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Image of Gyeonggi-do Governor Lee Jae Myeong through Q-methodology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안이수 (신한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Received : 2018.09.28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s voter's value and attitude reflected by the politician's overall image and scrutinizes the separate structures of the voters' subjectivity on the matter.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explain the influence that exercises on voters' political actions through this procedure. On this research, there were 32 Q samples that are selected,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a pool of 20 people. Result showed total of 3 different categories of cognition patterns towards Gyeonggi-do Governor Lee Jae Myeong. Of the 3 categories, category 1 (N=4) was a reformer with apparent principles and initiatives, category 2 (N=12) was an efficient tactician with executive ability, and the last category 3 (N=4) was a populist that strives to achieve his political ambition. Opinion of the samples in the first category was that Governor Lee is the right guy for demolishing the barrier between vested class and the non-vesting in the society. Voters in the second category showed expectation for Governor Lee's executive policies that satisfy the voters, given his abilities proven while he was in mayor's office for Seongnam city. People in the pool of category 3 worried that Governor Lee is busy increasing his approval rating and popularity by asserting unrealistic opinions and impractical policies.

본 연구는 정치인의 종합적 이미지에 대하여 유권자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태도를 밝혀내고 유권자가 갖는 주관성의 구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유권자의 정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인식에 대한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는데, 제1유형(N=4) : 뚜렷한 원칙과 추진력 있는 개혁가, 제2유형[(N=12) : 실행력 있는 실용적 정책가, 제3유형(N=4) : 정치적 야망을 달성하고자 하는 포퓰리스트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기득권의 장벽을 허물 수 있는 적임자라는 의견을 보였고, 제2유형은 성남시장 재임 중에 보인 행정능력으로 유권자 피부에 와 닿는 실용적 정책을 펼칠 것으로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3유형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주장으로 자신의 정책과 태도만 부각시켜 인지도를 높이고 인기만 끌려는 태도에 우려를 표시했다.

Keywords

표 1. R과 Q 방법론의 비교[28]

