. https://doi.org/10.1080/08838159309364222
- Sidney Kraus, “Winners of the First 1960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Between Kennedy and Nix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46, No. 4, pp. 78-96, 199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6.tb01507.x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6254
- 임순미, "정치인의 이미지 프레이밍-안철수에 대한 보도 양태 분석," 현대정치연구, Vol. 5, No. 2, pp. 5-42, 2012.
- 존 주디스, 포퓰리즘의 세계화, 메디치미디어,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