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 이소율 (원주 교동초등학교)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8.09.20
  • Accepted : 2018.11.06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eachers' beliefs to teach software education effectively. Based on the revised version of the STEBI-B questionnaire, factors influencing the software education were add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omposed of sub-factors of the category of personal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software education outcome expectancy. And then, 14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preliminary 35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5 items were deleted to complete the final item. 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final 30 question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 composition, and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E-TEBI) was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교수(Teaching)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신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STEBI-B 문항의 번안본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추가하여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의 범주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였고, 35개의 예비 문항에 대하여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5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고, 완성된 30개의 최종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문항 구성의 적절성을 입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를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홍래.이승진 (2013). 외국의 정보 (컴퓨터) 교육과정 현황 분석. KERIS 이슈리포트.
  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교육부.
  3. 이소율.이영준 (2017).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EPL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5), 35-47.
  4. 박만재.이철현 (2016).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3), 21-41.
  5. Ashton, P.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6. 이진원.이영준 (2016).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20(2), 119-122.
  7. 이소율.이영준 (2017).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측정 검사도구 개정을 위한 방향성 고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5(2), 220-221.
  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9.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1986.
  10. Gibson, S.,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11. 교육부. (2015). 개정 실과 (기술. 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12.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2018, 9). Retrieved from:https://www.software.kr/um/um01/um0106/um010601/um010601List.do
  13. Bleicher, R. E. (2004). Revisiting the STEBI-B: Measuring Self-Efficacy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8), 383-39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004.x
  14. Enochs, L. G., Smith, P. L.,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256.x
  15. Enochs, L. G., & Riggs, I. M. (1990a).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9(1), 63-75. https://doi.org/10.1002/sce.3730790105
  16. 윤진주 (2009). 보육교사의 유아 언어교육 내용지식과 유아 언어교수 효능감 및 교실내 언어 환경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9(3), 5-22.
  17. 김효남 (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 41(1), 97-118.
  18. 강문봉.김정하 (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519-537.
  19. 지성애 (2013).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5-29.
  20. 박주연.이민정 (2015).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 차이. 유아교육연구, 35(5), 213-227.
  21. 김자미.윤일규.이원규 (2010).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6), 23-34.
  22. 박기철.강성주 (2014).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 (TPACK) 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교원교육, 30(4), 349-375.
  23. 성태제 (2016). 현대 기초 통계학: 이해와 적용 7 판. 서울: 학지사.
  24. 황해익.송연숙.최혜진.손원경 (2014). 영유아 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