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lter Benjamin's Baudelaire Studies and the Aura

발터 벤야민의 보들레르 연구와 아우라

  • Received : 2017.07.15
  • Accepted : 2017.08.22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Walter Benjamin's unique concept of the aura is mainly presented in his three essays, Little History of Photography(1931),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1935-1939), and On Some Motifs in Baudelaire(1939), whereas the studies on this concept are principally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two essays. But considering Benjamin elaborated the concept through Baudelaire studies, the aura needs to be reexamined on the axis of "On Some Motifs in Baudelaire". He approached Baudelaire studies in one of the essential items for The Arcades Project at first. These studies acquired a new prospect soon after he mapped out these studies for an independent book in 1938. His Baudelaire studies come to fruition in On Some Motifs in Baudelaire, written one year after The Paris of the Second Empire in Baudelaire(1938). For Benjamin, Baudelaire is not only a poet who sharply testified to the age of the decay of aura, but also the one who elaborated new poetic motifs such as the metropolis, the crowd: the poet searched for his poems in the crowd of the metropolis, by accepting as poetic nourishment all sorts of experiences of the impact of daily occurrunces in Paris. In On Some Motifs in Baudelaire, the aura is defined as the response of a gaze, that is, the capability to gaze on something. It is principally a poetic capacity to give the capability of opening the eyes to an animal, or even to an inanimate object. If a gaze is responded by the other for which the gaze is placed upon, we experience the other's own aura. The media of the mechanical reproduction (such as the photography, the film) give rise to the decay of aura, because the expectation of returning one's gaze becomes frustrated from the outset.

발터 벤야민의 독특한 개념인 아우라는 주로 "사진의 작은 역사" (1931),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1935-1939),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1939)에서 제시되지만, 지금까지 연구는 주로 앞의 두 텍스트에 의거하여 논의되었다. 그러나 벤야민이 보들레르 연구를 통해 아우라 개념을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이 개념은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의 논의를 중심으로 다시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는 "아케이드 프로젝트" 의 구상 아래 보들레르 연구에 몰두했지만, 1938년 보들레르 연구를 독자적인 저작으로 낼 생각을 하면서 이 연구는 새로운 지평을 획득하게 되며, "보들레르에게서 제2제정기의 파리"(1938)를 거쳐 이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로 수렴된다. 벤야민에게 보들레르는 후광을 상실한 시대의 시인이며 자본주의 전성기에 대도시와 군중이라는 새로운 시적 모티프를 전면적으로 발전시켰고 나아가 아우라의 상실을 누구보다 예리하게 증언한 시인이다. 그는 대도시의 충격 체험을 시적 양분으로 받아들여 대도시의 군중 속에서 시를 찾는다.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에서 아우라는 시선의 응답, 또는 시선을 부여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규정되는데, 이렇게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심지어 사물에게도 시선을 열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은 시적 능력이다. 벤야민에 따르면, 하나의 시선이 그 시선의 대상에게 시선의 응답을 받을 때 우리는 그 대상의 아우라를 체험한다. 반면에 사진이나 영화 같은 기술복제 매체는 시선을 돌려받고자 하는 기대 자체를 좌절시키기 때문에 아우라의 붕괴를 가져온다.

Keywords