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ttitudes of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toward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 강민채 (중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Received : 2017.08.07
  • Accepted : 2017.11.13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who major in special education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trategy for preliminary teachers after graduation for applying smart education to their students. To this end, 230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were studi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consisted of a total of 38 questions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calculated general statistic analysi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t-test, ANOVA and a post-verification method, Turke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variab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smart educ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special teachers was 'moderate', and behavioral attitud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ehavior, and the affective attitude was the low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 is significant and attitude scores of seniors is higher than freshmen'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as sub-factors of attitude by whether the practice teaching was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들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졸업 후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 총 38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예비 특수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Tukey 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태도 수준은 전체 '보통이다'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행동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적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학년이 1학년보다 태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유형별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정은, "교사효능감이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 자료집, 제2014권, 제1호, pp.492-495, 2014.
  2.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2011.
  3. 우홍욱, 서유진, "학습장애 학생의 m-러닝을 위한 수학교육 애플리케이션 특징분석 및 개발방향 모색," 특수교육, 제9권, 제2호, pp.123-164, 2010.
  4. D. Bullok,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as they attempt to gain experience teaching with technology during field placement experience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2, No.2, pp.211-237, 2004.
  5. P. D. Eggen, D. P. Kauchak, and S. Garry,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2001.
  6. G. Kersaint, B. S. Horton, and J. Garofalo, "Technology belief sand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faculty,"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1, No.4, pp.549-577, 2003.
  7. M. L. Borden, The preschool teacher's use of children's books to introduce and enhance the teaching of mathematical concep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USA, 1993.
  8. 이순덕, "예비특수교사의 현장실습이 교직관, 효능감, 인식론적 신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논문집, 제14권, pp.31-41, 2014.
  9. 허은정, 정성수,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제51권, 제6호, pp.1-25, 2013.
  10. M. J. Rosenberg and C. I. Hovlan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attitudes, In C. I. Hovland & M. J. Rosenberg (Eds.),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New Haven, NJ: Yale Univ, Press, 1960.
  11. 최연숙, "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수준 및 통합교육의지에 대한 인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363-372,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5.363
  12. 김미화, 초등학교 미술, 국어통합 스마트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곽덕훈,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전망, 한국이러닝 산업협회 스마트교육 코리아 세미나자료집, 2010.
  14. 김상연, "스마트교육 경험집단과 비 경험 집단간 활용 의 경로계수 차이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83-395, 2012.
  15. 주용진, 유장순,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이식 및 요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3권, 제3호, pp.231-254, 2014.
  16. 설문규, 손창익, "초등학교에서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인식 조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09-318, 2012.
  17. 임지원,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 창작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8. 임걸, 이동엽,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9호, pp.47-57, 2012.
  19. 서안나, "현대시의 디지털매체 수용과 시적 패러다임 변화양상," 한국언어문화, 제55권, pp.211-231, 2014.
  20. 이상기, 권민화,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58-294, 2014.
  21. 송철웅, 스마트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 방안,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2. 황유리, 강신천, "스마트교육을 위한 스마트기기 및 콘텐츠 효과성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243-248, 2014.
  23. 홍성연, "공학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교육에서 '통찰'의 개념 탐색," 교육컨설팅연구, 제2권, 제1호, pp.47-70, 2013.
  24. 박선향, 박수경,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관계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8권, 제1호, pp.171-199, 2016.
  25. 박윤정, 강은영, "예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평가 수업에서의 어휘-선택 CBM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243-264, 2016.
  26. 정정진,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의 전문성 제고," 한국특수교육학회학술대회, 제10권, 제1호, pp.1-12, 2010.
  27. 이종석, 사용자 중심 스마트교육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8. 남윤석, "특수교육 수업 장면에서의 바람직한 교육용 콘텐츠 활용 방안 탐색,"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3권, 제2호, pp.19-30, 2010.
  29. 한동욱, 강민채,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504-51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