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ctions and Roles of Musical Vocal Coach

뮤지컬 보컬 코치의 기능과 역할

  • 임지현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미디어학과) ;
  • 민경원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 Received : 2017.12.06
  • Accepted : 2018.01.04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Musical is produced by multiple specialists including director, writer, composer, lyricist, choreographer, music director, actors/actresses and so on. For the success of one musical, all the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 should demonstrate their creativities. The basic frame of a work is made by writer, composer and lyricist first unless it is a licensed musical. They are called as Creative Team, and also director, choreographer, actors/actresses and staff are called as Production Team. Both teams are collectively called as Creative Staff. Then, the secondary creative staff members may participate in the work depending on the production size, and each team can consist of the members such as music director, stage designer, sound designer and so on. The staff related to music in Creative Team of the musical is developed with the initiation from the music supervisor who decides the musical color and genre of the work, the fragmentation and the specialization. However, composer or music director takes these roles in charg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oles and concept of vocal coach according to the fragmentation of working process and to investigate their roles and needs in the domestic musical industry upon case analysis of musical production processes in overseas. The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the roles and the functions between ordinary voice teachers and musical vocal coaches were analyzed and the cases of vocal coach in the Korean musicals were reviewed by the interviews. In addition, creative team system was reviewed in the Korean musicals.

뮤지컬은 제작부터 연출, 작가, 작곡가, 작사가를 비롯하여 안무가, 음악감독, 배우 등 많은 전문가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하나의 뮤지컬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다 함께 창의력을 발휘해야 한다. 라이센스 뮤지컬이 아닌 이상 먼저 작가, 작곡가, 작사가를 통해 한 작품의 기초 틀이 만들어진다. 이들을 크리에이티브 팀(Creative Team)이라 하고 연출가, 안무가, 배우, 스텝 등을 프로덕션 팀(Production Team)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두 팀을 합쳐서 크리에이티브 스텝(Creative Staff)이라고 한다. 이후 제작 규모에 따라 2차 크리에이티브 스텝들이 참여하게 되고 실제 연습에 들어가게 되는데 음악감독, 무대 디자이너, 음향 디자이너 등 각 팀의 세부 구성을 이루게 된다. 뮤지컬 크리에이티브 팀에서의 음악 관련 스텝들은 사실 작품의 음악적 색깔과 장르를 결정하는 음악 슈퍼바이저로부터 시작되어 세분화되고 분업화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작곡가 또는 음악감독이 그 역할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뮤지컬 제작 과정 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작업 공정의 세분화에 따른 보컬 코치의 역할과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뮤지컬산업에서 보컬 코치의 역할과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보이스 티쳐들과 뮤지컬 보컬 코치의 역할과 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인터뷰를 통한 국내 뮤지컬 보컬코치 사례를 함께 알아보았다. 그와 더불어 국내 뮤지컬 음악 크리에이티브팀 시스템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Broadway League, Broadway in NYC, 2017.
  2. 문화 산책, 2016년 뮤지컬 시장 전망, 매거진 The Musical, 2016.
  3. 신소영, 뮤지컬 보컬 코치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기정선, 한국 뮤지컬계의 음악감독 역사 및 작업 사례연구, 국민대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5. 스티븐 시트론, 뮤지컬, 정재왈, 정명주(역), 미메시스, 2001.
  6. Aron Frankel, Writing The Broadway Musical, New York: Da Capo Press, 2000.
  7. Fred Silver, Auditioning for the Musical Theatre, A Penguin Book, 1988.
  8. Millie Taylor, Singing For Musicals, The Crowood Press, 2008.
  9. Anne Peckham, The Contemporary Singer, Berklee Press, 2000.
  10. 전기영, 보컬 트레이닝의 정석, 예솔, 2016.
  11. 강경아, 노랫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컬코칭 방안 및 사례연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질리안 키이즈, 노래하는 배우, 류미 명현진 옮김, 동인, p.211, 2015.
  13. 질리안 키이즈, 노래하는 배우, 류미 명현진 옮김, 동인, pp.240-247, 2015.
  14. Norman Spivey, On The Relationship of Speech and Singing, Journal of Singing, Vol.64, No.4, pp.3-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