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의 농작업 로봇 개발 동향 분석

R&D trends of agricultural working robot in Japan

  •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 홍영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Lee, Choung-Ke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 Hong, Young-Ki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투고 : 2016.11.11
  • 심사 : 2017.03.27
  • 발행 : 2017.03.31

초록

지금까지 일본에서 개발되고 있는 차량계 농작업 로봇인 트랙터 로봇, 이앙 로봇, 콤바인 로봇 그리고 2종류의 제초로봇의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농작업 로봇이 현장에 보급되기 위해서는 3가지 정도의 선결과제와 국내에서 농작업 로봇을 개발함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선결과제로 첫 번째는 농업인이 소규모 영세농이기 때문에 민 관이 연대한 표준화와 기존기술과 부품의 활용을 통한 보급 기종을 저렴화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차량계 농작업 로봇은 GPS기반의 시스템으로 GPS 보정신호를 실시간으로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국가차원의 지역별 기지국 구축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포장에서의 돌발상황 대처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장애물 회피기술, 로봇 안전성 평가 시스템, 안전기준 책정 규격화 및 포장정보의 보안대책 강구 등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농작업 로봇이 개발되고 있지만, 현장 투입을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선결과제 등을 해결해 나가면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단계는 작업자의 보조역할을 해 주는 자율직진 가이던스시스템을 보급하고, 2단계는 로봇과 인간이 협조하는 시스템의 보급이며, 3단계는 완전한 무인시스템으로 로봇이 스스로 작업하는 시스템으로 순차적인 보급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distribute agricultural robots to the fields, based on the review of Japanese trends, three preliminary task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robots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ings. The first result is that farmers are small-scale, agricultural robo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roug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reduce the supply pri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existing technologies and components. Secondly, the car-based robots are GPS-based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ation-wide regional base stations that can trensmit the GPS correction signals free of charge in real time. Thir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cope with the unexpected situation in the fields, such as obstacle avoidance technology, robot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and safety standard development. In addition, although agricultural robots are being developed in Korea, a step-by-step approach is necessary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e-requisites for field distribution. In the first stage, it is necessary to supply an autonomous straight guidance system that assists the worker. The second stage is the spread of cooperation system between human and robot. The third stage is a complete robot system, in which the robot works on its own. Therefore, the supply of agricultural robots needs to be approached sequentiall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