CCTHCV_2018_v18n11_306_t0001.png 이미지

표 2. Q-sample로 선정된 진술문

CCTHCV_2018_v18n11_306_t0002.png 이미지

표 3. 유형별 P 표본의 구성 및 인자가중치

CCTHCV_2018_v18n11_306_t0003.png 이미지

표 4. Q-sort 분포 모양

CCTHCV_2018_v18n11_306_t0004.png 이미지

표 5. 각 유형별 아이겐 값과 변량

CCTHCV_2018_v18n11_306_t0005.png 이미지

표 6. 각 유형별 긍정적/부정적 동의를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1_306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진영,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이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 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32, pp. 113-146, 2006.
  2. 박정의, 김진국, "언론인의 여성 정치인에 대한 인식연구 : 인천, 경기 지역 언론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 18, No. 3, pp. 35-54, 2010.
  3. 설진아, 김활빈, "대중매체의 후보이미지 형성 및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52, No. 2, pp. 328-352, 2008.
  4. 김재범, 최믿음,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과 유권자의 투표 행위," 광고연구, Vol. 98, No. 98, pp. 154-183, 2013.
  5. 이준웅, "후보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 15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 43, No. 2, pp. 243-284, 1999.
  6. 김혜성, "박원순 서울시장의 이미지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평화연구, Vol. 20, No. 1, pp. 105-138, 2012.
  7. 민영, "뉴스미디어, 캠페인 미디어, 그리고 정치 대화가 후보자 이미지와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44, No. 4, pp. 108-143, 2008.
  8. 이강형, "대통령 후보의 텔레비전 토론이 후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 보토론회 패널 조사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48, No. 2, pp. 346-473, 2004.
  9. 최용주, "정치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정치스캔들과 미디어," 언론과학연구, Vol. 1, No. 3, pp. 205-237, 2001.
  10. 노동렬, "신문의 선거보도 행태와 사진이미지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2, No. 8, pp. 157-16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157
  11. 설진아, 김활빈, "대중매체의 후보이미지 형성 및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52, No. 2, pp. 328-352, 2008.
  12. T. J. Johnson, A. M. Braima, and J. Sothirajah, “Doing the traditional media sidestep : Compraring the effects of the Internet and other nontraditional media with traditional media in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 76, No. 1, pp. 99-123, 1999. https://doi.org/10.1177/107769909907600108
  13. S. S. Sundar, S. Kalyanaraman, and J. Brown, “Explicating web site interactivity : Impression formation effect in political campaign sites,” Communication Research, Vol. 30, No. 1, pp. 30-59, 2003. https://doi.org/10.1177/0093650202239025
  14. A. H. Miller, M. P. Wattenberg, and O. Malanchuk, “Schematic assessment of political candidat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0, No. 2, pp. 521-540, 1986. https://doi.org/10.2307/1958272
  15. D. J. Boorstin, The Image, New York : Athbaum, 1961.
  16. K. Boulding, The Image, Ann Arbor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6.
  17. W. Lippmann, Public Opinion, New York : Macmillan. McCroskey, J. C., 1961.
  18. T. E. Patterson, Out of Order, New York : Knopt, 1993.
  19. M. P. Wattenberg, The Rise of Candidatecentered Politic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0. D. Nimmo and R. Savage, Candidates and their Image :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 Santa Monica, CA : Goddyear, 1976.
  21. 김현주, "대통령 후보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보, Vol. 12, pp. 45-74, 1997.
  22. G. N. Garramone, “Issue versus image orientation and effects of political advertising,” Communication Research, Vol. 10, No. 1, pp. 59-76, 1983.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1003
  23. J. C. McCroskey, P. R. Hamilton, and A. N. Weiner, "The effect of interaction behavior on source credibility, homophily, and interpersonal attrac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 No. 1,pp. 42-52, 1974.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4.tb00252.x
  24. L. Shyles, “The relationships of images, issues and p resen ta t iona l me thods in te levised spot adv e r t is em en ts for 1980’ s American Presidential Primaries,” Journal of Broadcasting, Vol. 28, No. 4, pp. 405-421, 1984. https://doi.org/10.1080/08838158409386550
  25. 이준웅, "텔레비전 토론의 정치적 영향력 :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Vol. 12, pp. 253-297, 1999.
  26. D. K. Davis, “Issue information and connotation in candidate imagery : Evidence from a laboratory experiment,”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2, No. 4, pp. 461-479, 1981. https://doi.org/10.1177/019251218100200406
  27. H. K. Kim, "Q Methodology and Creation of Advertising Message," Operant Subjectivity, Vol. 20, pp. 28-29, 1997.
  28. 김흥규, Q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9. 김홍규,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 연구, Vol. 1, pp. 15-23, 1999.
  30.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주관성 연구, Vol. 25, pp. 21-34, 2012.
  31. 전미영, 김명희, 조정민, "노화에 대한 주관성 연구 : 코오리엔테이션의 시각," 주관성연구, Vol. 14, pp. 129-145, 2007.
  32. 양창훈, 이제영,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3, No. 1, pp. 115-1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15
  33. 안이수,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8, No. 1, pp. 527-53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527
  34.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 The Free Press, 1966.
  3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1231719221#csidx10ea61028062055a613afe2f894cac3
  3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2132210015&code=910100#csidx0c589ce51cd9129af1620641a07cca4
  37.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41602.html#csidxbb2c69f96313d41a390e708899d34dc
  38. T. M. Harrison, D. Timothy, S. W. Husson, and B. J. Fehr, “Images Versus Issues in the 1984 Presidential Election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8, No. 2, pp. 209-227, 1991.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1.tb00544.x
  39. P. S. Tuckle and F.Tejara, “Changing Patterns in American Voting Behavior, 1914-1980,”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47, No. 2, pp. 230-246, 1983. https://doi.org/10.1086/268782
  40. M. Pfau, T. Diedrich, K. M. Larson, and K. M. Van Winkle, “Relational and competence perceptions of presidential candidates during primary election campaig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7, No. 3, pp. 275-292, 1993. https://doi.org/10.1080/08838159309364222
  41. Sidney Kraus, “Winners of the First 1960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Between Kennedy and Nixo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46, No. 4, pp. 78-96, 199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6.tb01507.x
  4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6254
  43. 임순미, "정치인의 이미지 프레이밍-안철수에 대한 보도 양태 분석," 현대정치연구, Vol. 5, No. 2, pp. 5-42, 2012.
  44. 존 주디스, 포퓰리즘의 세계화, 메디치미디어,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