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allocation of men who work long hours and their wives

남성 장시간 근로집단 및 그 배우자집단의 생활시간배분

  • Song, Hyerim (University of Ulsan, Child and Family Welfare) ;
  • Kim, Yookyung (Soongeui Women's College, Family Welfare) ;
  • Kim, Joohe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uman Ecology)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김유경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
  • 김주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Received : 2017.05.30
  • Accepted : 2017.08.02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ime allocation for men who work long hours and their wives. Using 2014 time-use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we analyzed the amount of time spent in four areas-paid work, housework, leisure, and life essentials-of male workers who work more than 52 hours a week and of their wiv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 allocation of men who worked long hours differed from their wives with the exception of personal maintenance time. Second, the working time of wives who work long hours was longer than their husbands who work long. Third, men who worked long hours did less housework when their wives were employed than when they were not employed. All the results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time allocation. Equal role-sharing between spouses is needed for the work-life balance of both husbands and wives.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7). 2017년 정부부처 업무보고 (고용노동부).
  2.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2017년 4월 현재). www.moel.go.kr
  3. 구도희(2016). 한국의 장시간 노동체제와 일.삶의 불균형. 노동사회 190, 28-35.
  4. 김연홍(2016). 일가정양립의 성공적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우수 사업장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5(3), 28-48.
  5. 김외숙.조희금.송혜림(2015). 기혼취업자의 일.가정 균형. 통계청 주관 2015 생활시간조사 국제워크숍 '생활시간조사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6.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 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7. 김준영.안준기(2014). 한국 노동시간 미스매치의 규모와 특징: 비자발적 장시간 노동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0(3). 105-135
  8. 네이버 뉴스(2017/04/20). 한전 등 17개 공공기관도 '금요일 오후 4시 퇴근'. www.naver.com
  9. 문은영.서영주(2011). 서울시 30, 40대 자녀 양육 남성근로자의 일과 가족생활 양립현황 및 문제점. 이슈분석(2011-6호), 1-14.
  10. 박예은.윤미.이예솔.이효진.정익중 (2016). 시간빈곤이 일가족양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2), 35-56.
  11. 박태주(2011). 장시간 노동이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효과 - 현대자동차 노동자들의 생활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17(2), 277-308.
  12. 배규식(2012). 한국 장시간 노동체제의 지속 요인. 경제와 사회 95, 128-162.
  13. 송유진(2015). 노동시간과 근로조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통계청 주관 2015 생활시간조사 국제워크숍 '생활시간조사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14. 송혜림(2012). 일과 생활의 조화: 정책에서 생활로. 2012년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15.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 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16. 송혜림(2017). 가족정책의 이해. 2017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건가.다가.통합센터 종사자교육 자료집.
  17. 여성가족부(2015). 제 1차 양성평등정책기본 계획.
  18. 여성가족부(2006, 2011, 2016). 제 1차, 제 2 차, 제 3차 건강가정기본계획.
  19. 여성가족부 홈페이지(2017년 4월 현재). www.mogef.go.kr
  20. 은기수.김외숙.조희금.송혜림.서지원.송유진.김은지.차승은(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위탁연구 보고서.
  21. 이경용(2010). 장시간 노동과 사회경제적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15.
  22. 이기영.이현아.김외숙.이연숙.조희금. 이승미.김주희.한영선(2011).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5(2), 103-128.
  23. 이연숙.김외숙.이기영.조희금.이승미.김하늬.한영선(2012).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99-227.
  24. 이영환.이수재(2007).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0(1), 19-25.
  25. 이준영(2012). 유연안정성 관점에서 본 근로 시간단축. 사회보장연구 28(4), 25-48.
  26. 정혜선.장원기.이복임.박현주(2009). 장 시간 근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53-554.
  27. 주은선(2016).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하), 750-75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750
  28. 차승은(2011).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활용: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31-151.
  29. 통계청(2015). 2014 국민생활시간 실태조사 결과: 분석과 향후 연구과제. 2015 한국가족 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30. 한영선.윤소영(2009).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31. OECD(2016). Employment Outlook 2016 Ju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